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장] 역대 최대 규모 '인터배터리2023', 관람객 모여 후끈

    '현장등록'이라고 쓰인 입구 앞에 긴 줄이 늘어섰다. 올해 '인터배터리 2023'을 관람하기 위해 온 현장등록자들이다. 외국인들도 많았다. 최근 2차전지주가 급등하면서 K-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1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1회 '인터배터리2023'은 최신기술과 제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글로벌 2차 전지(배터리) 전시회다. 올해는 477개사 1400부스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사전 등록자 수만 3만4851명으로 지난해(9623명)의 3배에 달했다. 인터배터리2023에는 국내 대표 배터리 3사인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이 총출동했다. 가장 먼저 입구 쪽에 위치한 SK온 부스에서는 자사 배터리가 쓰인 현대차의 제네시스 eGV70을 배치했다. 또 새로 개발한 '코발트 프리' 배터리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각형 배터리를 공개했다. 이와 함께 차세대 기술을 담은 전고체 배터리도 처음 소개했다. 삼성SDI는 자사 주력제품인 PRIMX(프라임엑스)가 탑재된 볼보트럭 'FM일렉트릭'을 앞세워 눈길을 끌었다. 이와 함께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배터리와 버튼 배터리를 비롯해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배터리를 탑재한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했다. 삼성SDI 역시 전고체 배터리 모형을 선보이며 올해 말에서 내년 초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제품을 내놓을 것을 예고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 모델인 허머에 공급하는 파우치형 롱셀 배터리와 자유로운 형태로 만들 수 있는 프리폼 배터리,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각기 다른 LFP 배터리 셀 등을 전시했다. 고분자계 전고체·리튬황·황화물계 배터리 등의 다양

    2023.03.15 18:00:01

    [현장] 역대 최대 규모 '인터배터리2023', 관람객 모여 후끈
  • BMW 세단·볼보트럭 전시한 삼성SDI…초격차 기술력 과시

    삼성SDI가 3월 15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배터리 브랜드 프라이맥스(PRiMX)의 사물배터리(BoT, Battery of Things) 애플리케이션 라인업을 공개하고 초격차 기술력을 선보인다.삼성SDI는 부스 중앙의 코어 테크놀로지존을 중심으로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배터리와 버튼 배터리를 비롯해 전기자동차, 정보기술(IT) & 웨어러블, 전동공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 해당 배터리가 탑재된 주요 애플리케이션들로 공간을 구성한다.배터리 기술력, 히스토리 등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고 일상생활에서 확산되고 있는 배터리에 대한 관람객들의 이해도 돕는다.코어 테크놀로지존에서는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 혁신적 구조 설계, 고효율 급속 충전, 안전 기술 등 삼성SDI만의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다.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는 독자 조성의 고체 전해질 소재와 리튬 음극재로 수명을 개선한 무음극 기술(Anode-less)이 특징이다. 삼성SDI는 국내 유일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의 완공을 앞두고 있다. 파일럿 라인을 통해 2023년 하반기 시제품 샘플 제작을 시작으로 전고체 배터리 개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ESS 존은 최고의 안전성을 위한 직분사 시스템과 수랭식 냉각 시스템이 탑재된 삼성SDI의 신규 E5S 모듈과 랙을 전시할 예정이다. IT존과 파워존을 통해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와 인공지능(AI) 로봇, 전동공구 등 다양한 제품을 살펴볼 수 있다.특히 xEV 존에서는 BMW '뉴 i7', 볼보트럭의 'FM 일렉트릭'이 나란히 전시한다. BMW '뉴 i7'은 BMW 최초의 순수전기 플래그십 세단이다. 삼성SDI의 P5 배터리(각형)

    2023.03.14 12:40:13

    BMW 세단·볼보트럭 전시한 삼성SDI…초격차 기술력 과시
  • 다우, 배터리 열폭주 막는 ‘실리콘 폼’ 공개

    글로벌 소재 과학 기업 다우가 3월 15~1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3’에서 실리콘 폼,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고무, 폴리머 에멀젼 및 접착제 등 전기차 배터리를 위한 다우의 혁신적인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인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신제품과 신기술이 소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2차전지산업 전문 전시회이자 세계 3대 배터리 전시회 중 하나다.다우는 이번 전시회에서 배터리 화재 보호를 위한 실리콘 폼, 열전도성 소재, 보라트론(VORATRON™) 소재 등을 포함한 혁신적인 제품들을 공개하고 2차전지산업에 제공할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부스에 완전한 배터리 모형을 전시해 다양한 배터리 디자인에서 각 기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고, 이런 솔루션이 모빌리티의 미래를 앞당기는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직접 경험할 기회를 방문객에게 제공할 계획이다.다우는 실리콘 소재 솔루션 제공 전문기업으로서 압축성, 낮은 열전도성, 온도저항성 등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실리콘 폼 제작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특히 다우의 배터리 화재 보호용 실리콘 폼은 열폭주 시 다양한 배터리 셀 유형과 모듈 및 팩 구성에 배터리 셀 화재 보호 기능을 제공해 배터리 모듈 및 팩의 장기적인 작동 안정성을 보장한다.다우실(DOWSIL™) 열전도성 소재는 전자 장치의 열을 히트 싱크(방열판)로 방출하도록 설계된 갭 필러로 엔진 혹은 변속기 제어 유닛, 온 보드 차저, 배터리 모듈 및 팩에 안정적인 냉각 솔루션을 제공한다.보라트론(VORATRON™) 소재는 다양하고 우수한 전기차 배터리 팩 조립용 접착제, 봉지재, 갭 필러 등을 제공

    2023.03.13 12:00:42

    다우, 배터리 열폭주 막는 ‘실리콘 폼’ 공개
  • ‘비철 제련 강자’ 고려아연, 배터리 소재 기술력 뽐낸다

    고려아연이 국내 최대 배터리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에서 배터리 소재 기술력을 소개한다.3월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에서 고려아연은 미래 신성장동력 트로이카 드라이브 중 하나인 2차전지 소재 사업의 핵심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소개한다고 밝혔다. 부스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블랙을 사용하면서 동박을 상징하는 컬러를 포인트로 활용했다.전시관 메인에는 디오라마가 배치돼 니켈 제련, 황산니켈 제조와 전구체 및 동박 생산 등 고려아연의 사업을 비롯해 전체 배터리 산업의 흐름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2차 전지 밸류체인 내 금속 광물 채취, 중간재 형태로의 가공, 양극 및 음극재 제조에서 고려아연의 역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배터리 양극소재 밸류체인을 설명하는 존에서는 ‘친환경 전기차 산업 성장을 위한 경쟁력 있고 통합된 안정적 원료 공급망 구축’이라는 슬로건 하에 니켈 제련, 배터리 리사이클 및 전구체 사업 등의 이슈와 고려아연의 장점을 설명한다. 고려아연은 제련사업을 통해 구축해 온 글로벌 광산 사업자와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통해 원료 광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배터리 핵심 원료인 니켈을 직접 제련해 생산, 가격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을 높였다. 고려아연의 독보적인 ‘건습식 융합 리사이클’ 기술을 통해 타사와는 차별화된 고로를 활용한 건식 공정을 선행함으로써 폐배터리에서 니켈, 리튬, 코발트 등을 회수하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방안도 함께 소개한다.동박존에서는 50여년 업력의 고려아연만의 전해기술을 통한 제박 기술

    2023.03.06 15:56:40

    ‘비철 제련 강자’ 고려아연, 배터리 소재 기술력 뽐낸다
  • 삼성SDI, 한번 충전에 600km 이상 주행하는 ‘5세대 배터리’ 공개

    삼성SDI가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1’에서 하이니켈 기술이 적용된 Gen.5(5세대) 배터리 등 다양한 배터리 라인업을 선보인다.삼성SDI는 6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행사에서 ‘배터리와 함께하는 삶의 생생한 순간들(Live·Vibrant·Moments)’이라는 테마로 참가한다고 밝혔다.삼성SDI의 부스는 전기차 배터리부터 IT 및 Power용 배터리, ESS용 배터리, E-Mobility용 배터리까지 서로 다른 특색과 제품을 갖춘 4개 존(Zone)으로 구성된다.전기차 배터리 존에는 5세대 배터리를 전시한다. 삼성SDI의 5세대 배터리는 니켈 함량 88% 이상의 하이니켈 기술이 적용돼 한번 충전에 600km 이상 주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성SDI의 배터리가 적용된 BMW의 전기차 2종과 우편 배달용 전기차 등도 볼 수 있다.IT 및 Power용 배터리 존에서는 폴더블폰, 무선이어폰, 전동공구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를 선보인다. 또 ESS용과 E-Mobility용 배터리 존에서는 각각 용도별 ESS용 배터리와 e스쿠터용 배터리 및 충전 스테이션이 전시될 예정이다.삼성SDI는 이번 전시 기간 중 총 10회에 걸쳐 ‘인류가 꿈꾸는 미래를 만들어갈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에 대한 발표를 진행한다. 6월 9일에는 인터배터리와 함께 열리는 ‘더 배터리 컨퍼런스 2021’에서 삼성SDI가 기조 연설을 맡는다.장혁 삼성SDI 연구소장(부사장)이 참석하며 ‘차세대 배터리 신기술(Novel Technologies for LIB and beyond)’을 주제로 삼성SDI만의 차별화된 배터리 기술과 차세대 배터리 개발 현황 등을 소개할 계획이다.손미카엘 삼성SDI 전략마케팅팀장(전무)은 “이번 전시회는 삼성SDI 배터리 기술의

    2021.06.08 09:32:05

    삼성SDI, 한번 충전에 600km 이상 주행하는 ‘5세대 배터리’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