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챗GPT 만능 아냐...AI 머신러닝 모델로 인사·재무관리 고도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검색과 요약, 예측, 콘텐츠 생성에 탁월한 강점을 가집니다. 하지만 결과물의 품질을 신뢰하기 어렵고 개연적인 설명이 부족하며, 악의적 행위자가 침투해 데이터셋을 오염시킬 가능성, 통합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워크데이의 AI 머신러닝은 글로벌한 기업들의 데이터 양과 함께 질을 확보해 데이터 관리·인텔리전스·프라이버스 부문의 강화가 가장 강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기업용 인사 및 재무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리더인 워크데이가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자사 솔루션에 적용해 이미 수많은 기업들이 AI/ML 기반의 워크데이 솔루션을 현업에 적용하고 있다고 공개했다.워크데이의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데미안 리치(Damian Leach)는 23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워크데이는 AI와 ML을 워크데이의 플랫폼 핵심에 내재화시켜 전 세계 수많은 고객들에게 탁월한 비즈니스 적응력과 경쟁력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를 구현하는 방법론을 소개했다.그는 "워크데이는 오래 전부터 AI와 ML이 일의 미래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확신했다"며 "최근 오픈AI의 챗GPT 등 생성형 AI와 ML의 발전이 눈부신 상황이지만 워크데이는 거의 십 년 전부터 고객을 위해 AI 및 ML 역량을 개발하고 제공해 왔다"고 강조했다. 데미안 리치 CTO는 "워크데이의 경우 AI와 ML에 대해 생각하고 구현하는 방식이 다른 모든 기업용 소프트웨어 회사와는 차별화된다"고 밝혔다. 역량 면에서 워크데이는 AI와 ML을 기술 플랫폼의 가장 핵심에 내

    2023.03.23 12:05:20

    "챗GPT 만능 아냐...AI 머신러닝 모델로 인사·재무관리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