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갭 투자’ 열풍에 전세 대출 200조원 돌파

    [숫자로 보는 경제]전세 자금 대출이 사상 처음 2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주택금융공사·주택도시보증공사(HUG)·SGI서울보증 등 3대 공적 보증 기관의 전세 자금 보증 잔액은 지난해 10월 기준 약 185조원인 것으로 조사됐다.은행 대출금 가운데 이들 기관이 보증하는 비율은 90% 정도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전세 대출 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돌파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전세 대출 잔액은 2019년 100조원을 돌파했는데 2년 만에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전세 대출 잔액이 이처럼 불어난 것은 부동산 갭 투자 열풍에 따른 것이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18년 서울의 전체 주택 매매에서 14.6%였던 갭 투자(매매 시 임대 보증금 승계) 비율은 지난해 41.9%까지 치솟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도 서울 강서구·은평구 등 비강남권 지역에서 다세대·빌라 등을 전세를 끼고 실투자금 약 1억원에 사들이는 갭 투자가 크게 늘어났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시각이다.이 같은 전세 대출 잔액 급증에 따라 가계 부채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금리 상승에 집값·전셋값이 동반 하락하면 이 같은 갭 투자가 향후 ‘깡통 전세’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서영수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무주택 2030세대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다세대·연립을 갭 투자 방식으로 무리하게 매수했다”고 분석하며 “이들이 갭 투자를 위해 신용 대출이나 다른 전세 대출 등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은 만큼 관련 대출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2.02.26 06:00:01

    ‘갭 투자’ 열풍에 전세 대출 200조원 돌파
  • 한국 기업들 고용 민감도 0.31%p에서 0.27%p로 하락

    [숫자로 보는 경제]한국 기업 매출이 늘어도 고용은 늘어나지 않는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이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성장과 고용 간 관계 : 기업 자료를 이용한 분석(BOK이슈노트)’에 따르면 한국에선 5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성장과 고용 간 관계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통계청의 2014~2019년 기업 활동 조사를 활용해 기업 매출 증가율에 따른 고용 증가율을 회귀 분석해 고용 민감도를 살펴봤다. 고용 민감도는 매출 증가율 1%포인트 변화에 대한 고용 증가율의 반응을 의미한다.조사 결과 2014~2019년 4만1467곳의 기업 매출이 평균 1%포인트 상승 시 고용 민감도 수치는 0.29%포인트에 그쳤다.고용 민감도를 기간별로 보면 매출 증가율이 1%포인트 상승할 때 2014~2016년 0.31%포인트 늘었지만 2017~2019년 0.27%포인트 증가했다.한국은행은 최근의 고용 민감도 하락은 매출이 증가한 제조업 300인 이상, 서비스업 300인 미만 기업의 고용 창출력이 큰 폭으로 하락한 데 기인했다고 분석했다.실제 분석에서 서비스업 300인 미만 기업은 2014~2016년, 2017~2019년 기간 중 매출 증가에 대한 고용 민감도가 0.28%포인트에서 0.13%포인트로 하락했다.송상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경쟁 심화 등에 따른 가격 결정력 약화에 상당 부분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경쟁 심화로 기업의 가격 결정력이 약화되면 비용이 가격으로 전가되기 어려워 매출 원가율 상승으로 이어진다. 특히 숙박음식·정보통신·사업시설·부동산업 등의 고용 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진단했다.제조업 300인 이상 기업도 같은 기간 고용

    2022.02.25 17:30:05

    한국 기업들 고용 민감도 0.31%p에서 0.27%p로 하락
  • 치솟는 밥상 물가…3분기 상승률 5%, OECD 5위

    [숫자로 보는 경제]무섭게 치솟는 밥상 물가에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도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소비자 전체 물가 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지만 서민이 직접 피부로 느끼는 밥상 물가는 큰폭으로 올랐다. 통계청과 OECD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한국의 ‘밥상 물가(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5.0% 올랐다.이는 38개 OECD 국가 중 터키(27.6%), 콜롬비아(11.2%), 호주(10.6%), 멕시코(8.0%)에 이어 다섯째로 높은 수치다.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는 구매 빈도가 높고 자주 소비하는 품목인 데다 절약하기 어려운 필수품이 많아 ‘밥상 물가’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지난 3분기 동안 달걀(51.6%), 배(45.2%), 사과(34.6%), 마늘(28.1%), 감(27.67%), 돼지고기(12.4%) 등 차례상에 많이 올리는 농산물과 과수 용품 가격이 오르며 상승 폭을 이끌었다. 특히 3분기 전체 과실품 가격은 1년 새 18.1% 급등했다. 이와 함께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도 국내 가공식품의 가격을 끌어올렸다. 한국의 밥상 물가는 지난해 1분기부터 7개 분기 연속 높아지는 추세다. 4분기(10∼12월)에도 오름세를 이어 갈 것으로 보인다. 실제 10월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11월 들어 6.1% 뛰었다.한편 한국의 올해 3분기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2.6% 증가했다. 2012년 1분기(3.0%) 이후 9년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다만 OECD 국가 중 벨기에와 같은 23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한다.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2021.12.11 06:00:17

    치솟는 밥상 물가…3분기 상승률 5%, OECD 5위
  • 7월 출생아 수 역대 최저치…인구 21개월째 ‘자연 감소’

    [숫자로 보는 경제]지난 7월 한국의 출생아 수는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 사망자 수가 출생아의 수를 앞지르는 ‘자연 감소’도 21개월째 지속됐다.통계청이 9월 29일 발표한 ‘2021년 7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2만2352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47명으로 2.8% 감소했다. 7월 기준으로 살펴볼 때 1981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출생아 수는 계절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같은 달을 기준으로 비교한다. 월별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68개월째 감소했다. 시도별 출생아 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광주·대전 등 5개 시도에서 증가했고 서울·부산 등 12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5.1명으로 전년보다 0.2명 줄었다.7월 사망자 수는 2만569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01명(7.1%) 증가했다. 사망자 수는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늘었다. 출생아 수가 줄고 사망자 수가 늘면서 7월 인구 자연 증가분(출생아-사망자)은 마이너스 3338명을 기록했다. 1~7월 누적치로는 마이너스 1만1493명이다. 자연 감소는 2019년 11월 이후 2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7월 혼인과 이혼 건수는 모두 줄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혼인 건수는 1만5739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7.9% 감소했다. 혼인은 2012년 이후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고 혼인 연령층인 30대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로 결혼식을 연기한 것도 영향을 줬다. 이혼 건수는 8306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1% 감소했다. 혼인 자체가 감소한 것과 함께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른 수도권 법정 휴원 권고로

    2021.10.02 06:00:05

    7월 출생아 수 역대 최저치…인구 21개월째 ‘자연 감소’
  • ‘패닉 바잉’ 2030, 서울 비아파트 4채 중 1채 샀다

    [숫자로 보는 경제]20~30대가 서울에서 2021년 상반기에 매매된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 주택 등 비(非)아파트 4채 중 1채를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8월 10일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비아파트 월별 매입자 연령대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매매된 4만3444건의 비아파트 중 20대 이하, 30대의 비율이 24.6%(1만678가구)로 나타났다. 20대 이하는 3274가구, 30대는 7404가구를 매입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9.5%)보다 5.1%포인트(p) 상승한 것이다.연령대별로 보면 50대(8326가구, 19.2%)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20대 이하와 30대의 매수 비율은 각각 2%p, 3.1%p 상승한 반면 40대와 50대의 비율은 각각 0.3%p, 2.1%p 감소했다.2030 매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도심 업무지역과 가까운 마포구(35.4%), 용산구(34.2%), 양천구(31.9%) 등이었다. 모두 대중교통을 이용해 시청·종각·을지로 등 도심 업무지역을 오가기 쉽고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 정비 사업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의 대형 인프라 사업으로 향후 주거 가치가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다.강남권 출퇴근이 수월한 성동구(29.6%), 강서구(29.0%), 서초구(28.5%) 등도 20~30대의 매수 비율이 서울 평균치보다 높았다.지난해와 비교해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거래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비아파트 거래는 되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지난해 상반기 4만8298건을 기록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2만9399건으로 39.1% 감소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비아파트 매매는 전년보다 6.8% 증가했다.다방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 매매가·전세금 급등으로 자금력이 부족

    2021.08.14 06:02:01

    ‘패닉 바잉’ 2030, 서울 비아파트 4채 중 1채 샀다
  • 컨테이너 운임 ‘또 최고치’, 4200 근접

    [숫자로 보는 경제] 해운 운임이 12주 연속 최고가를 경신했다. 글로벌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지수(SCFI)가 7월 30일 기준 4200 선에 근접하며 상승세를 이어 갔다. 동시에 한국 기업들의 주요 수출 항로인 유럽 노선과 북미 노선의 운임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상하이해운거래소가 발표한 7월 넷째 주 종합운임지수(SCFI)는 4196으로 전주 대비 96.2포인트 올랐다. 아시아~유럽 항로의 운임은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대)당 7395달러로 지난주 대비 268달러 상승했다. 아시아~유럽 항로의 운임도 올해 들어 최고치를 찍었다.한국 기업의 주요 수출 노선인 아시아~북미 항로의 운임도 올해 들어 가장 높았다. 아시아~미국 서안 항로의 운임은 FEU(1FEU는 40피트 컨테이너 1대)당 5518달러로 지난주 대비 130달러 올랐다. 아시아~미국 동안 항로는 10067달러로 지난주보다 무려 217달러 상승했다.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SCFI지수는 공급망 충격에 따른 수급 불균형으로 고운임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아시아~북미 서안에서는 항만에서 대기 중인 선박들이 증가하면서 운임이 더 오를 것이라고 예측했다.해운업계에서는 운임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통적으로 3분기는 성수기로 연말을 앞두고 물량이 몰리는 시기다. 최근에는 경기 회복과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에 따른 보상 소비의 증가, 유가 상승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 

    2021.08.07 06:00:08

    컨테이너 운임 ‘또 최고치’, 4200 근접
  • 장마 폭염에 채솟값 급등…상추 76%↑ 시금치 92%↑

    [숫자로 본 경제]장마와 폭염으로 상추와 시금치 등 일부 잎채소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8월 초까지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추석 물가도 걱정된다.농림축산식품부가 7월 28일 발표한 ‘주요 채소 수급 동향 및 대책’ 자료에 따르면 폭염으로 인한 생육 지연과 휴가철 쇠고기·돼지고기 소비 증가와 연계한 수요 확대로 상추와 시금치 가격이 크게 올랐다.상추는 최근 폭염으로 작황이 부진하지만 수요가 늘면서 7월 하순 기준 청상추 도매가격이 4kg당 4만1300원으로 평년 대비 76% 급등했다. 청상추 도매가격은 3월 1만3363원에서 5월 1만5029원, 6월 2만3549원 등 꾸준히 오르고 있다.여름철 높은 가격을 보이는 시금치는 이날 4kg당 도매가격이 4만4511원으로 평년보다 92% 올랐다. 시금치 도매가격은 7월 들어 상순 1만6560원, 중순 2만5669원, 하순 3만3821원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일조량의 영향을 많이 받는 깻잎은 이달 상순 1만5737원에서 중순 1만7991원, 하순 2만1351원으로 올랐다. 이날 조사 가격은 평년보다 3% 높은 1만8481원으로 나타났다.농식품부는 “현재 높은 가격을 보이는 상추·시금치·깻잎 등 잎채소는 심은 후 생육 기간이 짧아 출하가 꾸준히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폭염 지속과 계절 수요 등이 수급 상황에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앞으로도 폭염이 계속된다면 가을 수확을 앞둔 사과나 배 등 다른 농산물의 가격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거리 두기 단계 격상으로 집밥 수요가 증가한 데다 추석까지 앞둔 상황이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더 커질 것이란 우려다.농식품부 관계자는 “여름철은 기온·강수량의 영향이 커 생활 물가에 민감

    2021.08.02 06:00:01

    장마 폭염에 채솟값 급등…상추 76%↑ 시금치 92%↑
  • 제조업 경기 전망, 7년 만에 ‘긍정’으로 전환

    [숫자로 보는 경제]한국 제조 기업의 올해 3분기 경기가 2분기보다 나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경제 회복에 따른 수출 반등과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내수 회복 기대감이 해당 전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제조 기업 2400여 곳을 대상으로 3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7년 만에 기준치(100)를 넘어 103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BSI가 기준치 100을 넘긴 것은 2014년 3분기 이후 처음이다.BSI가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가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는 그 반대다.대한상의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 회복에 맞춰 최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개월 연속 40% 이상 증가했다”며 “한국의 백신 접종률도 크게 늘어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수출 BSI는 112, 내수 BSI는 101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기계(120) △제약(113) △IT·가전(108) △의료정밀(106) △식음료(105) 등이 기준치를 웃돌았다.기계 업종의 체감 경기가 높은 것은 미국 공공 인프라 확대 정책의 수혜가 기대돼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특수성과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바이오·소비재의 경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반면 유가 상승과 낮은 정제 마진으로 정유·석유화학(96)과 조선·부품(85), 출판 인쇄(81), 비금속 광물(80) 등의 업종은 부정적인 전망이 많았다.상반기 목표 실적 달성 가능성에는 응답 기업의 절반 정도(49.3%)가 ‘상반기 목표치를 달성 혹은 초과할 것’이라고 답했다.‘목표치에 미달할 것’이라고 예상한 기업은 50.7%로 나타났다. 하지만 코

    2021.07.05 06:45:01

    제조업 경기 전망, 7년 만에 ‘긍정’으로 전환
  • 백신 접종에 살아난 소비 심리…물가·금리·집값 상승 전망

    [숫자로 보는 경제]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예상보다 순항하고 있고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소비자들의 체감 경기가 6개월 연속 개선됐다.한국은행이 6월 24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3으로 5월보다 5.1포인트 상승했다.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지수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 평균(2003~2019년)보다 소비 심리가 낙관적이라고 해석한다. CCSI는 1월(+4.2포인트), 2월(+2.0포인트), 3월(+3.1포인트), 4월(+1.7포인트), 5월(+3.0포인트)에 이어 여섯 달째 오름세를 이어 갔다.전월인 5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가운데 향후경기전망(109, +10포인트), 현재경기판단(94, +9포인트), 소비지출전망(113, +5포인트), 가계수입전망(100, +2포인트), 생활형편전망지수(99, +2포인트)가 상승했다. 현재생활형편지수(93)는 제자리에 머물렀다. 특히 소비지출전망지수는 2012년 5월(113)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CCSI 항목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취업기회전망지수(103), 금리수준전망지수(124)도 각 11포인트, 6포인트나 뛰었다. 취업기회전망지수는 2017년 11월(104), 금리수준전망지수는 2019년 1월(125) 이후 각 3년 6개월, 2년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지난 2∼4월 3개월 연속 떨어졌다가 5월(124) 반등한 주택가격전망지수는 6월(127)에도 상승세를 유지했다.물가수준전망지수(147)도 한 달 새 1포인트 올라 2017년 1월(148) 이후음 4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지난 1년간의

    2021.06.28 06:17:01

    백신 접종에 살아난 소비 심리…물가·금리·집값 상승 전망
  • “아파트 너무 비싸” 서울 빌라 거래량, 5개월째 아파트 추월

    [숫자로 보는 경제]서울 내 다세대·연립주택의 거래량이 아파트 거래량을 5개월 연속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6월 1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5월 서울 연립·다세대 주택(이하 빌라)의 거래량은 5056건을 기록해 하루 평균 163.1건이 거래됐다. 하루 평균 거래량은 4월(188.4건)보다 13.4% 감소했지만 전체 거래량은 여전히 5000건 이상을 기록했다.서울 빌라 거래량은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연속 아파트를 웃돌았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월 5769건에서 5월 3965건으로 감소세다. 2월부터는 4개월째 4000건 이하를 기록 중이다.빌라와 아파트의 거래량 차이는 연초보다 더 벌어지고 있다. 1월에는 하루 평균 거래량 기준으로 아파트(186.1건)와 빌라(188건)가 비슷했다. 이후 2월부터는 차이가 벌어지면서 4월에는 빌라 188.4건, 아파트 121.1건으로 1.5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5월에도 격차는 1.3배로 집계됐다. 5월 계약 신고 기한이 아직 남아 있는 점을 고려하면 빌라와 아파트 거래량 차이는 더 벌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아파트의 거래량이 빌라보다 월간 기준으로 2~3배 더 많았다. 하지만 올해는 5개월 연속 빌래 거래량이 아파트 거래량을 추월하고 있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아파트 값이 치솟으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빌라에 수요가 몰리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오세훈 서울 시장이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를 공약함으로써 재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도 빌라 거래를 부추겼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해시테그 경제 용어] 골드칼라사회 계층을 표현하는 말로는 사무직 노동자를 상징하는 화이트칼라와 육체 노동자를 일컫는 블루칼라가 대표적이었다. 하지만 21세기 떠오

    2021.06.22 06:19:01

    “아파트 너무 비싸” 서울 빌라 거래량, 5개월째 아파트 추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