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관 이해하고 싶다면 아이돌 성장을 들여다봐라 [이승윤의 지금은 세계관 시대]

    K팝이라는 장르를 만들어 내며 팬들을 하나로 묶고 전 세계에 영향을 주는 데는 세계관의 역할이 컸다. 팬들이 만든 파편화된 가상의 스토리를 철저하게 준비해 세련된 세계관 형태로 소개한 것이 바로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의 엑소(EXO)다. 2011년 데뷔한 엑소는 멤버들이 ‘엑소 플래닛’이란 가상의 행성에서 날아왔고 멤버별로 초능력을 갖고 있다는 독특한 세계관을 팬들에게 소개하며 시작됐다. 엑소 세계관의 성장에 고무된 SM은 이후 SMCU(SM Culture Universe)라는 이름으로 소속 아이돌 그룹들을 위한 세계관을 통합해 관리했다. SM이 시스템 안에서 세계관을 녹여 내려는 시도를 했다면 하이브의 방탄소년단(BTS)은 이를 자연스럽게 성공적으로 전 세계에 정착시켰다. BTS는 불안정한 청춘이 소비하는 공간과 시간들을 ‘BU 세계관(BTS Universe)’ 안에서 담아내 팬들에게 전달했다. 이 밖에 팀 내에 존재하는 세 개의 유닛 그룹을 중심으로 독특한 ‘루나버스’ 세계관을 확장하며 인기를 끌고 있는 여성 아이돌 그룹 ‘이달의 소녀’부터 ‘지구에 불시착해 사라진 멤버를 찾는 휴머노이드’라는 세계관 안에서 콘텐츠를 만드는 남성 아이돌 그룹 ‘온앤오프’까지 다양한 아이돌이 각자 개성 있는 세계관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대중문화 평론가 김작가 씨와의 인터뷰를 통해 아이돌 기획사들이 다양한 세계관들을 통해 어떻게 비즈니스를 확장시키는지, 세계관 형성에서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팬들과 아이돌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소통하는지 살펴봤다. 이승윤 건국대 교수(이하 이승윤) 가요계 쪽의 세계관은 다른 영역들과 비교해 어떻게 정의될 수 있나요. 김작가 평론가(이하 김작가) 콘셉트죠

    2023.09.27 06:30:01

    세계관 이해하고 싶다면 아이돌 성장을 들여다봐라 [이승윤의 지금은 세계관 시대]
  • SM부터 하이브까지…엔터사가 블록체인 하는 이유[비트코인 A to Z]

     아이돌 산업과 팬덤 문화에서는 단순히 음반과 공연만이 아니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양방향 소통이 필수다. 하이브의 ‘위버스’,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의 ‘버블’, 엔씨소프트의 ‘유니버스’ 등의 팬덤 서비스에서는 스타와의 소통뿐만 아니라 독점 콘텐츠, 온라인 상점 등도 제공하며 활성 사용자와 실질적인 매출 면에서도 계속적인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 엔터테인먼트업계는 주 고객 연령층이 어리다는 점을 중시해 더 앞선, 더 차별적인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제는 메타버스를 비롯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분야에도 진출을 꾀하고 있다.메타버스로 ‘광야’ 구현한 SM의 목표SM은 4대 기획사 중 메타버스에 대한 의욕을 가장 먼저 나타냈다. SM이 디지털 상에 구현한 가상 국가 ‘뮤직네이션 SM타운’과 ‘SM타운 버추얼 네이션’을 거쳐 2020년 에스파의 데뷔와 함께 SMCU(SM타운 컬처 유니버스)에 이르기까지 SM은 지금까지 구축해 온 브랜드를 하나의 세계관에 담겠다는 의지를 보여 왔다. SM은 메타버스에 그치지 않고 블록체인과의 연계에도 신경쓰고 있다.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는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이 개최한 콘퍼런스에 직접 참여해 연설했고 창작 문화를 통한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해 ‘P2C(Play to Create)’라는 개념을 고안해 냈다. P2C는 이 총괄 프로듀서가 창안한 개념이다. 누구나 창작을 즐기고 경제적 수익까지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생태계다. 이 총괄 프로듀서는 바이낸스 블록체인 위크 기조연설에서 “기존에는 코인이라는 경제적인 보상만 있었다면 이제는 NFT를 통

    2022.11.08 06:00:10

    SM부터 하이브까지…엔터사가 블록체인 하는 이유[비트코인 A to Z]
  • ‘가상 아이돌’은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김우균의 지식재산권 산책]

    [지식재산권 산책]디지털 공간에서 새롭게 창조된 ‘가상 아이돌’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가상의 캐릭터로 그룹을 만들어 활동하고 있는 ‘이세계 아이돌’, 현실의 걸그룹 ‘에스파’의 가상 공간 멤버들인 ‘아이 에스파’, 인공지능(AI) 기술로 탄생한 11인조 걸그룹 ‘이터니티’ 등이 대표적이다.가상 아이돌들은 각각 고유한 개성과 성격, 스토리를 갖고 있고 실제 가수들과 마찬가지로 공연도 하고 팬들과 소통도 하고 있다. 적어도 디지털 세상에서는 실제 사람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그런데 ‘가상 아이돌’에 대해 악성 댓글을 달거나 딥페이크 등을 이용해 음란한 영상 등을 작성·배포하거나 성희롱 등의 행위를 했을 때 ‘가상 아이돌’들은 실제 사람과 동일하게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까. 가상 아이돌은 실제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의문이 생긴다.실제 연예인에 대해 악성 댓글을 달게 되면 경우에 따라 명예훼손죄나 모욕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딥페이크를 통해 음란한 영상 등을 작성·배포하는 행위는 음란한 화상 또는 영상을 배포·전시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죄(정보통신망법 제74조 제1항 제2호)로 처벌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해당 연예인의 초상권 침해 기타 불법 행위 등 민사적인 책임도 지게 될 수 있다.가상 아이돌이 실제 연예인의 ‘아바타’로서 디지털 공간에서 실제 연예인과 동일시되는 경우에는(어느 정도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져야 ‘동일시’된다고 볼 수 있는지는 별도로 검토가 필요한 문제이지만) 기본적으로 위와 동일한 법적 책임을 지

    2022.04.01 17:30:01

    ‘가상 아이돌’은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김우균의 지식재산권 산책]
  • KB국민은행, 메타버스 걸그룹 '에스파(aespa)'와 손잡고 "미래 금융으로"

    KB국민은행이 '미래 금융'의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메타버스 걸그룹 '에스파(asepa)'와 광고모델 계약을 체결했다. 이와 함께 'KB와 에스파의 만남'을 담은 티저 영상도 함께 공개했다. 에스파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초월한 아티스트 그룹으로, 지난해 11월 현실세계 멤버 4인조와 이들 각각의 아바타 ‘ae’(아이)가 함께하는 세계관을 공개하며 파격적인 데뷔를 선보인 바 있다.데뷔곡인 ‘블랙 맘바(Black Mamba)’가 K팝 그룹 데뷔곡 뮤직비디오 최단기간(51일) 유튜브 조회 수 1억 뷰를 기록하며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아 美 피플지의 ‘이머징 아티스트’로 선정되었다. 또한 지난 5월 발표한 후속곡 ‘넥스트 레벨(Next Level)’이 국내·외 주요 음원차트 정상을 차지해 ‘대세 걸그룹’으로 급부상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에스파의 광고 모델 선정 이유를 “Z세대가 이끄는 미래 금융세상은 ‘디지털을 통한 혁신’과 ‘시공간을 초월한 끊김없는 금융서비스’가 이끌어 나갈 것이다”며, “KB의 디지털 혁신 의지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이었다”고 말했다.KB국민은행은 데뷔 초부터 에스파의 스토리텔링에 주목해왔다. 에스파는 현실세계의 자아인 ‘에스파’와 가상세계의 또 다른 자아인 ‘ae-에스파’가 디지털 세계에서 만나 시공간을 초월한 무정형의 영역을 의미하는 광야(KWANGYA)를 향한 모험을 펼쳐 나가는 이야기를 노래한다. 이 과정에서 에스파는 ‘디지털, 혁신, 메타버스’를 상징한다.  이날 공개된‘KB와 에스파의 만남’ 티저 영상은 에스파가 허인 KB국민은행장의 초대

    2021.10.02 06:00:24

    KB국민은행, 메타버스 걸그룹 '에스파(aespa)'와 손잡고 "미래 금융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