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고촌 상륙한 매수 불씨, 김포 전 지역 확산은 아직 [서울시 김포구?]

    [스페셜 리포트 : 서울시 김포구?] “서울이 되면 좋아진다는 것은 다들 안다. 하지만 주민들 사이에선 ‘과연 되겠나?’라는 의구심이 강하다.” 김포골드라인 장기역 앞에서 만난 김모 씨(50대, 한강신도시 거주)가 말했다. 2023년을 얼마 남기지 않은 지금, 전국의 관심은 지금 김포로 향해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둔 여당의 ‘메가시티 서울’ 구상의 방아쇠를 당긴 곳이 김포이기 때문이다. 김병수 김포시장 등 김포 지역 여당 정치인들은 김포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포함에 반대하며 ‘서울 편입’을 주장했고 국민의힘 지도부가 이에 호응하며 국가적인 이슈가 됐다. 김포뿐 아니라 광명, 구리, 남양주, 고양 등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 지역에서도 “서울로 들어가겠다”는 요구가 나오면서 여당은 아예 ‘뉴시티 프로젝트 특위’를 구성해 전선을 확대하는 분위기다. 정치·경제·교육·문화 등 모든 분야에 있어 대한민국 중심인 서울의 일부가 되는 일은 이처럼 각 지역에서 호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각에선 부동산 시세에도 영향을 미칠 것을 조심스럽게 전망하기도 한다. 서울에 편입되면 서울의 교통, 생활 인프라를 공유해 삶의 질이 높아지는 데다 전국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광역시도에 속했다는 후광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9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4631만원으로 전국(4억4770만원)은 물론 수도권(6억6180만원) 평균과도 차이가 크다. 그러나 뜨거운 여론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낮아진 기온처럼 김포 부동산 시장은 대체로 차분한 모습이었다. 지난해부터 부동산이 하락기에 접어든 이후 적체된 매물들로 인해 여전한 ‘매수자 우위’가 이어지고

    2023.11.12 06:00:16

    고촌 상륙한 매수 불씨, 김포 전 지역 확산은 아직 [서울시 김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