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퇴색한 책임 경영’…총수 일가 이사 등재 5년째 뒷걸음

    [스페셜 리포트] 2022 지배구조 랭킹대기업 총수나 그 일가의 이사 등재 비율이 해마다 낮아지고 있고 이사로 등재하지 않은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총수 일가가 상당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총수 일가가 여전히 권한과 이익은 누리면서도 책임은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나 책임 경영 측면에서 우려가 제기된다.  중흥건설, 문어발 겸직왕 등극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2021년 공시 대상 기업집단의 지배구조 현황’에 따르면 총수 일가가 이사회 활동을 하지 않는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한 경우는 총 176건이었다. 공정위가 총수 일가의 미등기 임원 재직 현황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미등기 임원은 등기 임원과 달리 법인 등기부등본에 등록되지 않고 이사회 활동을 하지 않는 임원을 말한다. 명예회장·회장·부회장·사장·부사장·대표·부대표·전무·상무·이사 등 기타 회사의 업무를 집행할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정될 만한 명칭을 사용해 업무를 집행하는 사람이다.특히 사익 편취 규제 대상 회사(15.5%)와 사각지대 회사(8.9%)에 재직하는 비율이 비규제 대상 회사 재직 비율보다 높았다. 총수 본인은 1인당 평균 2.6개 회사의 미등기 임원을 맡고 있었다.중흥건설(11개), 유진(6개), CJ(5개), 하이트진로(5개) 등 4개 집단은 총수 1명이 5개 이상의 계열사에 재직했다. 총수 2·3세는 1인당 평균 1.7개의 회사에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했다. 중흥건설은 총수 1명과 총수 2세 1명이 각 11개 계열사의 미등기 임원으로 겸직하고 있었다.  책임 없는 미등기 임원 선호2013년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연간 5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는 상장사 등기

    2022.01.18 06:00:01

    ‘퇴색한 책임 경영’…총수 일가 이사 등재 5년째 뒷걸음
  • 최고의 지배구조 모범생 ‘아모레퍼시픽’…네이버·현대重 순위 급상승

    [스페셜리포트] 2022 지배구조 랭킹지속 가능 경영의 잣대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떠오르면서 전 산업 영역에서 ESG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그중 하나가 ‘G’, 바로 지배구조 개선 작업이다. 한경비즈니스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 변화에 발맞춰 급변하는 한국 기업들의 지배구조 현황을 보다 면밀히 들여다보기 위해 올해로 4회째 ‘기업지배구조 랭킹’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부단한 노력으로 지속 가능 경영의 닻을 올린 기업들과 상대적으로 아쉬운 성적을 보인 기업들의 지배구조 변화를 들여다봤다.  <종합 순위>네이버·현대중공업 ‘톱10’ 신규 진입아모레퍼시픽그룹이 2년 연속 ‘기업지배구조 랭킹’ 종합 1위에 올랐다. 한경비즈니스가 지난해 12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공시 대상 기업집단 지배구조’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아모레퍼시픽은 277.4점(300점 만점)을 받았다. 조사 대상인 2021년 공시 대상 기업집단 60개(대우조선해양·대우건설 제외) 중 단연 1위다.아모레퍼시픽은 평가 항목인 사외이사 비율 분야에서 5위(93.5점), 이사회 내 위원회 설치 분야에서 1위(100점), 소수 주주권 보장에서 11위(83.9점)를 기록하며 고루 상위권에 올랐다. 전체 60개 그룹 중 55곳의 순위 변동(상승 19개, 하락 28개, 신규 진입 8개) 속에 이룬 성과다.이 회사는 2018년 10월 기업지배구조 헌장을 도입했고 2019년 11월 본격적으로 이사회 내 내부거래위원회와 보상위원회를 설치하며 지배구조 개선에 나섰다. 이를 통해 2020년 조사 당시 34위(148.1점)에서 지난해 1위로 올라선 뒤 올해에도 왕좌를 지켰다. 특히 이사회 내

    2022.01.17 06:01:55

    최고의 지배구조 모범생 ‘아모레퍼시픽’…네이버·현대重 순위 급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