본문 바로가기
  • 정경희 서울과학기술대 창업지원단 부단장, “2021년 예비창업패키지 최우수 주관기관 선정, 2년간 102명의 예비창업자 발굴”

    정경희 서울과학기술대 창업지원단 부단장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교수/창업지원단 부단장, 창업보육센터장(2020.03~현재)고려대학교 연구교수(2019.03~2020.02)동국대학교 창업지원단 팀장(2001.03~2019.02)동국대학교 기술창업학 박사(2018)[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은 1999년 중소기업청(현 중소벤처기업부)으로부터 창업보육센터로 지정되며 창업지원을 시작했다. 준비된 혁신창업가 발굴·육성을 목적으로 2016년 창업지원단이 출범했다. 2017년 중소벤처기업부 지정 창업선도대학에 선정되면서 현재는 창업교육센터, 사업화지원센터, 창업보육센터, 메이커지원센터를 설립했다. 학생과 예비 창업자의 창업이 적극적으로 시도될 수 있는 창업생태계를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서울과기대는 2021년 예비창업패키지 특화 분야(그린경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2년 연속 사업을 운영했다. 정경희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부단장은 “서울과기대는 창업 성장부터 전문화된 자금투자, 네트워킹까지 창업지원체계를 마련했다”며 “2021년 전국 46개 예비창업패키지 주관기관 중 ‘최우수’기관으로 평가받았다”고 말했다. 정 부단장을 11월 24일 서울시 노원구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에서 만났다.예비창업패키지 사업의 성과를 돌아본다면“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은 예비창업패키지 사업을 2년째 수행하고 있다. 2021년에는 56명의 예비창업자를 선발 육성해 전원 시제품 제작 및 창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투자유치 7억2000만원, 매출 15억원, 신규 고용 111명, 지식재산권 등록과 출원 100건 등의 성과를 냈다. 예비창업자들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노력한 결과 2021년

    2022.12.26 16:31:06

    정경희 서울과학기술대 창업지원단 부단장, “2021년 예비창업패키지 최우수 주관기관 선정, 2년간 102명의 예비창업자 발굴”
  • 김종선 서울과학기술대 창업지원단장, “서울 동북부 지역 최대 규모 1440평 규모 창업지원타운 구축, 메이커스페이스 통해 K유니콘 발굴할 것”

    김종선 서울과학기술대 창업지원단장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장(2019~현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술지주회사 대표(2020~현재)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부설 한국디자인경영연구소 소장(2017~현재)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금속공예디자인학과 부교수(2014~현재)[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은 교내 창업지원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대학의 창업지원 소프트웨어(SW)·하드웨어(HW) 인프라를 바탕으로 창업 준비 단계부터 실행, 성장, 투자 등 창업 전주기 지원체계인 ‘올인원(ALL-IN-ONE) 창업지원패키지’를 구축해 창업 인재를 키워가고 있다.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은 창업지원 전문가와 창업지원 분야 경력 10년 이상의 창업지원관 3명을 채용하며 전담 조직을 구축했다. 현재 창업지원단은 22명으로 구성됐다. 서울과기대는 2021년 1440평 규모의 올인원 창업지원멀티플렉스(창업지원타운)를 구축해 예비창업자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원스톱 창업지원 공간도 마련했다. 서울 동북부 지역 최대 규모로 메이커스페이스가 연계된 공간이다.김종선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장은 “서울과기대는 국내 대학에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사업을 최초로 도입해 확산시킨 경험을 살려 예비창업자가 갖춰야 할 창업 친화형 교육과정을 구축했다”며 “창업지원단은 우수한 창업지원 인력과 공간을 활용하고 창업 지향적인 핏스톤 디자인(Fit-Stone Design) 시스템을 운영해 창업자들의 창업 성공률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을 11월 30일 서울시 노원구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에서 만났다.그동안의 성과를 평가한다면“서울과기대는 2021년부터 2년 연속 예비창

    2022.12.21 14:29:36

    김종선 서울과학기술대 창업지원단장, “서울 동북부 지역 최대 규모 1440평 규모 창업지원타운 구축, 메이커스페이스 통해 K유니콘 발굴할 것”
  • [202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 스타트업 CEO] 헬스케어 콘텐츠 및 제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바디303’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바디303은 헬스케어 콘텐츠 및 제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김명환 대표(39)가 2021년 9월에 설립했다.김 대표는 “바디303은 몸, 30일(일상, 삶), 3가지(서비스, 제품, 정보)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라며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이라고 말했다.바디303이 현재 개발하여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제품은 리커버리크림이다. 김 대표는 “일명 박찬호크림이라고 불리우는 파워플랙스 제품과 유사하다”고 말했다.“근육 리커버리크림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주변 사람들 때문입니다. 어머니가 근육통이 있을 때 정확한 원인도 모르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파스였습니다. 비단 어머니뿐 아니라 저도 그리고 사무직으로 일하는 직장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를 비롯해서 반복적 일을 하는 모든사람들(직장인들)은 다양하게 통증을 경험하지만, 여유가 없다는 이유로 참아가면서 일합니다. 정말 못 참을 때 병원에 가죠. 이런 이유로 일상에서 손쉽게 통증을 완화해 주는 제품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리커버리크림을 개발했습니다.”바디303의 리커버리크림은 1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의사, 물리치료사와 논의를 거쳐 제작됐다. 김 대표는 “기존의 제품은 천연재료의 일부만을 얻어 만든 추출물을 사용하지만 바디303은 재료 본연의 기능을 살릴 수 있는 오일을 활용해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자 노력했다”고 강조했다.“연구를 통해 생강에서 골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발견해 논문과 특허를 발표했으며 제품에도 첨가했습니다. 유기농 오일을 활용해 제품의 퀄리티와 실제 오일의 효능을 느낄 수 있

    2022.12.12 12:20:19

    [202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메이커스페이스 스타트업 CEO] 헬스케어 콘텐츠 및 제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바디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