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림 KB증권 사장, 플랫폼·STO로 디지털 투자 생태계 판 키운다 [2023 파워 금융인 30]
[2023 파워 금융인 30]박정림 사장은 증권업계 최초의 여성 최고경영자(CEO)로, 5년째 KB증권을 이끌고 있다. KB증권은 박 사장이 자산관리(WM) 부문을, 김성현 사장이 기업금융(IB) 부문을 책임지는 각자 대표 체제다.KB금융그룹 총괄부문장을 겸직하며 자본시장 부문과 기업투자금융(CIB) 부문을 맡아 그룹 차원의 시너지를 이끌어 내는 데도 힘을 쏟고 있다.박 사장은 금리 인상과 증시 불황 등 비우호적인 환경 속에서도 WM 자산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사업별 균형 성장과 디지털 혁신을 통해 KB증권을 최적의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는 ‘빅2’ 증권사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리더십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박 사장은 2023년 신년사에서 안정적으로 수익성을 강화하고 금융 투자 플랫폼 중심으로 역량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KB증권은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인 ‘마블(M-able)’을 중심으로 디지털 투자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마블은 2022년 10·11월 모바일인덱스 기준 증권·투자 업종 부문에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1위를 달성하며 톱 티어 증권업 플랫폼으로 부상했다.새 먹거리인 토큰 증권 발행(STO) 시장 선점에도 사활을 걸었다. 2022년 선제적으로 STO 전담 조직을 꾸렸고 2023년 초에는 토큰 증권 사업 협력체 ‘ST 오너스’를 구성하는 등 사업 생태계를 확대하고 있다.박 사장의 지휘 아래 KB증권은 초고액 자산가(UHNWI) 자산 관리 시장에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 전담 조직인 GWS본부를 신설하고 서울 압구정에 한국 최대 규모의 자산관리센터인 ‘KB 골드앤와이즈 더퍼스트’도 열었다.센터 오픈 6개월간 WM 개인 자산이 3배 이상, 초부유층 고객 수가 2배 이상
2023.04.22 06:15:01
-
오익근 대신증권 대표, IPO 강화 결실 맺어…토큰 증권으로 외연 확장 [2023 파워 금융인 30]
[2023 파워 금융인 30]오익근 대표는 대신증권에서 37년간 근무한 재무 금융 전문가로, 위기에 강한 리더로 통한다.대신증권 대표에 오른 뒤 사모펀드 사태를 적시에 해결했고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대신증권은 2022년 증권업계 불황에도 양호한 실적을 냈다. 오 대표가 취임 이후 전 계열사의 경쟁력 강화와 계열사 간 연계에 힘을 쏟은 결과다.대신증권은 2022년 영업이익 2534억원, 당기순이익 1317억원을 기록했다.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유동성 축소로 브로커리지 영업 환경이 악화했음에도 기업금융 부문과 계열사가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해 13개의 기업공개(IPO)를 주관하며 투자은행(IB) 부문에서 두각을 보였다. 인수 금액만 1조6867억원에 달한다. 성일하이텍과 뉴로메카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성공적으로 증시에 안착시키며 역량을 보여줬다.부실 채권(NPL) 비즈니스를 바탕으로 꾸준히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대신에프앤아이는 935억원의 세전 이익을 달성했고 2019년 출범한 대신자산신탁은 토지 신탁 수탁액을 늘려 가며 105억원의 세전 이익을 기록했다.오 대표는 증권 본업에서도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이끌고 있다. 브로커리지 사업 영역의 비대면화가 진행됨에 따라 주식 투자를 위한 디지털 부문을 강화했고 오프라인에서는 자산관리(WM) 비즈니스 강화에 힘썼다.오 대표는 ‘유연한 시도, 가치 창출(try Agile ways, create The Value)’이라는 그룹 미션을 실천하기 위해 틀에 얽매이지 않은 도전을 이어 가고 있다.미래 먹거리 발굴에도 적극적이다. 최근 부동산 조각 투자 기업 ‘카사’를 인수하면서 토큰 증권 발행(STO) 시장 진출
2023.04.22 06:13:01
-
증권사, 토큰증권발행 시장 선점 나선다
디지털자산 투자 수요가 급증하면서 증권사를 필두로 금융사들이 토큰증권발행(STO)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에 돌입했다. STO 규제 정비가 가시화되면서 ‘투자계약증권’ 등 기존 발행이 어려웠던 비정형 증권을 연계한 금융 상품을 차세대 블루오션으로 낙점했다. 최근 정부의 STO 가이드라인 발표 후 다양한 STO 합종연횡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STO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미술품, 음악저작권, 부동산 등의 자산을 디지털로 만들어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보유한 홀더는 실제 주주처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특히 부동산이 단일 자산으로는 펀드 설정액만 약 142조 원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크기 때문에 STO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가상자산 마켓에서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거래가 도약하는 발판이 될 요인으로 본다. 미술품, 사진 등에 증권성을 부여해 홀더에게 수익을 배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최근 증권 업계에서 STO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증권사들이 STO 업무 영역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술 기업이나 상품화가 가능한 자산을 보유한 사업자와 협업이 필수적이다.이에 금융당국에서는 이해상충 방지를 위해 ‘발행-유통 분리원칙’을 기본 방침으로 정했다. 최근 증권사들이 경쟁적으로 컨소시엄 구축 계획을 발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금융권, STO 생태계 조성 나서…공격적 제휴 단행신한투자증권은 STO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격적인 제휴를 단행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 람다256와 함께 토큰증권 기술검증(PoC)에 착수했다. 양사가 공동으로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 △디지털 월렛(지갑
2023.03.27 09:5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