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치고 올라오는 포스코·한화…요동치는 재계 서열

    [비즈니스 포커스]요지부동이었던 재계 순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2022년 SK가 2위였던 현대차를 제치면서 12년 만에 5대 그룹 순위가 뒤바뀐 데 이어 1년 만에 6위였던 포스코가 롯데를 밀어내고 5위를 꿰찼다.총수 없는 기업인 포스코는 삼성·SK·현대차·LG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포스코의 2023년 공정 자산 총액은 132조660억원으로 롯데(129조6570억원)를 약 2조4090억원 앞질렀다. 위로는 포스코, 아래에선 한화가 치고 올라오는 상황에서 롯데가 순위 탈환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차전지 돌풍, 롯데 순위 끌어내려공정위가 최근 발표한 2023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에서 포스코와 롯데의 순위가 뒤바뀌면서 재계 빅5 구도에 변화가 생겼다.포스코는 최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등 양대 증시에서 개인 투자자들에게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4월 한 달 동안 개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포스코홀딩스(3조1283억원)가 1위, 포스코퓨처엠(3337억원)이 2위를 차지했다.포스코는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퓨처엠을 중심으로 니켈·코발트·리튬부터 전구체와 양·음극재까지 모두 중국을 배제하고 내재화가 가능하다.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부 지침에 따르면 니켈·리튬 등 배터리 핵심 광물을 인도네시아·아르헨티나 등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서 조달하더라도 한국에서 50% 이상 부가 가치를 더하는 형태로 가공하면 보조금을 받을 수 있어 포스코의 수혜가 예상된다. 2023년 3월 말 미국의 IRA 세부 지침이 발표되면서 수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5대 그룹은 기업엔 대기업 지표 이상의 의미

    2023.05.12 06:08:02

    치고 올라오는 포스코·한화…요동치는 재계 서열
  • 포스코, 5대그룹 우뚝…자산기준 삼성 SK 현대차 LG 순

    포스코가 국내 5대 그룹에 포함됐다. 기존 자산 기준 재계 5위였던 롯데는 포스코에 밀려 6위로 내려앉았다.공정거래위원회는 4월 25일 이런 내용의 '2023년 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을 발표했다.자산 5조원 이상(2022년 말 기준)의 공시집단은 82개로 전년보다 6개 늘었다. 자산총액 기준 상위 5대 그룹은 삼성(486조원), SK(327조원), 현대자동차(270조원), LG(171조원), 포스코(132조원) 순이었다. 2010년부터 5위를 지켰던 롯데(130조원)는 포스코에 밀려 6위로 내려앉았다.2022년 SK가 현대차를 제치고 2위에 오른 이후 5대 그룹의 순위 변화가 활발해지는 모습이다.공정위는 포스코의 자산총액 증가에 대해 물적분할 이후 포스코홀딩스가 보유한 포스코의 주식가치 약 30조원이 자산으로 추가 산정된 것에 기인한다고 밝혔다.코스닥 시가총액 선두에 올라선 에코프로그룹 등은 새롭게 대기업집단에 진입했다. 신규 공시대상 기업집단으로는 LX(44위), 에코프로(62위), 고려에이치씨(69위), 글로벌세아(71위), DN(73위), 한솔(77위), 삼표(80위), BGF(82위)가 지정됐다.2차전지, 전기차 부품 등 신산업분야로의 진출에 따른 기업집단의 성장으로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수가 증가했다고 공정위는 분석했다.특히 에코프로, 고려에이치씨, 글로벌세아, DN의 경우 2022년 대비 자산총액이 2조원 이상 급증했다.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3.04.25 13:04:43

    포스코, 5대그룹 우뚝…자산기준 삼성 SK 현대차 LG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