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벤처기업에도 ‘어른’이 필요하다, 실리콘밸리의 어덜트 슈퍼바이저들

    [스페셜 리포트] 2001년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 구글 창업자가 기자와 마주 앉았다. 당시 구글은 에릭 슈미트를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한 지 얼마 안 된 때였다. 20대인 두 창업자가 46세의 전문 경영인을 구글로 불러들인 이유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브린이 답했다. “솔직히 말해서 부모 역할인 거죠.”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창업자들에게 ‘부모 역할’이 필요하다는 게 무슨 의미일까. 혁신을 좇는 벤처기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불거지고 어려움을 겪는 것은 ‘스타트업의 성지’ 실리콘밸리에서도 마찬가지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실리콘밸리 역시 벤처기업이 성장할수록 가장 다루기 어려운 문제는 창업자와 관련한 것이다. 벤처기업에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벤처 마인드’는 기업을 성장시키는 가장 근원적인 힘이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창업자’가 기업을 이끌어 가는 중심 역할을 맡아야 하고 그만큼 경영을 좌지우지할 힘을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기업이 어느 단계까지 성장하게 되면 외부와의 소통이 더욱 중요해진다. 투자자들은 물론 규제와 관련한 정부 관계자, 때로는 소비자들까지 소통의 대상이다.2017년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실린 ‘창업자의 권력이 너무 세질 때’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실리콘밸리에서도 한때는 벤처기업이 기업공개(IPO)를 할 때가 되면 창업자가 아닌 전문 경영인을 대표로 선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경험이 적고 기술만 아는 창업자보다 전문 경영인이 주주들에게 더 많은 수익을 안겨 줄 수 있다는 믿음이 작용한 것이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이와 같은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다. 창업자가 기업 내에

    2022.04.09 06:00:06

    벤처기업에도 ‘어른’이 필요하다, 실리콘밸리의 어덜트 슈퍼바이저들
  • 산업 판도 바꾼 86학번 황금세대의 씁쓸한 퇴장

    [스페셜 리포트] 서울대 법대는 1980년대 초까지 하나의 상징이었다. 공부 잘하는 아이만 보면 시골이나 도시에서나 “서울 법대 가야지”라고 말하곤 했다. 고등학교에서 공부를 가장 잘하는 학생들의 목표였다. 문과와 이과의 차이는 있지만 1984년까지 학력고사 점수를 기준으로 하면 커트라인은 서울대 법대가 가장 높았다.하지만 1985년을 기점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공대와 이과대 일부 과의 커트라인이 법대를 넘어서기 시작한 것이다. 1986년 그 차이는 뚜렷해졌다. 당시 전자공학과를 포함한 서울대 공대의 입학 커트라인은 311점으로 법학과(304점)와 의예과(308)보다 높았다.카카오의 김범수, 네이버의 이해진, 다음의 이재웅, 고인이 된 넥슨의 김정주 등은 스타트업을 창업한 후 한국 인터넷과 게임 산업의 역사를 쓴 ‘벤처 1세대’ 전설들이다. 이들에게는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모두 86학번이다. 황금 세대로 불리는 86학번은 전설을 쓰고 이제 무대에서 하나둘 퇴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의 성장과 퇴장이 한국 사회에 남긴 메시지는 무엇일까.  86학번 ‘황금 세대’의 탄생, 전설의 시작86학번 황금 세대의 대표 주자들은 대학 때부터 인연이 있었다. 이들의 얽히고설킨 인연은 한국 정보기술(IT)업계의 역사이기도 하다. 1980년대 대학을 다니고 벤처 붐이 한창이던 1990년대 후반 창업에 나선 이들은 서로에게 의지가 되는 ‘동료’이자 때로는 그 누구보다 치열한 ‘경쟁자’이기도 했다.86학번의 대표 주자인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는 서울공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카이스트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삼성SDS에 입사했다. 거기에서 검색 엔진 관련 사내

    2022.04.09 06:00:02

    산업 판도 바꾼 86학번 황금세대의 씁쓸한 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