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차 가격 ‘가속 페달’…연식 바꾼 아반떼 최대 150만원 올라
[비즈니스 포커스]직장인 추 모(32) 씨는 올해 1월 현대자동차 아반떼를 계약했다. 부분 변경(페이스 리프트)된 아반떼가 한두 달 뒤 나온다고 딜러가 귀띔해 줬지만 결국 기존 모델로 샀다. 그는 “주변에서 ‘신형 사는 게 낫지 않나’라는 조언이 있었지만 기존 모델은 할인율이 있는 반면 신형은 100만원 정도 가격이 올라간다더라. 기존 디자인이 마음에 들었고 고금리의 여파로 신차 할부 이자가 부담인 상황에서 예산이 덜 드는 쪽으로 선택했다”고 말했다.보통 완전 변경(풀 체인지) 또는 부분 변경 소식이 알려지면 현세대 모델 판매는 감소한다. 큰맘 먹고 사는 만큼 신형 모델을 사고 싶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상황이 변했다. 고물가 행진에 신차 가격도 고공 행진하고 있다. 여기에 고금리도 덮쳤다. 지난해 초 연 2~3%(36개월 기준) 수준이었던 신차 할부 금리는 현재 8% 내외로 뛰었다. 지난해보다 이자 부담이 3~4배 커져 실제 구매 가격이 늘어나게 됐다. 자동차 할부 금리는 계약 시점이 아닌 출고 당시 고정 금리로 정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이자가 얼마나 더 늘지 알 수 없다.비용 부담이 높아지면서 추 씨처럼 신형 모델이 나오기 전 기존 모델을 구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구모델 선택하는 소비자 증가숫자로도 나타난다. 올해 하반기 부분 변경 모델을 준비 중인 기아 카니발은 기존 모델 판매량이 줄지 않고 있다. 기아에 따르면 올해 1~2월 판매량은 각 6904대, 6039대로 2022년 1~2월(각 4114대, 3127대)과 비교하면 오히려 2배 정도 증가했다. 최근 완전 변경 모델과 부분 변경 모델을 내놓은 현대자동차의 그랜저와 아반떼도 마찬가지다. 현대차에 따르면&nbs
2023.03.29 06:00:11
-
[시승기] GV60이 여는 신세계…얼굴과 지문이 차키를 대신하는 세상
[시승기] 제네시스 GV60차키를 깜빡해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일이 없어지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제네시스의 첫 전기차 전용모델 ‘GV60’이 문을 연 신세계다. 얼굴과 지문만으로도 차문을 열거나 운전이 가능해, 차키를 대신하는 세상이 온 것이다.경기 하남 스타필드에서 지난 3일 열린 시승행사에서 제네시스 GV60을 만났다. 경기 가평의 한 카페까지 왕복 70km 구간을 GV60으로 주행했다.GV60은 제네시스 브랜드 최초의 전용 전기차 모델답게 제네시스가 지향하는 ‘럭셔리함’과 ‘미래를 위한 혁신’ 등이 가득 담긴 자동차였다. 특히 차키 없이 주행이 가능한 기능은 색다른 도전으로 느껴져, 향후 이 시스템이 다른 차량에도 전파된다면 이제 차키는 언제나 집에 놓여있는 ‘전시품’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운전자는 얼굴 등의 정보를 GV60에 입력하면 차량의 잠금·해체가 가능하다. 차량 문에 위치한 손잡이 부분을 터치한 후 운전석·뒷좌석 사이에 놓인 카메라에 얼굴을 비추면 운전자를 인식해 차량 문의 열리고 닫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마스크를 쓰고 있는 상황에서 처음에는 얼굴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코까지 보여야 문이 열렸다.그러나 시승을 마친 후 마스크를 쓰고 다시 문을 열어보니 쉽게 열렸다. GV60의 인공지능(AI)이 운전자를 인식한 횟수와 경험치로 ‘딥러닝’을 수행한 것이다. 향후 모자나 목도리 등 얼굴의 상당 부분을 가려도 잠금·해체가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단, 조수석 부근에는 카메라가 없다. 만약 주차시 운전석을 벽에 가까이 붙였을 경우에는 얼굴인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2021.11.05 08:00:40
-
“어느덧 GV60까지” 1년에 1대꼴…제네시스가 달려온 6년
[비즈니스 포커스]제네시스는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다. 2015년 EQ900을 시작으로 매년 1대꼴로 신차를 출시하며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제네시스의 시작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으로부터 비롯된다. 그는 기획부터 출시까지 직접 진두지휘하며 제네시스의 성공을 이끌고 있다.그는 2015년 첫 모델인 세단 G90(국내명 EQ 900)을 공개하며 “글로벌 고급 자동차 시장에서 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내실을 쌓아 입지를 견고히 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브랜드 출범 후 6년, 한국 고급차 판매량 1위제네시스는 ‘역동적 우아함’을 내세운 디자인과 끊임없는 기술 혁신으로 지난해 한국의 고급차 판매량 1위를 차지했다.제네시스의 지난해 국내 판매량은 9만6096대로 수입차 시장 1위인 메르세데스-벤츠(6만733대)를 추월했다. 프리미엄 세단과 함께 럭셔리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으로 라인업을 확대해 2019년 대비 2배 정도 늘어난 판매량이다.한국 1위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의 역사는 200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대차그룹이 고급차 출시를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면서부터다. 전사적으로 설계와 파워트레인, 디자인 등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2008년 1세대, 2013년 2세대 제네시스를 출시하며 고급차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시험했다.해당 차량의 판매가 성과를 달성하자 2015년 11월 제네시스를 독립 브랜드로 분리했다. 벤츠·BMW·아우디·렉서스 등 수많은 브랜드가 격전을 벌이고 있는 글로벌 고급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내민 셈이다.이 과정에서 아우디-폭스바겐 출신의 피터 슈라리어 디자인 총괄 사장과 BMW 알버트 비어만 부사장 등을
2021.09.08 06: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