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金겹살’ 된 삼겹살…미친 물가에 ‘관세 0%’ 적용

    [숫자로 보는 경제]정부가 가계의 먹거리 부담을 낮추기 위해 6월 초부터 수입 돼지고기·고등어 등 8개 농·축·수산물에 할당관세율 0%를 적용한다.정부는 5월 30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할당관세령과 시장접근물량규칙을 개정하기로 했다. 할당관세는 특정 수입 물품에 대해 기간을 정해 놓고 관세율을 낮추거나 높이는 제도다. 관세가 낮아지면 그만큼 수입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주요 대상은 대중적 먹거리인 돼지고기·고등어를 비롯해 식품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설탕·원당(설탕 원료)과 소주의 주원료인 조주정 등이다. 이들 품목은 단기적인 공급량 부족 또는 국제 가격의 인상에 따라 국내 가격이 인상된 바 있다.정부는 수입 돼지고기에 대해 최대 4만5000톤까지 0%의 할당관세를 적용한다. 공급량 부족으로 가격이 오른 고등어에도 8월 말까지 1만 톤 물량에 대해 할당관세 0%를 적용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4월 돼지고기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4.2% 올랐다.같은 기간 고등어는 13.5%, 설탕은 12.9% 상승했다. 또 설탕의 할당관세율을 기존 5%에서 0%까지 추가 인하하고 원당도 0% 할당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소주의 원료인 조주정의 할당관세 0%도 하반기까지 연장한다.생강은 시장 접근 물량을 1500톤 늘린다. 시장 접근 물량은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는 물량으로, 생강은 시장 접근 물량 내에서 관세율 20%가, 그 외에는 377.3%가 적용된다. 생강은 2022년 작황 부진 등의 영향으로 4월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1년 전보다 91.9% 급등했다. 외국인 실업급여 1위는 조선족한국계 중국인(조선족)이 2022년 외국인 실업급여 수급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2023.06.04 08:03:01

    ‘金겹살’ 된 삼겹살…미친 물가에 ‘관세 0%’ 적용
  • 1분기 합계 출산율, 0.81명으로 역대 최저

    [숫자로 보는 경제]0.81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이 1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저 기록을 다시 갈아 치웠다.통계청이 5월 24일 발표한 ‘2023년 3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올해 1∼3월 0.81명을 기록했다.이는 1분기 기준으로 역대 가장 낮은 수준으로, 기존 최저치인 지난해 1분기(0.87명)보다 0.06명 적다.합계출산율은 2019년 1분기 1.02명을 기록한 이후 16개 분기 연속 1명을 밑돌고 있다. 연초에 출생아 수가 많고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 통상의 추세를 고려하면 하반기 합계출산율은 더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1분기 출생아 수(6만4256명)도 작년 동기보다 4116명(6.0%) 줄어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였다.3월 출생아 수는 2만1138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864명(8.1%) 감소했다. 역시 동월 기준 최저 기록이다.1분기 출산 여성의 연령을 보면 30∼34세 여성의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이 76.0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82.7명이었던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6.7명 줄었다. 25∼29세 출산율도 23.6명으로 작년보다 3.6명 감소했다. 24세 이하 출산율도 2.3명으로 0.5명 줄었다.반면 35∼39세 여성의 출산율은 48.4명으로 작년보다 0.6명 상승했다. 40세 이상도 4.5명으로 0.1명 늘었다. 여성의 출산 연령이 높아지는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350m서울시가 여의도 금융 중심지 내 혁신 디자인 건축물에 용적률을 1200% 이상 완화하고 높이 규제를 사실상 폐지한다.이에 따라 현재 여의도 최고층 빌딩인 333m의 파크원을 넘어서는 350m 높이의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고 한강변 스카이라인이 입체적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서울시는 동여의도 일대(112만586㎡)를

    2023.06.02 06:00:01

    1분기 합계 출산율, 0.81명으로 역대 최저
  • 서울 휘발유 가격 ‘1700원’ 돌파, 다시 오름세?

    [숫자로 보는 경제]◆1700원휘발유 가격이 약 5개월 만에 리터당 1700원대로 올라섰다.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4월 둘째 주(4월 9∼13일) 서울 지역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1710.1원을 기록했다. 서울 지역 휘발유 가격이 1700원대를 돌파한 것은 지난해 11월 5주(1702.18원) 이후 처음이다.지난주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리터당 30.2원 오른 1631.1원에 판매됐다. 지난해 12월 말 1520원대까지 떨어졌던 휘발유 가격은 최근 국제 유가 상승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경유 가격도 리터당 1534.3원으로 전주보다 13.5원 올랐다. 경유 판매 가격은 지난주까지 20주 연속 내림세를 보이다 이번 주 들어 오름세로 전환됐다. 정부는 휘발유 25%, 경유 37% 유류세 인하 조치를 4월 말까지 적용하기로 한 상태다. 최근 세입 예산 대비 부족한 세수를 고려하면 유류세 인하 폭을 축소해야 하지만 물가가 다시 상승 국면으로 전환될 수 있어 정부로서는 딜레마에 직면한 상황이다.◆9만 명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3월 전체 청년층(15~29세)의 취업자는 390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8만9000명 감소했다. 청년층 상용 노동자는 249만4000명으로 4만5000명 줄어든 반면 지위가 불안정한 임시·일용직 청년 취업자는 2만 명 넘게 늘었다. ‘질 나쁜’ 일자리만 늘고 있다는 의미다. 임시·일용직 청년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숙박·음식점업에서 크게 늘었다. 아르바이트 성격의 청년 취업자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숙박·음식점업 청년 취업자 가운데 임시직은 36만5000명, 일용직은 5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각각 5만7000명, 1만5000명 늘었

    2023.04.22 06:00:06

    서울 휘발유 가격 ‘1700원’ 돌파, 다시 오름세?
  • 자동차, 수출 질주…반도체 제치고 1위

    [숫자로 보는 경제]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8개월째 부진한 가운데 자동차가 9년 만에 무역 수지 1위 품목에 올라섰다. 반도체는 국제 수요 감소에 따른 시세 하락 등의 여파로 2022년 말부터 부진을 이어 가고 있다.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2023년 1~2월 누적 자동차 수출액은 105억7795만 달러, 수입액은 26억5710만 달러로 79억2084만 달러(약 10조4317억원)의 무역 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자동차가 무역 흑자 전체 1위에 오른 것은 2014년 이후 9년 만이다.2위는 석유 제품(47억9849만 달러), 3위는 합성수지(32억2152만 달러), 4위는 선박 해양 구조물·부품(26억2468만 달러), 5위는 자동차 부품(25억7015만 달러)이었다. 한국의 조선사들이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시장을 주도하면서 선박 해양 구조물·부품의 무역 수지가 7위에서 4위로 순위가 올랐다.2017년부터 2022년까지 6년 연속 무역 흑자 1위를 지킨 반도체는 2023년 들어 7위(18억9895만 달러)로 떨어졌다. 2023년 2월까지 자동차와 부품을 포함한 합산 수출액은 143억1870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14.8%를 차지했다. 119억6735만 달러를 기록한 반도체를 23억5135만 달러 앞질렀다.  10명 중 6명, “집값 바닥 아직 아니다”부동산 정보 서비스 업체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39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6명이 아직 집값이 바닥을 찍지 않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응답자의 58.5%는 ‘집값이 더 떨어질 것 같다’고 응답했다. 집값이 바닥을 찍어 곧 오르거나 보합일 것으로 생각한 응답자는 41.5%로 집계됐다. 집값의 추가 하락을 전망한 응답자는 그 이유로 ‘최근 1∼2년 내 올랐던 가격 상승분이 덜 하

    2023.04.21 06:07:02

    자동차, 수출 질주…반도체 제치고 1위
  • 자장면값 '6361원'의 시대 [숫자로 보는 경제]

    [숫자로 보는 경제]6361원대표적인 서민 음식으로 꼽히는 자장면 가격이 50여 년 만에 60배 넘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4월 5일 전문 가격 조사 기관인 한국물가정보는 자장면 한 그릇의 올해 평균 가격이 6361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자장면 가격은 한국물가정보가 처음 조사를 시작했던 1970년 100원이었지만 2000년 2500원 수준까지 올랐다.이후에도 가격이 계속 오르다가 2018년부터 5000원 선에 가격이 형성됐고 이후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지난해부터 6000원을 넘어섰다. 특히 최근 5년 새 가격 상승 폭은 26.9%에 달했다.자장면 가격이 이처럼 큰 폭으로 오른 것은 주재료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자장면에 사용되는 밀가루와 식용유 가격은 5년 전인 2018년보다 각각 46.9%와 33.2% 올랐다. 인플레이션과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유행),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식자재 가격이 오른 영향이 컸다.여기에 양파는 166.7%, 오이는 275%나 뛰어 자장면 위에 올라가던 오이채 고명을 무순 등으로 대체하는 곳도 생겨나고 있다. 또 최근에는 곱빼기를 주문할 때 추가되는 금액이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오르고 있다.한국물가정보 권대현 조사연구원은 “지역이나 식당별로 양배추나 감자처럼 추가되는 재료들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자장면 가격은 지역별로도 차이가 날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8만4900원금값이 4월 7일 한국거래소(KRX) 금 시장에서 역대 최고가를 다시 경신했다.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25분께 KRX 금시장에서 1kg짜리 금 현물의 g당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1.64% 오른 8만4800원이다.장 중엔 8만4900원까지 오르며 2014년 3월 24일 KRX 금시장이 거래를 시작한 이

    2023.04.14 06:00:05

    자장면값 '6361원'의 시대 [숫자로 보는 경제]
  • 믿었던 반도체마저 ‘불효’…수출 44% 급락

    [숫자로 보는 경제]2023년 2월 1~20일 무역 수지가 59억8700만 달러(약 7조7700억원) 적자를 기록하면서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무역 수지는 지난 1월까지 11개월 연속 적자였는데 2월까지 1년 연속 적자가 확실시된다.2월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해당 기간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35억49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고 수입은 9.3% 증가한 33억7000만 달러였다. 조업 일수를 고려한 하루 평균 수출액은 14.9% 줄어 감소 폭이 더 컸다. 이 기간 조업 일수는 15.5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일 많았다. 이에 따라 2월 무역 수지 적자는 59억8700만 달러, 연간 적자 누계는 186억3900만 달러에 이른다.세부적으로 보면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의 수출액이 38억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3.9% 줄었다. 무선통신 기기(-25.0%), 정밀 기기(-15.6%), 가전제품(-38.0%), 컴퓨터 주변 기기(-55.5%) 등의 수출액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 기간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액은 395억3600만 달러로 전년보다 9.3% 늘었다.정부는 1년째 지속 중인 무역 수지 적자의 3대 요인으로 에너지, 반도체, 중국을 꼽는다. 2023년 1월 무역 수지 적자 126억9000만 달러의 94.9%가 에너지 수입(54.9%)과 반도체 경기(19.8%), 중국 요인(반도체 제외, 20.3%)에 기인했다고 분석했다.특히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무역에서 2월 수출은 전년 대비 22.7% 줄어든 66억6000만 달러에 그쳤지만 수입액은 5.1% 증가한 74억5000만 달러로 대중국 무역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가계 빚 10년 만에 첫 감소고금리 여파로 2022년 4분기 가계 대출 규모가 약 10년 만에 처음으로 전 분기보다 줄었다. 한국은행이 2월 21일 발표한 ‘2022년 4분기 가계 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2022

    2023.03.03 06:09:02

    믿었던 반도체마저 ‘불효’…수출 44% 급락
  • 전국 미분양 7만5000가구 넘었다…‘10년 만에 최다’

    [숫자로 보는 경제]◆7만5359가구올해 1월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10년 만에 7만5000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지방을 중심으로 건설업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부동산 금융 부실 우려도 커지게 됐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5359가구를 기록했다. 전월(6만8148가구)보다 10.6% 증가한 수치로 10년 2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2020년 말 1만9005가구, 2021년 말 1만7710가구였던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가팔라졌다. 지난해 11월과 12월은 한 달 만에 각각 1만 가구씩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상반기 안에 미분양이 10만 가구를 넘어설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미분양 증가를 주도한 것은 지방이다. 올해 1월 기준 수도권(1만2257가구)보다 비수도권(6만3102가구) 물량이 83.7%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중·대형 미분양 비율은 크게 놓아졌다. 85㎡ 초과 중대형이 전달(7092가구)보다 25.9% 증가한 8926가구였고 85㎡ 이하는 6만6433가구로 전월(6만1056가구) 대비 8.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서울을 포함한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로 수도권 분양 경기가 먼저 회복세를 타면서 지방은 더 깊은 미분양 늪에 빠진 것으로 풀이된다. 1월 미분양 물량은 미분양 주택의 20년 장기 평균이자 정부가 위험선으로 보고 있는 ‘6만2000채’를 훌쩍 넘어서는 규모다. 주택업계 등은 정부의 추가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는 아직까지 개입할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올해 초 1·3 대책을 통해 규제를 대폭 완화한 만큼 최대한 시장에서 해소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2023.03.03 06:00:01

    전국 미분양 7만5000가구 넘었다…‘10년 만에 최다’
  • ‘돈 잔치’ 비난에 10조원 보따리 연 은행권

    [숫자로 보는 경제] 10조정부와 여론에서 ‘돈 잔치’ 비난을 받는 은행권이 향후 3년간 10조원을 공급한다는 내용의 공익성 강화 대책을 내놓았다.은행연합회는 2월 15일 “은행권이 이익의 사회 환원을 통해 국민 경제의 어려움을 분담하고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3년간 10조원 이상의 사회 공헌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이날 오전 주요 은행의 부행장급 임원들이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은행권 상생 금융 강화 방안’을 주제로 논의한 결과다.우선 은행권은 공동 사회 공헌 사업 자금 5000억원을 재원으로 활용해 취약 차주에게 긴급 생계비 2800억원, 채무 성실 상환 대출자에게 17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이와 함께 서민 금융 상품(새희망홀씨·햇살론15·햇살론뱅크·최저신용자 특례 보증 등) 공급도 확대할 방침이다.지난해 서민 금융 상품의 공급 규모가 약 5조4800억원 정도이고 올해 목표가 6조4000억원인데 앞으로 은행들은 3년간 새희망홀씨 등 서민 금융 상품의 지원 규모를 올해 기존 목표(6조4000억원)보다 9.3% 많은 7조원으로 증액할 계획이다.지난해 9월 출시한 소상공인 저금리 대환(갈아타기) 대출 보증 재원도 더 마련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더 많은 소상공인이 이 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 3년간 은행권 보증 재원을 약 800억원 추가 출연해 전체 보증 규모를 약 1조원까지 늘리기 위한 방안이다.은행별로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저신용자 채무 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취약 차주들에게 약 7000억원도 새로 공급할 예정이다. 3000만원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 가격이 한 달 전보다 3% 가까이 높아져 8개월 만에 다시 3.

    2023.02.24 06:00:01

    ‘돈 잔치’ 비난에 10조원 보따리 연 은행권
  • 다주택자도 LTV 30% 허용된다

    [숫자로 보는 경제] 30%서울 등 규제지역 내 다주택자를 상대로 한 주택 담보 대출 금지 규제가 해제되고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이 30%로 적용된다.정부는 2023년 경제 정책 방향에서 이런 내용의 부동산 금융 규제 완화 방안을 2022년 12월 21일 발표했다.이에 따라 2023년부터 서울 전 지역과 경기도 과천·성남(분당·수정)·하남·광명 등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다주택자도 집값의 30%까지 주택 담보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앞서 정부는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18년 9월 13일 이후 규제지역 내 다주택자의 주택 담보 대출을 전면 금지하는 고강도 대출 규제를 시행해 왔다.기존 보유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 규제도 폐지한다. 9억원 초과 주택의 임차 보증금을 반환할 목적으로 주택 담보 대출을 받을 경우 3개월 이내 해당 주택에 전입해야 하는 의무가 폐지되고 현재 2억원인 생활 자금 목적 주택 담보 대출 한도도 폐지된다. 이들 대출에 대한 LTV 규제는 신규 주택 구매 때와 동일하게 적용된다.등록 임대 사업자에 대해서는 규제지역 내 LTV 상한을 일반 다주택자보다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규제지역 내 무주택자에게 적용되는 LTV 규제의 추가 완화는 시장 상황과 가계 부채 여건을 봐 가면서 추진하기로 했다.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40%)는 그대로 유지한다. DSR 규제 유지로 LTV 규제 완화에 따른 대출 한도 증가 폭은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이세훈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그동안 지나치게 강한 수준이던 LTV 규제를 정상화하되 DSR 규제는 차주가 상환할 수 있는 소득 범위에서 빌릴 수 있는 대출 관행을 정착시킨다는 점에서 당분간 유지할 방침”

    2022.12.30 06:00:01

    다주택자도 LTV 30% 허용된다
  • ‘역대 최고’ 코픽스 4% 턱밑…자고 일어나면 오르는 대출 금리

    [숫자로 보는 경제]◆3.98%은행권 변동형 주택 담보 대출(주담대)의 지표로 활용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의 빅 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과 은행권의 자금 조달 경쟁 여파에 급등하면서다.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10월 코픽스에 따르면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98%로 전월 대비 0.5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공시가 시작된 2010년 1월(3.88%) 이후 최고치다.잔액 기준 코픽스는 2.85%로 전월 대비 0.33%포인트 상승했다. 신잔액 기준 코픽스는 0.32%포인트 오른 2.36%로 나타났다.코픽스는 NH농협·신한·우리·SC제일·하나·IBK기업·KB국민·한국씨티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 평균 금리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 상품 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될 때 이를 반영해 오르거나 내린다.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은행이 지난 10월 중 신규로 조달한 자금을 대상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잔액 기준·신잔액 기준 코픽스보다 시장 금리 변동을 신속하게 반영한다.주요 은행들의 변동형 주담대와 전세 대출 금리가 코픽스 상승 폭만큼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5주대표적인 ‘서민 연료’로 불리던 경유의 가격이 5주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휘발유 가격은 9주 연속 하락했다.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6∼10일) 전국 주유소 경유 판매 가격은 지난주보다 12.8원 오른 1884.5원으로 집계됐다.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주보다 0.3원 내린 리터당 1659.6원으로 나타났다. 지난주에 이어 경유와 휘발유의 리터당 평균 판매

    2022.11.19 06:00:13

    ‘역대 최고’ 코픽스 4% 턱밑…자고 일어나면 오르는 대출 금리
  • 경제 한파 더 거세진다…“2023년 성장률 1%대 그칠 것”

    [숫자로 보는 경제]글로벌 통화 긴축의 영향으로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서 한국의 2023년 경제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수는 11월 7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마련한 ‘2023년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에서 이 같은 예상을 내놓았다.조 교수는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들이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어 코로나19 사태 이후 수출 위주의 회복세를 보인 한국 경제에 좋지 않은 여건”이라며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8월 기준 2.1%지만 1%대로 낮출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조 교수는 “수출은 글로벌 경기 침체의 여파로 증가율이 상당히 감소할 것”이라며 “민간 소비는 코로나19 방역 완화 등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 취약 계층의 한계 상황 직면, 주택 가격 조정 등 리스크 요인이 크다”고 짚었다.최근 대신증권(1.6%), 하나금융경영연구소(1.8%), 한국경제연구원(1.9%), 국제 신용 평가사 피치(1.9%) 등 국내외 민간 경제·금융회사는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제시했다.  겨울철 난방비 ‘비상’…올해 열요금 38% 폭등본격적인 겨울철을 앞두고 난방·온수비와 연관되는 열요금이 올해 40% 가까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지역난방공사에 따르면 올해 1메가칼로리(Mcal)당 주택용 열 사용 요금(난방·온수 사용량을 계량기로 검침해 부과하는 금액·이하 열요금)은 지난 4월 66.98원에서 7월 74.49원, 10월 89.88원으로 잇달아 올랐다. 열요금이 오른 것은 2019년 8월 이후 약 3년

    2022.11.12 06:05:02

    경제 한파 더 거세진다…“2023년 성장률 1%대 그칠 것”
  • [해시테그 경제 용어] 마태 효과

    [해시테그 경제 용어]마태 효과(matthew effect)는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되고 가난한 자는 더욱 가난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한자로는 ‘부익부 빈익빈’으로 표현할 수 있다.‘신약성서’의 ‘마태복음’ 13장 12절과 25장 29절에 ‘무릇 있는 자는 더욱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있는 것까지도 빼앗기리라’라는 글이 나온다. 마태 효과는 미국의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이 처음 주장했다. 1969년 머튼은 동일한 연구 성과를 놓고도 유명한 과학자들이 무명의 과학자들보다 많은 보상을 받는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현상을 ‘신약성경’의 ‘마태복음’ 구절에서 따 와 ‘마태 효과’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다. 대부분의 과학 연구에서 대학원생이 많은 역할을 도맡지만 연구 책임자가 포상을 받는 현실을 지적했다. 비단 과학계만이 아니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러한 마태 효과는 더욱 두드러진다. 전체 인구나 기업 중 상위 20%가 시장 전체의 80%를 차지한다는 20 대 80의 법칙도 마태 효과와 연관이 있다. 특히 경제 성장이 지속되면서 독과점이 더욱 심화되는 추세다.미국 의회예산국(CBO)이 10월 2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 기준으로 미국의 하위 50% 가계가 전체 부의 2%만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1989년에서 2019년 사이 미국 가계가 실제 소유한 자산은 38조 달러에서 115조 달러로 3배 넘게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소득 상위 50%에만 집중됐고 특히 상위 10%와 1% 가계에 부가 몰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 

    2022.11.05 06:00:03

    [해시테그 경제 용어] 마태 효과
  • “내년 집값, 2.5% 하락 전망”

    [숫자로 보는 경제]2.5%내년에도 높은 금리와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집값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1월 2일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3년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주택 가격이 2.5%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올해 누적 집값 하락 전망치(-1.8%)보다 낙폭이 큰 것이다.내년에 수도권은 2.0% 하락하고 지방은 3.0% 떨어져 지방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측했다.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올해 3분기부터 하락세가 거세졌지만 10월 28일 비상 경제 대책 회의에서 밝힌 금융 규제 완화가 낙폭 확대를 저지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며 “지방은 앞서 상승기에 주택 공급이 집중된 곳을 중심으로 수도권보다 하락 폭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다만 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 기조와 경기 침체로 매수 심리 부진이 계속되며 시장 전반에 걸쳐 가격 하락세와 거래 침체의 골은 올해보다 더 깊어질 것으로 내다봤다.전세는 매수세 축소로 인해 전세 시장으로 수요가 추가 유입되며 올해와 달리 전국 기준 0.5% 상승할 것으로 관측됐다.1316만원프랑스 명품 브랜드 샤넬이 11월 2일 전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이날 샤넬은 한국 매장 내 전 제품 가격을 3∼11% 인상한다고 밝혔다. 올해 넷째 가격 인상으로 지난 8월 이후 3개월 만이다.제품별로 가방은 5~8% 인상됐는데 대표 인기 제품인 클래식 플랩백은 6∼7% 올랐다.특히 클래식 플랩백 미디움은 1239만원에서 1316만원으로 가격이 올라 1300만원대를 돌파했다.지난해 11월 1124만원이던 해당 제품은 지난 3월 1180만원, 8월 1239만원으로 각각 인상돼 1년 만에 약 17% 상승했다. 5

    2022.11.05 06:00:01

    “내년 집값, 2.5% 하락 전망”
  • ‘10명 중 6명 찬성’ BTS 병역 특례, 국방부는 반대

    [숫자로 보는 경제]  BTS 병역 특례 찬성 60.9%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병역 특례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찬성한다는 여론 조사 결과가 나왔다.국회 국방위원회가 9월 14일부터 1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18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 수준에 표본 오차 ±3.07%포인트)한 결과 BTS 등 국위 선양에 기여한 대중문화·예술인을 예술·체육 요원으로 편입하는 병역법 개정안 심사와 관련해 ‘찬성’이 60.9%, ‘반대’가 34.3%로 나타났다.대체 복무 전환에 반대하는 응답자 중 입대하되 공익을 위한 공연 등은 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방안에 대해서는 찬성이 58.7%, 반대가 37.7%로 집계됐다. BTS의 대체 복무 전환에 대한 국민 여론이 우호적으로 나타나면서 소속사 하이브는 9월 19일 장중 한때 주가가 6.49%까지 급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하이브는 전 거래일보다 2.27% 오른 15만7500원에 마감했다.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BTS 등 대중문화·예술인의 군 대체 복무를 허용하는 ‘병역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문화훈장·문화포장·체육훈장·체육포장 등을 받은 대중문화·예술인을 예술·체육 요원에 추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현재 시행령으로 규정하고 있는 예술·체육 요원 편입 조건을 법령으로 확정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국방부는 병역법 개정안에 반대하고 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9월 20일 국회에서 열린 제4차 본회의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방탄소년단의 병역특례 문제와 관련해 “병역 의무 이행의 공정성 측면에서 대체복무

    2022.09.24 06:00:01

    ‘10명 중 6명 찬성’ BTS 병역 특례, 국방부는 반대
  • 서울 아파트 시가 총액 ‘2700억원’ 증발

    [숫자로 보는 경제]2749억원서울 아파트 시가 총액이 2700억원 정도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9월 1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서울 아파트 시가 총액은 총 1357조4685억3800만원으로, 5월 10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시행 직전인 4월 말의 1357조7435억200만원에 비해 2749억6400만원 감소했다.양도세 중과 유예 기간 내 팔려는 매물은 늘었지만 최근 계속되는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의 여파로 매수세가 자취를 감추면서 집값 하락이 본격화했기 때문이다.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 집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 직전인 5월 9일 5만5509건에서 현재 5만9759건으로 7.6% 증가했다.하지만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은 지난 5월 1745건에서 6월 1079건, 7월 639건에 그치며 역대 최저를 기록 중이다.이 가운데 새 정부 들어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던 서울 재건축 단지의 시가 총액도 4월 말 239조5270억600만원에서 8월 말 239조4983억3000만원으로 286억7600만원 줄었다.이에 비해 1기 신도시 시가 총액은 4월 말 145조6084억5700만원에서 145조7093억6000만원으로 1009억원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최근 들어 1기 신도시 아파트 값도 하락 전환됐지만 신도시 재정비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로 서울 재건축보다는 낙폭이 작기 때문이다. 3.7%서민·실소유자가 보유한 변동 금리 주택 담보 대출(주담대)을 최저 연 3.7%의 장기·고정 금리로 바꿔 주는 우대형 안심 전환 대출이 9월 15일부터 시작됐다.금융위원회는 시가 4억원 이하 1주택 보유자를 대상으로 9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우대형 안심 전환 대출을 신청, 접수하고 있다고 9월 14일 밝혔다.안심 전환 대출은 금리 상승기에 주

    2022.09.17 06:00:10

    서울 아파트 시가 총액 ‘2700억원’ 증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