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K텔레콤, 인텔과 손잡고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 기술 개발

    SK텔레콤은 인텔과 협력해 5세대(5G) 이동통신망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 기술 ‘DPS(Dynamic Power Saving)’를 개발했다.DPS는 5G망용 데이터센터 중 클라우드 방식으로 가상화한 서버에서 사용되는 주요 부품의 소모 전력을 고객의 트래픽 추이에 따라 전력을 실시간으로 조정해주는 기술이다.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센터는 다량의 클라우드 방식 가상화 서버로 구성되며, 5G 이동통신의 고객 데이터 트래픽 처리를 주로 담당한다. 기존 가상화 서버는 트래픽의 양과 관계없이 항상 최대 성능을 설정해 최대치의 전력과 탄소를 소모했다.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대용량 트래픽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서버의 처리 성능을 미세한 부분까지 최적으로 조정하는 기술 개발을 성공했다. DPS를 데이터센터에 활용하면 고객의 데이터 트래픽 추이에 따라 24시간 상시 전력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가상화 서버의 CPU 누적 전력 소모량을 기존보다 42%, 최대 55%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또한 이번 기술로 데이터 센터가 배출하는 불필요한 온실가스를 절감해 탄소감축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SK텔레콤은 이번 연구 결과를 추가로 개선 및 검토해 올해 말 상용 장비에 적용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약 10GWh의 소비를 감축하고, 약 5000t의 탄소를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올해 DPS 상용화를 위해 주요 파트너와 협력도 추진 중이다. 양사의 기술 개발 과정을 담은 공동 기술백서도 이달 중 발간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전력 서버 기술 적용 장비를 확산하고, 상용화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 계획이다.앞서 SK텔레콤과 인텔은 지난 10년간 유·

    2023.02.23 06:00:01

    SK텔레콤, 인텔과 손잡고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 기술 개발
  • SK텔레콤,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기술로 자율주행차 길 넓혀

    SK텔레콤이 차량과 보행자, 교통 인프라 등 모든 것을 5세대 이동통신(5G)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인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실증 사업 일환으로 진행된 서울시 상암지역 자율주행차 시범 운행 지구 확대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사업 완료로 상암 일대 자율주행차 운행이 가능한 도로는 기존 상업 및 주거 지역에서 월드컵 경기장을 비롯해 난지한강공원, 하늘공원 등 주변까지 대폭 확대된다.확대된 도로에는 자율주행차량 운행 가능 지역임을 알려주는 노면 표시와 안내 표지판 등이 설치돼 해당 지역을 다니는 일반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들도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SK텔레콤은 이번 시범 운행 지구 확대와 더불어 다양한 ICT 기술 기반으로 자율주행차의 안전 운행 수준을 한층 강화하는 진보된 C-ITS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먼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상암 자율주행 시범 운영 지구를 3D로 구현하고 이를 ‘서울 미래 모빌리티 센터’에 있는 자율주행 관제 시스템과 연동해 여러 대의 차량 및 신호 정보, 위험 알림 등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제할 수 있도록 구축했다.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된 상암 시범 운영 지구는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로도 활용된다.또 상암 지역 총 24개 도로 32.3㎞에 달하는 구간에 신호제어기, 불법주정차 카메라, 어린이보호구역 감지 카메라 등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이를 기반으로 어린이보호구역 진입 및 보행자 알림, 돌발 상황 CCTV 영상 제공 등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도 추가 제공한다.시범 운영 지구를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는 서울시가 제공하는 V2X(vehicle to everything) 단말기를 장

    2022.06.27 13:44:13

    SK텔레콤,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기술로 자율주행차 길 넓혀
  • RFHIC,미국 5G 투자의 ‘1등’ 수혜주

    [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종목]네트워크 장비 업종 내 최선호주로 알에프에이치아이씨(이하 RFHIC)를 추천한다. 코스닥 상장사인 RFHIC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질화갈륨 트랜지스터(GaN TR)를 양산하는 기업이다.추천 이유는 복합적이다. 첫째, 2022년 RFHIC는 두 곳 이상의 미국 메이저 통신사에 대규모 수출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하반기부터 기존의 삼성전자 외에 새 시스템 통합(SI) 회사에 납품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또 글로벌 반도체 업체와의 합작사 설립을 통한 고주파단일 집적회로(MMIC) 사업 진출이 늦어도 6월 안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이에 따라 RFHIC는 2021년 실적 바닥을 확인한 후 2022년부터 꾸준한 실적 개선 추세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같은 호재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주가 상승폭이 미미해 주식 투자 시 가격 매력이 높을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 유일의 질화갈륨 트랜지스터 양산 기업올해 RFHIC 실적 추정의 가장 중요한 변수는 미국 통신 시장의 변화에 따른 통신 기업들의 동향이다.버라이즌과 디시네트워크 등 미국 통신사들은 최근 3~4GHz 대역의 미들밴드 주파수에 투자를 확대해 5세대 이동통신(5G) 사용 영역(커버리지)을 확장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미들밴드 주파수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 5G 장비·부품 업체에 대한 제휴 요청도 급증세다.그 결과 RFHIC는 4~5월 미국 통신 사업자들로부터 5G 통신 장비 구매 주문서(PO)를 받은 뒤 6~7월 통신 장비의 수출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미국 통신사에 대한 신규 매출은 7월부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올해 6월 이전에 글로벌 반도체 업체와 전력 반도체 생산을 위한

    2022.04.14 17:30:02

    RFHIC,미국 5G 투자의 ‘1등’ 수혜주
  • KT, 5G 응용 분야 유망 스타트업 찾는다

    KT가 창업진흥원과 미디어·인공지능(AI)·로봇 등 5G 응용 분야의 디지털 혁신(DX) 및 신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7일 밝혔다.KT는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이 시행하는 ‘창업도약패키지-대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공동 수행하기로 했다.협력 분야는 △ 5G 응용 분야 우수 창업 기업 선발 △ 공동 사업화 과제 선정 및 기술검증(PoC), 비즈니스 환경 지원 △ 사업화 자금 및 투자 연계 지원 등이다.KT는 이번 협약의 첫째 추진 사항으로 5G 응용 분야 우수 창업기업 모집을 위해 ‘KT-창업도약패키지’ 스타트업 공모에 나선다.공모 분야는 미디어, AI, 로봇, 온라인교육 등 5G 응용 분야다. 선발된 스타트업은 최대 3억원의 사업화 지원금과 함께 신사업 추진을 위한 KT 전담 사업부서 매칭 및 멘토링을 제공받는다.사업 계획을 발표하는 데모데이에서 벤처캐피털(VC) 및 액셀러레이터(AC) 투자 유치, 시설 이용 및 입주, 해외 전시 참여 등도 지원된다.조훈 KT SCM 전략실장(전무)은 “잠재력 있는 스타트업과 함께 개방형 혁신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혁신(DX) 서비스를 만들어 디지코(DIGICO) 기업으로의 성장을 이끌겠다”고 말했다.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2022.03.07 11:12:45

    KT, 5G 응용 분야 유망 스타트업 찾는다
  • AWS, 기업 사설 5G망 서비스 출시…'가격 합리적'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9일 AWS 리인벤트(AWS re:Invent) 행사를 통해 기업 고객이 사설 5G 모바일 네트워크를 수 개월이 아닌 단 며칠 만에 시설에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관리형 서비스인 AWS 프라이빗 5G(AWS Private 5G)를 발표했다.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 고객이 AWS 콘솔에서 몇 번의 클릭만으로 모바일 네트워크를 구축할 위치와 장치에 필요한 네트워크 용량을 지정하면 AWS는 스몰 셀 무선 장치, 서버, 5G 코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사설 5G 네트워크와 연결 장치 설정에 필요한 구독자 식별 모듈(SIM 카드)을 제공하고 유지 관리한다.AWS 프라이빗 5G는 네트워크 설정과 구축을 자동화하고 필요에 따라 용량을 확장해 추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트래픽을 지원한다. AWS 프라이빗 5G는 별도의 선불 약정이나 디바이스별 비용을 요구하지 않으며, 고객은 사용한 만큼의 네트워크 용량과 처리량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면 돼 합리적이다.그동안 5G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를 배포하기 위해 기업 고객은 상당한 시간, 비용, 노력을 투자해 예상되는 최대 용량에 맞게 네트워크를 설계해야 했다. 네트워크 설치 후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수나 네트워크 트래픽이 네트워크 처리 용량을 초과하면 고객은 또 한 번 복잡한 과정을 거쳐 네트워크 용량을 늘려야 했다.특히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는 커넥티드 디바이스 유형별로 서로 다른 보안 정책과 시스템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IT 관리 시스템과의 통합이 어렵다. 또 현재의 사설 모바일 네트워크 가격 책정 모델은 커넥티드 디바이스별 요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수천 개의 커넥티드 디바이스를 사용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초래된다. 이러

    2021.12.10 06:00:24

    AWS, 기업 사설 5G망 서비스 출시…'가격 합리적'
  • 경계현 삼성전기 사장, 전장용 카메라 공급 발 빠른 대응

    [100대 CEO]지난해 1월 삼성전기 사장에 취임한 경계현 사장은 1988년 삼성전자 입사 후 메모리사업부 플래시개발실장, 메모리사업부 솔루션개발실장 등을 역임한 메모리 반도체 전문가로 꼽힌다. 현장에 가장 가까운 전문가 출신인 경 사장은 회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조직 문화와 일하는 방법에 변화를 꾀했다.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은 근원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한 현장 분위기 쇄신이다.직원 중심의 미션·비전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가치도 새롭게 정립했다. 모두 존중(Respect all), 정도 중심(Integrity first), 성장 마인드(Growth mind), 하모니·조화(Harmony with)·기술 중시(Technology for Great)의 영문 앞 글자를 딴 ‘RIGHT’다. 경 사장은 올해 3월 진행한 주주 총회에서 글로벌 불확실성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차별화된 제품 개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ESG 경영을 위한 전담 조직인 지속가능경영사무국 신설을 통해 안정적 수익 확보(profit), 사회 구성원의 행복 추구(people), 환경적 책임의 실현(planet)을 최우선으로 한 조화로운 성장을 이루고자 한다.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한 전사적인 차원의 트랜스포메이션 활동 병행도 눈에 띈다. 삼성전기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한 신제품 개발을 이어 가고 있다. 특히 5세대 이동통신(5G)과 인공지능(AI)·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의 고성능화, 제품의 고급화 등이 경쟁력의 기반이 됐다. 삼성전기의 전장용 MLCC는 섭씨 영상 150도 이상의 고온과 섭씨 영하 55도의 저온, 휨과 같은 강한 충격이 예상되는 상황, 높은 습도 등의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차별화된 기술이 적용된다.&n

    2021.06.25 06:37:01

    경계현 삼성전기 사장, 전장용 카메라 공급 발 빠른 대응
  • 삼성전자, 22일 온라인 행사 열고 5G 기술 선봬

    삼성전자가 '삼성 네트워크: 통신을 재정의하다' 행사를 열고 5G 최첨단 기술을 선보인다.삼성전자는 4일 글로벌 미디어와 파트너에 이 같은 내용의 초대장을 발송했다. 행사는 오는 22일 한국시간 11시(미국 동부시간 오전 10시)에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유튜브 채널로 생중계된다. 이 행사에는 전경훈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을 비롯해 사업부 주요 임원이 발표자로 참석하며, 삼성전자 자체 칩, 소프트웨어 역량을 중심으로 한 가상화 솔루션, 기지국, 특화망 등을 소개한다.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는 해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에서 신 기술을 선보여왔으나,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오프라인 참석이 무산되면서 온라인 행사를 기획한 것으로 보인다.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 

    2021.06.06 06:23:02

    삼성전자, 22일 온라인 행사 열고 5G 기술 선봬
  • 이통3사 지난해 실적 성적표는?...LGU+ > SKT > KT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하고 국내 이동통신 3사가 견조한 실적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영업이익률 측면에서는 유무선 가입자 증가를 앞세운 LG유플러스가 가장 만족할만한 실적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이동통신 3사는 이날 KT를 마지막으로 2020년 4분기 및 연간 실적발표를 마쳤다. 이통3사는 지난해 4분기 5G 가입자 증가에 따른 마케팅 비용 등 일회성 비용의 영향으로 일제히 영업이익이 하락했지만, 연결기준 연간 실적...

    2021.02.15 15:07:22

    이통3사 지난해 실적 성적표는?...LGU+ > SKT > KT
  • SK(주), 차세대 전력 반도체에 투자…미래차 소재도 선점한다

    [위클리 이슈] 기업 투자 전문 지주회사인 SK(주)가 자동차용 전력 반도체 시장에 진출한다. 전기차와 수소차 핵심 부품인 실리콘카바이드(SiC·탄화규소) 전력 반도체 분야에 투자해 미래차 소재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다. SK(주)는 한국 유일의 SiC 전력 반도체 생산 업체인 예스파워테크닉스에 268억원을 투자해 지분 33.6%를 인수했다고 1월 28일 발표했다. 전력 반도체는 전자제품, 전기차, 수소차, 5세대 이동통신(5...

    2021.02.01 14:37:49

    SK(주), 차세대 전력 반도체에 투자…미래차 소재도 선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