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K텔레콤이 발굴한 스타트업 잘 나가네…각종 공모전 휩쓴다

    SK텔레콤이 육성한 스타트업들이 정부·공기업이 주관하는 각종 공모전과 지원 사업에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SK텔레콤은 최근 과기정통부가 주관한 민관협력기반 ICT 스타트업 육성 사업에서 자사가 지원하고 있는 스타트업 4곳이 선발됐다고 1일 밝혔다.이번 민관협력기반 ICT 스타트업 육성사업에 최종 선정된 10개 스타트업 중 SK텔레콤이 지원 중인 스타트업은 △메디아이플러스(바이오벤처 임상데이터 수집·가공서비스) △커널로그(태양광 패널 효율 솔루션) △누비랩(인공지능 기반 음식낭비 최소화 솔루션) △에이슬립(AI 기반 수면 가이드 서비스) 등 4개 팀이다.선발된 ICT 유망 스타트업은 정부로부터 기술 개발 자금을, 민간에서는 기술·사업화 멘토링, 창업공간, 투자 유치, 판로 개척, 테스트베드 등 맞춤형 창업 프로그램을 지원받는다.SK텔레콤은 2020년부터 매년 과기부 ICT 스타트업 육성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해마다 육성 기업들의 선발 비중이 높아지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이밖에도 SK텔레콤이 육성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이 정부·공공기관 주관하는 다양한 지원 사업에서 선발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랩에스디’는 올해 중기부 빅3 지원사업 약정을 맺고, K스타트업 프로그램에 선정됐다. ‘딥비전스’는 고용노동부로부터 2022년 강소기업에 선발됐다. ‘프로메디우스’는 2022년 중기부 해외실증 PoC 지원프로그램에 뽑혔다.SK텔레콤이 육성한 스타트업들의 선전은 SK텔레콤이 2013년부터 10여년 간 쌓아온 스타트업 발굴 노하우와 스타트업들의 역량을 최대화는 맞춤형 코칭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SKT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스타트업 육

    2022.08.01 10:47:19

    SK텔레콤이 발굴한 스타트업 잘 나가네…각종 공모전 휩쓴다
  • 2022년 주목해야 할 메타버스 스타트업과 시대의 흐름 (feat. 미래학자 정지훈 교수)

    2022년 주목해야 할 메타버스 스타트업과 시대의 흐름 (feat. 미래학자 정지훈 교수)카카오 엔터테인먼트의 기술 자문을 맡고 있는 미래 전략가이자 엔젤투자자로 활동 중!코로나 19로 빠르게 메타버스 시대에 도래했고, 앞으로는 스타트업이 혁신을 일으킬 것으로 보여요. 특히 업무 지원 솔루션, 협업 도구 관련 스타트업을 눈여겨보면 좋아요.개인 업무 관리 앱 개발사 노션(Notion)아직 상장하지는 않았지만 이미 MZ 세대 사이에서도 업무 협업 툴 제공 기업으로 굉장히 유명해요. 이번에 최초로 대규모 투자 유치를 받고 유저 수가 5배나 늘었어요.기업용 메신저 개발사 슬랙(Slack)기업용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최근 세일즈포스닷컴이 30조 원에 인수하면서 급속도로 가치가 상승했어요. 협업 및 생산성 소프트웨어 시장에서의 입지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돼요.AR 기반 원격 협업 플랫폼 개발사 스페이셜(Spatial)‘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9’에서 사티아 나델라 MS CEO와 홀로렌즈 2를 시연하면서 주목받았어요. 실리콘밸리에는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협업 관련 플랫폼 기업이 수백 개 생겼다고 해요.3D 의료 교육 콘텐츠를 지원하는 기업 뉴베이스(NEWBASE)요즘 코로나19로 인해 신규 인력 실습이 불가능해져 의학 분야에서의 교육 콘텐츠 수요가 많아졌어요. 뉴베이스는 최근 빠르게 성장했고, 현재 전국 200여 개 의료시설 및 교육기관에 도입돼 사용되고 있어요.올해로 메타버스 붐이 2년 차로 들어섰는데요. 기술이 아무리 신속하게 발전해도 사람들에게 적응되고, 전파되는 물리적 속도가 있기 때문에 메타버스가 대중화되는 시기는 5년을 내다보고 있어요.메타버스 시대의 흐름2022년 경쟁 구도

    2021.12.08 15:59:46

    2022년 주목해야 할 메타버스 스타트업과 시대의 흐름 (feat. 미래학자 정지훈 교수)
  • 제2의 ‘페북·트위터’ 한국서 나올까? 글로벌 투자, K스타트업에 몰린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해를 거듭할수록 국내 스타트업에 몰리는 투자금이 확대되고 있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국내 스타트업들이 받은 투자 규모는 총 4조3539억원으로 작년 총 투자 유치액인 3조3488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국내 스타트업의 경쟁력을 증명하는 또 다른 근거는 글로벌 VC의 움직임이다. 미국, 싱가포르, 일본, 중국 등 대형 자본력을 가진 글로벌 VC들이 유니콘 재목이 될 한국 스타트업들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해외 VC를 통해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글로벌 VC는 국내 투자사 만큼 깐깐한 안목과 성장 잠재력을 기준으로 투자대상을 평가하기 때문에 이들의 투자유치 성공은 해외 진출을 꿈꾸는 스타트업들에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버팀목이 된다”며, “국내 스타트업이 시리즈 C 이상 투자에 들어갈수록 국내VC 자금만으로 후속투자를 이끌어내기에 한계가 있어 글로벌 VC의 투자유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싱가포르 국영 투자서서 투자한 채널톡, 시리즈C 투자유치로 누적 투자 규모 400억원 달성국내 기업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B2B SaaS) 스타트업인 채널코퍼레이션은 지난달 280억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누적 투자 규모 400억원을 달성했다.2000년 국내 탑 티어 창투사(VC) 3개사로부터 50억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C브릿지투자를 받은 채널톡은 이번 투자에 리드 투자사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가디언펀드, 파빌리온 캐피탈, IMM인베스트먼트, 본엔젤스, 라구나인베스트먼트 등 국내와 해외 유수의 VC(벤처캐피탈), PE(장기투자 전문기구)가 새롭게 합류하면서 비즈니스의 외연 확장과

    2021.10.12 11:46:26

    제2의 ‘페북·트위터’ 한국서 나올까? 글로벌 투자, K스타트업에 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