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진스 스타일’ 그 시절 유행 브랜드, 광고 모델로 되짚어 보니
“티피코시, 너와 함께할 때마다 가슴이 떨리는 그 느낌이 있었지. 난 그냥 이대로. 나의 티피코시. 코트도 티피코시.”(가수 서태지와 아이들)“우리들끼리만 아는 그 느낌. 마음껏 춤추며 변신해 볼까. 빨간 셔츠, 파란 바지 맞춰 입고 바꿔 입고. 내 몸의 패션 맞춤법, 카운트다운!”(가수 김원준)“드라마 녹화 현장에서나 팬들과의 만남에서도 전 언제나 메이폴이죠. 입는 순간 기분 좋고, 입을수록 편하거든요. 멋진 3점 슛처럼 기분 좋은 옷 아니에요?”(배우 장동건)유명 연예인을 앞세워 X세대(1960년대 후반~1970년대 출생)의 선택을 받았던 그 시절 패션 브랜드들이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Z세대(199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출생)를 중심으로 레트로(복고)와 Y2K(1990년대 말~2000년대 초반) 문화가 뜨고 있기 때문이다. X세대에게는 추억이지만 Z세대에게는 새롭게 다가간다는 의미다.특히 아이돌그룹 뉴진스가 통 넓은 바지, 오버사이즈 상의, 청청 패션, 색이 들어간 선글라스 등 과거 유행한 레트로 패션을 입으면서 예전 브랜드들이 ‘뉴진스 스타일’로 다시 소환되고 있다. ‘스타 마케팅’으로 30~40년 전 흥행했던 브랜드, 어떤 것들이 있을까.카운트다운·티피코시·메이폴, X세대 선택받은 토종 브랜드1990년대는 X세대가 대중문화를 선도했다. 이들의 관심은 ‘힙합’으로 향했다. 사회 부조리에 맞서는 힙합 음악이 주류로 떠오르면서 패션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쳤다. 패션 회사들은 힙합 또는 댄스 장르의 가수를 모델로 발탁해 젊은 이미지를 강조하려고 했다. 단정한 옷차림을 선호했던 기성세대와 달리 통 넓은 바지, 체격보다 큰 사이
2023.05.05 06:00:05
-
X세대 위한 그시절 '티피코시', 젠지에도 통할까[최수진의 패션채널]
코로나19 이후 영화시장이 살아나지 않고 있습니다. 불과 3년 전만 해도 '천만영화'가 쏟아졌는데, 요즘은 관객수 100만명도 넘기기 힘들어졌죠.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흥행한 영화가 있습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라고, 1990년대 연재된 인기만화 '슬램덩크'가 영화로 만들어진 것인데요. 누적 관객수 400만명을 돌파했고, 지난 1월 개봉했는데 아직도 일부 극장가에 걸려있습니다. 슬램덩크처럼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하는 '레트로(복고)'는 올해도 그 인기가 식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X세대(1970~1980년대 초반 출생)는 추억이 되살아 나서, MZ세대는 신선하고 독특하게 느껴져서 레트로 문화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과거 유행한 다양한 것들이 레트로 바람을 타고 있는데, 패션도 그중 하나입니다. 특히, Y2K(1990년대 말~2000년대 초)에 많이 입은 의상들이 최근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취향 특이하네"라는 소리를 들었던 아이템들이 이제는 대세가 된 거죠. 게다가 Z세대(2000년대 초반 출생) 사이에서는 이런 패션이 더 주류가 돼 '제니 패션', '젠지 패션' 등으로 불린다고 합니다.그래서, '티피코시'도 돌아옵니다. 반도패션(현 LF)이 1991년 선보인 자체 브랜드입니다. 그때는 음악과 가수를 통하면 유행한다는 공식이 있었는데, 티피코시도 힙합, 레게, 락, 클래식 등 다양한 장르의 스타들을 앞세워 공격적인 마케팅을 했죠. 그래서 당시 인기 아이돌인 서태지와 배우 김남주, 공유 등 다양한 유명인을 모델로 내세웠죠. '태지처럼 입어요'라는 광고 문구 하나로 젊은층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한 거죠.티피코시의 인기는 드라마를 통
2023.04.10 1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