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악의 위기’와 ‘세계 질서 대전환’ 그리고 ‘새로운 기회’ [놓치지 말아야할 한경비즈니스-4]
[스페셜 리포트 1]한경비즈니스는 1년에 두 번 합본호를 냅니다. 설날과 추석 2주치를 한꺼번에 낸다는 말입니다. 기자들은 이때 약간은 숨을 돌릴 여유를 갖습니다. 물론 온라인 기사도 써야 하기 때문에 마냥 맘이 편할수 만은 없지만요. 이 정도로는 좀 아쉽다는 독자분들이 계셨습니다. 그래서 한경비즈니스 편집진은 올해 썼던 기사 가운데 ‘시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기사들을 추려봤습니다. 공부해두거나 읽어두면 상식이 되거나, 트렌드를 이해할 수 있는 12개의 기사입니다. 이를 한곳에 정리했습니다. 연휴 기간 영상에서 벗어나 활자의 세계로 눈을 돌린 독자분들께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편집자 주>“최악의 상황은 아직 오지도 않았다(The worst is yet to come).”(IMF)“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경기 침체가 이어질 것이다.”(브루킹스연구소)“경기 침체는 완만하지만 회복세는 더딜 것.”(옥스퍼드 이코노믹스)“항구적인 불안과 불안정이 이어지는 퍼마크라이시스 시대.”(이코노미스트)주요 글로벌 연구 기관과 미디어가 밝힌 2023년 전망이다. 2023년처럼 전망이 쉬운 해도 없었다. 위기·침체·붕괴·전쟁·인플레이션·공포 등 좋지 않은 단어를 갖다 붙이면 모조리 그럴듯한 전망이 된다. 그래서 내놓는 각종 전망이 다 비슷하다. 약간의 온도차가 있기는 하지만….그도 그럴 만하다. 2022년 발생한 변화는 진원지에서 벗어난 파동이 돼 지상으로 튀어나왔기 때문이다. 한번 한계를 뚫은 힘은 관성에 의해 한동안 그 세력을 잃지 않고 확장할수밖에 없다. 2022년 세계 질서를 뒤흔든 사건들의 위력은 2023년뿐만 아니라 한동안 지
2023.01.23 06:38:01
-
[강홍민의 JOB IN] “2023년 계묘년, 당신의 운세는 안녕하신가요?”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았다. 힘찬 새해의 시작과는 달리 지난해부터 이어진 경기침체, 그리고 코로나19에서 진화된 바이러스는 아직 가실 줄을 모른다.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 역시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빚이 쌓여 빛이 보이지 않는 현실과 또 다시 마주해야 하는 새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는 잘 될 거야’라는 기대감을 품고 새해를 맞이한 이들이 발걸음을 옮기는 곳이 있다. 경기가 불황일수록 문전성시를 이룬다는 역술원(철학원)은 사주명리학을 기반으로 인간의 미래를 점치는 곳이다. 역술가는 부채도사나 박수무당처럼 신내림을 받아 점을 치는 곳이 아니라 생년·월·일·시 4개의 기둥을 토대로 인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예측하는 사주명리학을 기초로 한다. 무한히 얽혀 있는 인생의 고리 속 박혀 있는 고민들에 해답을 던져 주는 역술가를 만났다. 20대 초반 역술가라는 직업을 선택해 23년 간 2만 3천명의 사주를 상담·분석한 이지혜 소림사주상담센터 원장을 만나 역술가의 세계를 들어봤다. 새해가 되면 한 해의 신수(身數)를 보기 위해 철학관이나 점집을 많이들 찾습니다. 문득 궁금한 점 하나, 철학관과 점집의 차이점은 뭔가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점집은 신내림이라는 과정을 거쳐 신을 받은 분들이 운영하는 곳이죠. 철학관과 역술원은 사주명리학을 공부한 분들이 운영하는 곳인 데, 좀 더 설명을 드리면 철학관이나 역술원은 명리학을 공부한 분들은 누구나 열 수 있어요. 생년월일 4개의 데이터를 활용해 사람의 특징, 성격, 직업 등 미래의 운을 보는 게 사주 명리입니다.” 예전에는 혈액형
2023.01.10 11:25:15
-
작년 금값이었던 개발자 10명 중 9명, ‘올해 스타트업 혹한기 이어질 것’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개발자들이 바라보는 2023년 스타트업은 여전히 혹한기의 연속으로 전망했다. ‘커리어리’ 이용자 482명을 대상으로 ‘2023년, 스타트업 혹한기가 끝날까’라는 설문조사를 한 결과, 83%가 ‘지속될 것 같다’고 답변했다. ‘끝날 것 같다’는 답변은 17%에 그쳤다.또 ‘2023년, 개발자 채용이 활발해질까’라는 질문에는 절반이 넘는 51%가 ‘작년보다 더 어려워질 것 같다’고 답했고, ‘작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 같다(40%)’가 뒤를 이었다. 실제로도 빅테크 및 스타트업 업계는 현재 투자 시장 한파 속 뜨거웠던 개발자 채용이 한풀 쉬어가는 양상을 보이는 중이다.스타트업 불황 속에서도 유망 분야로 꼽히는 개발자 직무도 발표됐다. 개발자들이 꼽은 향후 가장 비전 있는 직무는 머신러닝 개발자(28%)로 나타났다. 이어 △백엔드 개발자(23%) △데이터 개발자(20%) △프론트엔드 개발자(11%) △앱 개발자’(9%)가 뒤를 이었다.전망 좋은 스타트업 업종 부문에서는 B2B SaaS(22%)가 가장 높았고, △핀테크(21%) △커머스(17%) △플랫폼/커뮤니티(16%), △블록체인(1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김광종 커리어리 사업리더는 “최근 경기 불황에 따라 IT 기업 및 스타트업 채용 시장이 축소된 만큼, 2023년을 시작하는 업계 관계자들 또한 긴장하고 있는 상태”라며 “커리어리는 혹한기 속에서도 개발자들이 자기계발 및 커리어 강화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바를 이룰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khm@hankyung.com
2023.01.04 10:35:16
-
구직자가 필요한 건 여기 다 있다…끊임없이 진화하는 HR플랫폼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취업의 바로미터 HR플랫폼 서비스도 나날이 진화하고 있다. 1세대 HR플랫폼은 채용공고를 나열하는 식이었다면 최근 플랫폼은 구직자가 선호하는 직군별, 성향별 트렌드에 맞춰 기업을 제안한다. 여기에 구직자가 궁금해 하는 기업 정보 및 직무에 관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다. ‘자소서도 만능 검색기로’ 링커리어, 맞춤형 합격 자소서 작성 서비스 마라톤과 같은 취업 과정에서 전형별 성공 사례는 구직자의 갈증을 해소시켜주는 단비와도 같다. ‘링커리어’는 대외활동이나 공모전은 물론, 서류, 인적성 검사, 면접 등 취업 전반의 과정에 걸쳐 다량의 실제 합격 콘텐츠를 누적해 커리어 시장에 첫 발을 내딛는 신입 구직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링커리어가 운영하는 ‘자소서 만능 검색기’ 서비스는 1만 6천여 개의 합격 자기소개서를 구직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 검색기는 기업의 규모, 이름, 직무별로 검색 가능하며, 특정 키워드를 통해 자소서 항목 및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서류 작성에 참고할 수 있을 만한 문장 단위로 스크랩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스크랩한 문장은 구직자별 스크랩 카테고리에서 한 데 모아 열람할 수 있다. ‘인맥 없어도 취준 가능?’ 커리어 대화 연결 플랫폼 ‘커피챗’‘커피챗’은 커리어 플랫폼 가운데 구직자와 현직자 간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특화된 서비스다. 커피나 차 한 잔을 마시며 격식을 차리지 않고 나누는 가벼운 대화를 의미하는 커피챗은 현업에 종사하는 선배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취업 노하우나 실무 정보에 비교적 접근성이 낮은 구직자들
2023.01.03 10:35:48
-
Z세대, 계묘년에 애정·건강운 보다 ‘이 운’ 가장 원해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2023년 계묘년, 가장 바라는 신년운세는 무엇일까. 알바천국이 알바생 548명, 사장님 163명을 대상으로 올해 바라는 신년운세를 조사한 결과, 알바생·사장님 모두 ‘재물운’을 꼽았다. 알바생이 선택한 ‘올해 가장 바라는 신년운세’는 재물운(38.3%)이 가장 높았다. 알바생 대다수(84.5%)는 Z세대로, 재물 외에도 학업, 직업 등 다양한 소원을 고루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 진학하거나 장학금을 받는 ‘학업운(23.0%)’과 알바, 취업, 이직 등 일자리를 얻는 ‘직업운(14.4%)’이 2, 3위에 올랐고, ▲솔로 탈출을 위한 ‘애정운(14.4%)’ ▲신체‧정신적 ‘건강운(9.9%)’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한 ‘대인운(5.7%)’ 등도 뒤이었다. 사장님들 역시 재물운(47.2%)이 가장 높았고, 이어 ▲신체‧정신적 건강운(16.6%) ▲매출‧사업 확장 등 직업운(12.3%)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한 대인운(9.8%) 등을 꼽았다. 타로, 사주, 별자리 등 운세를 점쳐 본 경험에 대해 알바생은 63.5%, 사장님은 71.8%로 집계됐다. 알바생들이 운세를 보는 이유는 ‘자신의 미래와 운세에 대한 호기심(64.1%, 복수응답)’과 ‘보는 순간의 재미(52.9%)’가 상위에 오른 반면, 사장님들은 ‘사업, 인간관계, 가족 등 현재와 미래에 대한 걱정‧고민(47.9%)’이 가장 컸다. 운세 지출 비용 역시 차이가 있었다. 알바생들은 작년 운세 서비스를 위해 평균 2만 9244원을 지출했고, 사장님들은 평균 6만 1539원으로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한 것으로 집계됐다. 새해 전망은 알바생과 사장님 모두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알바생의 84.3%, 사장님의 62.6
2023.01.02 09:25:09
-
‘최악의 위기’와 ‘세계 질서 대전환’ 그리고 ‘새로운 기회’
[스페셜 리포트 1]“최악의 상황은 아직 오지도 않았다(The worst is yet to come).”(IMF)“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경기 침체가 이어질 것이다.”(브루킹스연구소)“경기 침체는 완만하지만 회복세는 더딜 것.”(옥스퍼드 이코노믹스)“항구적인 불안과 불안정이 이어지는 퍼마크라이시스 시대.”(이코노미스트)주요 글로벌 연구 기관과 미디어가 밝힌 2023년 전망이다. 2023년처럼 전망이 쉬운 해도 없었다. 위기·침체·붕괴·전쟁·인플레이션·공포 등 좋지 않은 단어를 갖다 붙이면 모조리 그럴듯한 전망이 된다. 그래서 내놓는 각종 전망이 다 비슷하다. 약간의 온도차가 있기는 하지만….그도 그럴 만하다. 2022년 발생한 변화는 진원지에서 벗어난 파동이 돼 지상으로 튀어나왔기 때문이다. 한번 한계를 뚫은 힘은 관성에 의해 한동안 그 세력을 잃지 않고 확장할수밖에 없다. 2022년 세계 질서를 뒤흔든 사건들의 위력은 2023년뿐만 아니라 한동안 지구촌을 흔들어 놓을 것으로 보인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글로벌 경제를 예상하지 못한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었다. 세계화의 종말은 빨라지고 있고 지구촌 곳곳에 지정학적 충돌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와 식량 위기는 지난 수십년 동안 볼 수 없었던 높은 인플레이션을 불러왔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전쟁은 이제 시작 단계다. 모두 경제에는 악재다. 더욱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 것은 이 중 어느 하나 쉽게 해결될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그래도 약간의 뉘앙스 차이에서 더 현실적인 전망을 찾고 대응을 준비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과제다. 글로벌 연구 기관들도 &lsq
2022.12.31 06: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