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산불이라고?"....기후재난 막는 예측 솔루션 꺼낸 스타트업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산불 등 기후 재난이 빈번해졌다. 지난해 여름 강남을 둘러싼 엄청난 규모의 홍수 피해와 연일 보도되는 산불이 단적인 예다. 갈수록 피해 규모가 커지면서 데이터로 기후재난을 예측하는 스타트업이 등장했다. 탄소관측 및 모니터링 등 기상정보를 활용하는 기후기술은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가 선정한 기후테크 5대분야 중 ‘지오테크(GeoTech)’에 해당한다. 임팩트투자사 소풍벤처스는 지난 20일 기상기후빅데이터와 기후재난 예측 솔루션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1부에서는 방철한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기상기후빅데이터센터 센터장이 ‘기상기후빅데이터의 활용 가치와 기후적응 솔루션의 비즈니스 기회’를 주제로 발제했다. 방 센터장은 “위험 기상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미래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며 “한국의 기상 정보는 매우 우수한 수준이다. 세계기상기구(WMO)의 193개 가입국 중 기상 데이터 수치예보모델을 갖고 있는 11개인데, 그중에서도 한국 데이터는 상위권”이라고 설명했다. 기상청에서는 현재 누구나 기상기후데이터를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는 API허브를 제공하고 있다. 방 센터장은 이를 활용한 사업 기회의 가능성도 매우 긍정적인 편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김인순 더밀크 센터장이 글로벌 기후 인텔리전스 플랫폼 시장 동향과 투자 현황을 비롯해 다양한 해외의 기후 적응 스타트업 사례를 소개했다. 김 센터장은 “기후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는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 요인을 데이터에 기반해 플랫폼화하고 비즈니스화하는 개념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기회와 리스크가
2023.04.21 09:3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