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국 신장 위구르 리스크에서 위기 회복력 보여준 나이키

    [ESG 리뷰]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왜 할까.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실시한 한국의 매출 500대 기업 조사 결과 ESG가 필요한 이유는 ‘기업 이미지 제고 목적’이 43.2%로 1위를 차지했다. ESG 평가 기관인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홈페이지에 보면 지속 가능 경영은 ‘기업 이미지 개선 및 브랜드 가치 제고’에 기여한다. ESG를 잘하면 기업 이미지가 높아지는 데는 대부분 동의한다. 기업의 이미지는 단순히 심상만을 뜻하지 않는다. 기업 이미지는 ‘이해관계인들이 가진 사회적 기억의 총합’, 즉 평판(reputation)이다.외국 기업들은 평판을 ESG의 동인으로 이해한다. ESG의 중요성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2005년 ‘후 케어 윈스(Who Care Wins)’ 선언문에서는 ‘ESG 이슈들은 기업 가치의 중대한 부분을 차지하는 평판과 브랜드에도 강력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ESG를 권고했다. KPMG가 2018년 약 900명의 이사회 멤버와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ESG를 왜 하는지 투표한 결과 ‘회사의 평판·브랜드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Potential Impact on Company’s Reputation·Brand)’이 54%로 1위를 차지했다. 세계적인 ESG 컨설팅 업체 ERM이 2019년 기업들에 기후 변화에 집중하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부정적인 결과를 물었더니 49%가 ‘주요 이해관계인에게 평판이 악화됨(Worsening reputation amongst key stakeholders)’이라고 응답했다. 평판은 분명히 ESG의 중요한 키 드라이버다.ESG 경영을 논의하면서 평판을 강조하는 것은 자칫 ESG 가치를 훼손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의 ESG 경영은 ESG 평판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지금 전 세계적으로 600여 개의 ESG 평가 기관

    2021.07.28 06:41:13

    중국 신장 위구르 리스크에서 위기 회복력 보여준 나이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