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내일의 금맥’ 돈 몰리는 기후 금융 수혜주 찾기

    [스페셜]최근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사를 꼽자면 단연 ‘기후 변화’다. 지난 11월 13일 글래스고에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가 막을 내렸다. 200여 개국이 ‘지구 온도 상승 폭 1.5도 제한’이라는 목표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파리협정 이후 6년여 만에 세부 이행 사항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COP26 폐막을 이틀 앞두고 미국과 중국이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대 기후 대응 강화에 관한 미·중 글래스고 공동 선언’을 깜짝 발표하며 시선을 사로잡기도 했다.글로벌 패권 경쟁을 지속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경제를 지닌 국가들이자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들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이들 두 나라가 글래스고에서 도출된 ‘2040년까지 석탄 화력 발전소 단계적 폐지안’에는 불참하며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그럼에도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탄소 중립’ 등에 더욱 바짝 고삐를 죌 것을 천명한 것은 의미가 크다.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미국과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은 향후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과 기술에 더욱 많은 자본이 몰리게 될 것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이들 두 나라의 친환경 수혜주를 살펴봤다.2050 탄소 중립 고삐 죈 미국, ‘친환경 전력 인프라’ 주목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2050 탄소 중립을 약속하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퇴했던 기후변화협약에 재가입하는 등 글로벌 탄소 중립 정책의 리더십을 회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다시 말해 바이든 시대를 관철하는 투자 키워드는 ‘탈(脫)탄소’

    2021.11.29 06:00:11

    ‘내일의 금맥’ 돈 몰리는 기후 금융 수혜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