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M Report] 투자, '경제 지표'의 연관성에 답 있다
우리는 늘 언어를 사용하며 살아 가고, 같은 언어를 쓰는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고 대화한다. 사람들 간 관계는 언어를 통한 소통에서 시작하고, 더 많은 존재와 풍부한 교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새롭게 배우기도 한다. 금융 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은 어떤 언어를 통해 시장과 소통해야 할까.시장은 마치 살아 있는 유기체처럼 움직인다는 점에서 투자자들 역시 시장과 대화의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화의 기술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시장에서 확인되는 주요 지표를 기반으로 투자에 임하는 것이다. 금융 시장은 ‘경제 지표’라는 언어를 통해 투자자들과 끊임없이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특히 최근 금융 시장의 흐름은 매월 나오는 주요 경제 지표의 결과값에 영향을 받으며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지난 1월은 물가 압력 완화, 즉 디스인플레이션 신호가 다양한 지표를 통해 확인된 점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전환 기대로 연결되며 위험자산의 강세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2월 들어 미국의 고용, 물가 등 주요 지표가 일제히 예상을 상회하자 Fed의 긴축 경계감이 또다시 높아지며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쳤다.현재 Fed는 향후 통화정책 결정에 있어 지표 결과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겠다는 입장(data dependent)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어, 경제 지표들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할 주요 지표들이 갖는 의미와 향후 전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소비·물가·고용’ 경제 지표 연결 이해 필요우선 각각의 경제 지표를 독립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이를 연결 지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경
2023.03.28 14:0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