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nside ETF] 달러 강세 흐름에 ‘통화 ETF’ 눈길 가네

    지난해 하반기 금융 시장을 뜨겁게 달궜던 화두는 ‘킹(king) 달러’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정점에 이르면서 이를 억제하기 위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강도 금리 인상 조치가 달러화 강세를 연출한 것이다.2022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주식과 채권 등 대부분 투자 자산 가격이 동반 하락세를 보였지만 달러화는 유가 등 물가 상승에 힘입어 상승했던 일부 원자재를 제외한다면 거의 유일하게 양(+)의 수익률을 기록한 자산이다.지난해 9월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14를 상회해 약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그 여파로 인해 서울 외환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돌파하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서 거래됐다.흔히 원·달러 환율의 급등은 경기 침체 혹은 금융위기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당시 온갖 비관적인 경제 전망과 함께 원화의 추가 약세를 점치는 시장참여자들이 다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달러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와 보유하지 않는 투자자 간에 큰 온도차가 느껴졌던 시기이기도 했다.‘통화’ 투자 대상으로서 가치 주목자산 가격에 대한 예측은 ‘신의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환율은 소위 경제 전문가들조차 쉽사리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거나 전망의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일반적으로 환율은 수급과 심리뿐만 아니라 경기, 물가, 금리, 무역 흐름 등 다양한 매크로 변수와 지정학적 이벤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게다가 환율이 두 나라 통화의 상대 가치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상대국에서 발생

    2023.04.27 09:32:30

    [Inside ETF] 달러 강세 흐름에 ‘통화 ETF’ 눈길 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