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부가 가치’ LNG선, 하반기 조선업 이끈다
[비즈니스 포커스]액화천연가스(LNG)선은 섭씨 영하 163도로 액화된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이다. 액화된 천연가스를 운반하기 위해 온도를 극저온으로 유지하고 기체로 소실되는 양을 최소화해야 한다.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만큼 선박 중에서도 ‘고부가 가치 선박’으로 분류된다. 높은 기술력을 지닌 한국 조선사들이 LNG선 수주에 유리한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받는다.LNG가 주목받는 이유는 현시점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대체 연료이기 때문이다. LNG는 저유황유 대비 15~21% 더 적게 탄소를 배출한다.본격적으로 친환경 규제가 눈앞에 다가오면서 선사들의 LNG선 발주도 늘어났다. 특히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 발주량이 급증했다. 2021년에 접어들자 예년보다 발주량이 감소할 것이란 우려도 나왔지만 올해 상반기 발주량은 오히려 급증했다. 상반기 LNG선 발주 ‘싹쓸이’한 韓 조선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 업체 클락슨리서치가 7월 1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 세계에서 152만9421CGT(표준선 환산 톤수)의 LNG선이 발주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6만3629CGT 대비 4배 넘게 급증한 것이다.상반기에는 특히 한국 조선사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한국의 LNG 수주량은 ‘0’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상반기 발주량의 94%인 143만3562CGT를 한국이 수주하며 ‘싹쓸이’했다. LNG선 발주가 활발해지면서 하반기는 수주 잔량이 주춤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하반기 예정된 LNG 프로젝트들의 수주량이 부풀려진 게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다. 하지만 하반기의 시작인 7월 들어 2주간 LNG선 발주량이 60만644CGT를 기록하면서 당초의 예상과 달
2021.08.31 06:10:01
-
BDI 상승에 13년 만에 분기 기준 최대 실적 올린 팬오션
[비즈니스 포커스] 한국의 대표 벌크선사 팬오션이 13년 만에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리먼 브라더스 위기가 해운 시장을 덮치기 직전인 2008년 4분기(1200억원) 이후 처음으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000억원을 돌파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 각국이 꺼내든 경기 부양책 카드가 해상 물동량을 늘리면서 컨테이너와 벌크 시장 모두 운임이 연일 최고치를 찍고 있다. 팬오션을 비롯한 선사들의 2분기 실적이 껑충 뛴 이유다. 올 1분기부터 꾸준히 확보해 온 선대 확장도 팬오션의 실적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3분기 들어 3000 넘은 BDI 팬오션은 8월 12일 올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4.3% 증가한 112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1조12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3% 증가했다. 상반기 실적으로 봐도 상승세가 뚜렸했다. 팬오션의 올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7% 증가한 1조8098억원, 영업이익은 57.6% 증가한 1609억원이다. 팬오션의 이 같은 실적은 해운 시황의 전반적 상승에 따른 결과다. 올 상반기 벌크선 시황의 바로미터인 발틱운임지수(BDI)는 전년 동기 대비 357% 폭증했다. 클락슨에 따르면 8월 11일까지 BDI 평균치는 2447로 지난해 평균인 1066을 크게 뛰어넘었다. 올해 BDI가 3418로 최고점을 찍은 반면 지난해 최고치는 2097에 불과했다. 특히 3분기 들어 BDI가 3000을 넘었다. 올해 7~8월 평균 BDI는 3230을 유지하고 있다. 나민식 이베스트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수요 측면에서 중국·호주 간 갈등으로 철광석 톤마일 증가, 미국 1조 달러 인프라 투자 법안 통과로 기타 건화물의 물동량 상승이 기대되고 있다”고 향후 벌크선 시장을
2021.08.24 06:10:02
-
기지개 켠 한국 조선업, 신조선 수주 '싹쓸이'
[비즈니스 포커스] 지난해 주춤했던 한국 조선 산업이 1분기 들어 다시 기지개를 펴고 있다. 그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둔화와 유가 하락 등으로 침체됐었지만 올해 들어 신조선 수주를 싹쓸이하며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년 전에 비해 10배 늘어난 수주량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 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에서 총 1024만CGT(표준선 환산톤수·3...
2021.04.15 06:5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