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남아 등에 업고 커지는 패션뷰티 [넥스트K가 온다]
[커버스토리 : 반도체 그 이후 넥스트K가 온다] 아모레퍼시픽의 이니스프리, 에이블씨엔씨의 미샤는 ‘메이드 인 코리아’라는 수식어 하나로 베트남의 인기 브랜드가 됐다. 이외에도 설화수부터 더페이스샵까지 다양한 화장품들이 베트남 여성들의 장바구니에 담긴다. 패션도 마찬가지다. F&F의 대표 브랜드 MLB는 성인용뿐만 아니라 유아동 의류 시장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한국의 패션뷰티 산업은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된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침체,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소비자 심리 악화,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등의 영향을 받아 전년 대비 소폭 줄었으나 K-콘텐츠의 인기로 전망은 여전히 밝다. 한국의 패션뷰티는 2000년대 중반부터 K팝의 인기가 늘어나면서 해외에서 반응을 얻기 시작했다. 최근 들어서는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K-콘텐츠가 소비되면서 더욱 관심을 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패션뷰티(화장품·패션의류) 산업의 지난해 수출액은 105억9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117억9700만 달러) 대비 소폭 줄었지만 2021년 이후 100억 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콘텐츠 선호도도 높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 보고서에서 한국 문화 관련 지출액이 가장 높은 콘텐츠는 패션(월평균 32.4달러)으로 분석됐으며, 뒤를 이어 뷰티(28.3달러)가 2위를 기록했다. 평균 지출액(14.8달러)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K-패션뷰티가 특히 각광을 받는 곳은 베트남,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이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은 지난해 동남아 4국에서 8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개별 지역으로도
2023.10.30 06: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