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3조5000억 이상 투입 예상”...삼성SDI, 미국에 배터리 공장 짓는다

     삼성SDI와 제너럴모터스(GM)가 미국에 새 합작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공장에는 최소 3조5000억 이상이 투입될 전망이다.로이터통신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SDI와 GM이 오는 25일 신규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했다.현재 GM의 최대 배터리 협력사는 LG에너지솔루션이다. LG엔솔은 현재 GM솨 손잡고 미시간주에 26억 달러(3조5000억 원) 규모의 합작 공장을 짓고 있다. 2024년 완공이 목표다.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GM과 삼성SDI의 새 공장은 미시간 배터리 공장보다 더 많은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GM은 2022년부터 2024년 중반까지 북미에서 전기차 약 40만 대를 생산하고, 2025년 연간 생산능력을 약 100만 대까지 늘리겠다고 목표한 상태다.LG엔솔에 이어 삼성SDI로 협력관계를 늘려 급증하는 전기차 수요에 대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다만 새 합작 공장의 위치나 규모 등은 곧바로 나오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한편 삼성SDI와 GM은 이같은 보도에 대해 “공식적으로 확인해 줄 수 있는 게 없다”고 했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4.25 11:54:38

    “3조5000억 이상 투입 예상”...삼성SDI, 미국에 배터리 공장 짓는다
  • LG에너지솔루션, 포드에서 4조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러브콜

    [비즈니스 플라자]LG에너지솔루션에과 미국 포드가 약 4조원을 투자해 유럽에서 연 40GWh 안팎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합작 공장 건설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1월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LG에너지솔루션에 유럽 배터리 합작 공장을 제안하고 협의를 진행 중이다.장소는 튀르키예다. 이 공장에서 만든 배터리는 현지 포드 공장에 납품된다. 포드는 이를 통해 미국과 유럽에서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포드는 2022년 3월 SK온과 튀르키예에서 연 최대 45GWh 배터리 합작 공장을 짓기로 한 바 있다. 하지만 배터리 판가 문제로 이견을 보여 결국 계약을 철회하기로 했다.하지만 전기차 전환을 늦출 수 없는 포드는 대안으로 높은 수율과 자금력을 동시에 갖춘 LG에너지솔루션에 러브콜을 보낸 것으로 분석된다.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상위 10개 완성차 기업 중 8개를 고객사로 두고 있을 정도로 탄탄한 수주 경쟁력을 갖췄다. 폭스바겐·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르노닛산·현대차·기아·BMW·혼다 등을 고객으로 뒀다. 이 가운데 현대차·르노·혼다와는 합작 공장을 추진 중이기도 하다.해외 공장 운영 경험이 풍부한 것도 강점으로 꼽힌다. LG에너지솔루션은 유럽 배터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폴란드 공장을 건설했고 이후 2년 만에 90% 정도의 수율을 확보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터득한 노하우를 이용해 이후 가동한 해외 공장에서도 수율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1.16 07:34:28

    LG에너지솔루션, 포드에서 4조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러브콜
  • 권영수 LG엔솔 부회장, 1년 만에 상장·실적·소통 다 잡았다[2022 올해의 CEO]

    [2022 올해의 CEO]‘구원투수’, ‘해결사’.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 부회장에게 따라붙는 수식어다. 권 부회장은 16년간 LG그룹 4개 핵심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를 잇달아 맡으며 위기를 극복하고 실적을 높이는 데 앞장섰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LG화학 전지사업본부장을 맡았던 권 부회장은 약 6년 만인  2021년 11월 LG 배터리 사업의 키를 다시 잡았다. 권 부회장은 올해 기업공개(IPO), 매출 확대, 수주 잔액 확대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다시 세계 시장 1위 자리를 노리고 있다. LG엔솔은 지난 1월 유가증권시장 최초 공모 금액 10조원 돌파, 국내외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 예측에서는 역대 최대인 경쟁률 ‘2023 대 1’을 기록했다. LG엔솔은 상장을 통해 약 10조2000억원의 투자금을 확보했고 이를 통해 글로벌 생산 기지를 확대하고 차세대 전지 연구·개발(R&D)과 신규 사업 투자 등 미래 준비에 나섰다. 투자자들의 기대감만큼 실적도 승승장구했다. LG엔솔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7조611억원, 영업이익 9764억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 실적이다. 특히 전방 산업인 전기차 시장의 빠른 성장 등으로 올해 분기별 매출이 빠르게 확대됐다.4분기도 약 8조원 수준의 매출과 견고한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최초로 연간 영업이익 1조원 이상 달성이 확실시되고 있다. LG엔솔은 올해 매출 계획을 연이어 상향 조정하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2분기 실적 발표 시 19조2000억원에서 22조원으로 상향, 3분기 실적 발표에서는 25조원으로 추가 조정하고 중·장기 목표로는 5년 내 연매출 3배 이상 성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달성을 제시했다. 수주 잔액도 작년 말 260조원에서

    2022.12.16 15:08:55

    권영수 LG엔솔 부회장, 1년 만에 상장·실적·소통 다 잡았다[2022 올해의 CEO]
  • 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호황에 역대 최대 매출

    [비즈니스 플라자]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과 함께 3년 만에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수요가 급증한 덕분이다.LG에너지솔루션은 2월 8일 지난해 매출 17조8519억원, 영업이익 7685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매출은 글로벌 전기차 수요 증가와 수율 등 생산성 개선 노력에 따라 전년 대비 42.0%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18년 이후 3년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흑자 규모는 역대 최대, 영업이익률은 4.3%를 달성했다.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지난해 실적에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에너지 저장 장치(ESS) 리콜 관련 비용, SK이노베이션에서 받은 분쟁 합의금 등 일회성 요인들이 포함됐다.이를 제외하면 지난해 매출은 16조8597억원, 영업이익은 9179억원이라는 설명이다. 지난해 4분기만 놓고 볼 때 LG에너지솔루션은 매출 4조4394억원, 영업이익 757억원을 기록했다.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신규 전기차 출시 확대로 파우치와 원통형 배터리 출하 물량이 늘면서 매출은 3분기보다 10.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GM 리콜 관련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3분기와 비교해 흑자 전환됐다.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매출 목표를 전년보다 8% 높은 19조2000억원으로 잡았다.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14% 증가한 수치다.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원통형 배터리 매출 확대, 고객사 반도체 수급 이슈 등에 따른 영향을 모두 반영해 매출 목표를 잡았다”고 설명했다.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전기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6조3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지난해 투자액 4조원보다 58% 증가한 액수다. 올해 투자 계획에는 GM과의 합작회사 및 기존 해외 거점인 미국 미시

    2022.02.15 17:30:08

    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호황에 역대 최대 매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