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썰렁한 ‘성수동’·북적이는 ‘쇼핑몰’…유통 지도 바꾼 ‘무더위’[기후경제학]
[스페셜 리포트: 글로벌 경제 지도가 바뀐다, 기후경제학 ] 해가 저문 8월 6일 저녁 8시께 찾은 서울 성수동 카페 골목. 최근 서울에서 가장 ‘핫 플레이스’로 이름난 상권이다. 하지만 이날 성수동 거리에는 인적이 드물었다. 스마트폰을 보니 저녁 시간에도 불구하고 성수동의 온도는 섭씨 영상 30도가 넘었다. 조금 걸었는 데도 등 뒤에 땀이 흥건해졌다. 더위 때문에 사람들이 외출을 꺼리고 있다는 사실을 한적한 성수동의 모습을 통해 짐작할 수 있었다. 다음날인 8월 7일 오전 11시께 방문한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의 분위기는 전날 갔던 성수동과 사뭇 달랐다. 월요일 오전 시간임에도 점포 안은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맞으며 쇼핑을 즐기기 위한 사람들로 북적였다. 인적이 드문 밖과 달리 쾌적한 점포 내부는 생기가 돈다는 느낌까지 받았다. 방학을 맞아 부모와 함께 이곳을 찾아 점포 안을 뛰노는 어린아이들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전국이 밤낮 가리지 않는 무더위와 폭우로 몸살을 앓으면서 사람들의 먹고 쓰는 소비 패턴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실외가 아닌 백화점이나 대형 몰·마트 등 쾌적한 실내를 찾아 소비하는 현상이 도드라지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올여름 시원한 백화점이나 대형 몰에 자리한 식당가는 가장 핫한 ‘외식 상권’으로 떠올랐다. 유통 채널에서는 무더위를 피하기 위한 상품들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반대로 야외 날씨에 고스란히 노출된 주요 상권의 식당가와 편의점 그리고 전통 시장 등은 판매 부진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젔다. 줄 서서 가는 맛집도 한적해무더위와 폭우가 야기한 가장 큰 소비 패턴의 변화는 외식 시장에서 일어
2023.08.14 07:5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