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탄녹위 민간위원 "전기요금 현실화로 온실가스 감축해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 민간위원들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전기요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민간위원들은 21일 입장문을 내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의 차질 없는 달성과 에너지시장 왜곡 시정을 위해 한전의 강력한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전기요금 인상이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김상협 탄녹위 위원장은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 온실가스 감축과 기술혁신을 위해선 에너지 가격 합리화가 급선무"라면서 "이는 화석연료 수입액 급증에 따른 무역적자 개선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민간위원 응답자 28명 가운데 23명이 이러한 전기요금 인상 주장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탄녹위 민간위원들은 "시장원리에 기반한 합리적 에너지 요금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며 "전기요금 현실화는 더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이어 "정부 당국과 정치권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다음 세대의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탄녹위 관계자는 "NDC는 정부의 최상위 환경 계획"이라며 "NDC 달성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전기 요금을 바탕으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배출권 거래제도 등도 재정비해야 한다"고 했다.정부는 지난 11일 탄녹위의 심의, 의결를 거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의 연도별·부문별 기본 계획을 국무회의에서 확정한 바 있다.한편, 한국전력은 이날 전기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놨다.한전은 입장문을 통해 "뼈를 깎는 심정으

    2023.04.21 11:53:19

    탄녹위 민간위원 "전기요금 현실화로 온실가스 감축해야"
  • 국가 온실가스 감축 40% 유지...산업 부담 완화

    정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로 유지하고 산업 부문의 감축 부담은 줄이고 원전과 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전환 부문 감축 목표는 상향하기로 했다.정부가 21일 발표한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산업 부문 감축률은 14.5%에서 11.4%로 3.1% 축소된다. 이에 따라 산업 부문에서 2030년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는 2억2260만톤에서 2억370만톤으로 810만톤 늘어난다.반면, 에너지 전환 부문은 배출량은 1억4990만톤에서 1억4590만톤으로 400만톤 감소한다. 수소 부문 배출량은 80만톤 증가하고 에너지 흡수 부문에서는 탄소포집과 활용 및 저장기술(CCUS)를 바탕으로 90만톤, 국제협력 감축사업으로 400만톤을 추가 감축한다.사실상 산업 부문에서 추가 배출하는 810만톤을 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 국제 감축 사업으로 상쇄하는 셈이다.세부적으로 산업 부문에서는 정부와 기업이 협업하는 기술 확보 및 저탄소 구조 전환을 추진하며, 감축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해 기술혁신펀드를 조성하고 보조·융자를 확대한다.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자발적인 감축 활동을 유도하기로 했다.에너지 전환 부문에서는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균형적인 에너지 믹스와 청정 에너지 전환을 통해 온실가스를 추가 감축한다. CCUS 부문에서는 국내 탄소저장소를 확대하여 온실가스 흡수량을 늘린다. 전력 계통망 및 저장체계 등 기반 구축과 시장 원리에 기반한 합리적인 에너지 요금체계를 마련해 수요 효율화도 추진한다.수소 부문에서는 블루 수소 증가로 배출량이 일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건축,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흡수원 등 5개 부문은 기존 NDC

    2023.03.21 16:06:43

    국가 온실가스 감축 40% 유지...산업 부담 완화
  • 2030 탄소중립 목표…원전·수소 키우고, 산업 부담 낮췄다

    윤석열 정부의 탄소중립 이행안이 나왔다. 합리적이고 실행가능한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위해 원전과 재생에너지 믹스를 확대하고 산업계의 감축 목표는 완화했다. 정부는 기본계획 성과 추진을 위해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약 89.9조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윤석열 정부의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이 21일 공개됐다. 지난해 시행된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수립된 정부 차원의 첫 탄소중립·녹색성장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정부는 22일 공청회 등을 거쳐 의견 수렴 후 최종안을 보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는 2018년 대비 탄소배출량을 40% 감축하는 것이 골자다. 기본계획은 목표 달성을 위해 전환, 산업 등 10개 부문의 37개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지난 2021년 10월 발표됐던 기존 NDC에서 달라진 것은 전환, 산업, 수소,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국제감축 부문 목표다. 기존 NDC에서는 전환 부문에서 44.4%, 산업 부문에서 14.5% 감축을 발표했으나, 이번 기본계획에는 각각 45.9%, 11.5%로 조정됐다. 줄어든 감축분은 국제감축과 수소, CCUS으로 재분배했다. 전환 부문에서 속도를 내는 대신 산업 부문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윤 정부의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원전 발전 비중을 2021년 27.4%에서 30년까지 32.4%, 신재생에너지는 7.5%에서 21.6% 이상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산업 부문에서는 배출권거래제 내 배출 효율이 우수한 기업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자발적 감축을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청정수소 기반의 생태계 구축 등 수소경제 확

    2023.03.21 15:01:44

    2030 탄소중립 목표…원전·수소 키우고, 산업 부담 낮췄다
  • 두산 “40조 수소터빈 시장…청정수소 비중 확대로 사업 탄력”

    두산에너빌리티는 정부가 공개한 청정수소 발전 비중 목표에 따라 수소터빈 사업이 탄력 받을 전망이라고 11월 14일 밝혔다.수소경제위원회가 지난주 공개한 수소경제 정책 방향에 따르면 한국은 청정수소 발전 비중을 2022년 0%에서 2030년 2.1%, 2036년 7.1%로 상향한다.두산에너빌리티는 2027년 완료를 목표로 대형 수소터빈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수소터빈은 수소 또는 수소-액화천연가스(LNG) 혼합 연료를 사용하는 수소 복합 발전소의 핵심 주기기다.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기계연구원과 '300MW급 수소터빈용 50% 수소 혼소 친환경 연소기 개발' 국책 과제를 수행 중이며, 지난 8월 수소터빈 연소기의 30% 수소 혼소 시험에 성공했다. 2023년에는 수소터빈 연소기 50% 수소 혼소 시험을 앞두고 있다.국책 과제 완료 이후에도 두산에너빌리티는 대형 수소 전소 터빈 개발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전소 터빈은 수소만으로 발전이 가능한 기기로 2027년에 380MW급 수소 전소 터빈 개발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이에 들어가는 핵심 기기인 수소 전소 터빈용 연소기를 2026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일본 야노경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수소터빈 시장은 2030년 40조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높은 시장성에 따라 전 세계 주요 가스터빈 제조기업들은 현재 수소터빈 개발을 추진 중이다. 2030년 전후로 중대형 수소 전소 터빈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박홍욱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 BG장은 “수소터빈 분야에서 한국이 세계를 선도하기 위해 국내 산학연, 공기업과 지자체가 힘을 모아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국내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은 물론 340여 개 기업이 함께하는 수소터빈 산업 생태

    2022.11.14 09:39:45

    두산 “40조 수소터빈 시장…청정수소 비중 확대로 사업 탄력”
  • 국내 최대 전력원을 원전으로, 신재생에너지 위기 봉착?

    윤석열 정부의 원자력 발전 중심 ‘에너지 믹스’ 초안이 나왔다.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원전) 비중은 32.8%로 늘어났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1.5%까지 떨어졌다. 원전은 퇴출 대상으로 보고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30.2%까지 높이겠다고 발표한 문재인 정부와는 180도 다른 입장이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분과위원회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10차 전기본 논의결과와 실무안을 공개했다. 10차 전기본에는 2036년까지 장기 수요 전망, 수요 관리 목표, 발전 및 송·변전 설비 계획이 담겼다. 산업부는 실무안을 기반으로 환경영향평가, 관련 부처 협의, 국회 보고 등을 거쳐 올 연말쯤 최종안을 확정한다. 실무안에 공개된 온실가스 감축의 목표는 ‘원전·신재생 확대 등으로 2030년 NDC 배출목표 달성’이다. 2030년 전원별 발전량 기준으로는 원전 발전 비중이 32.8%, 신재생이 21.5%, 석탄발전이 21.2%를 차지한다. 즉, 국내 최대 전력원이 원전이 되는 것이다. 원전 12기는 전부 가동하며, 공사가 잠정 중단됐던 신한울 3·4기도 2032년~2033년 상업운전을 시작한다. 신재생의 경우 기존 NDC 목표치인 30.2%와는 현저히 떨어진 21.5%에 머물렀다. 원전 차지 비중이 비중이 기준 23.9%에서 32.8%로 대폭 상승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석탄 감축 기조는 유지했으나 감소 폭은 다소 미미하다. 이에 신재생에너지 산업 축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석탄과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줄어든 만큼 축소될 전력과 에너지를 과연 원전이 모두 감당할 수 있을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원전은 건설에 10년, 신재생은 2년신재생에너지

    2022.08.31 17:35:27

    국내 최대 전력원을 원전으로, 신재생에너지 위기 봉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