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포스코그룹, 동박 1위 SKC와 리튬 메탈 음극재 공동 개발

    포스코그룹과 SKC가 미래 2차전지소재 사업에 협력하기로 했다.포스코그룹과 SKC는 5월 30일 서울 종로구 SKC 본사에서 박원철 SKC 사장과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 부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2차전지소재 사업의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리튬 메탈 음극재 등 차세대 음극 소재 공동 개발과 함께 소재 생산을 위한 공정 기술 개발 등을 협업해 미래 2차전지 시장의 혁신을 이끌어 나가기로 했다. 리튬 메탈 음극재는 동박에 리튬 금속을 도금해 제조할 수 있으며 에너지밀도가 기존 흑연계 음극재(350mAh·g) 대비 약 10배 수준인 3860mAh·g에 달하는 고용량 소재로서 리튬 이온 배터리는 물론 향후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이 가능해 차세대 음극재로 각광받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017년부터 리튬 메탈 음극재 분야에서 선제적으로 연구·개발(R&D)을 시작해 2026년 상용화할 예정이다. 포스코홀딩스 리튬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리튬 메탈 음극재 사업을 선도할 계획이다.리튬 메탈 음극재 제조에 있어 동박 기술이 중요한 만큼 포스코그룹은 동박 제조 글로벌 1위인 SKC와 협력을 통해 리튬 메탈 음극재 상용화를 가속할 계획이다.포스코그룹과 SKC는 2차전지소재의 핵심 원료 공급에도 힘을 합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동박의 원료인 구리를 포함한 광물 트레이딩 경쟁력을 기반으로 SKC와 함께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을 구축하는 등 공동 사업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양사는 사업 담당 자회사를 포함한 공동 실무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은 “리튬 메탈 음극재 등 차세대음극재 역량뿐만아니라 리튬·니켈 등 원소재,

    2023.05.30 11:06:54

    포스코그룹, 동박 1위 SKC와 리튬 메탈 음극재 공동 개발
  • SKC, 내부 탄소 가격제 등 ESG 투자 지표 고도화

    SKC가 투자 의사결정 과정에서 반영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지표를 대폭 확대한다. ESG 투자 체크 리스트 마련, 투자 대상 사업 운영에서 발생하는 탄소 가격을 비용으로 반용하는 내부 탄소가격제 도입 등이 세부 목표로 제시됐다. SKC는 14일 이사회 산하기구인 ESG위원회에 이 같은 ‘ESG 기반 투자 프로세스 개선 방안’을 보고했다고 15일 밝혔다. SKC는 투자 의사결정 과정에서 외부 평가기관의 관리항목으로 구성한 ESG 지표를 반영하는 기존 방식 대신 고도화된 자체 지표 도입을 통해 전문성을 더한다. 투자 의사결정 시 반영하는 ‘ESG 체크리스트’를 투자 유형별, 투자 단계별로 나눠 반영할 수 있도록 세분화했다. 투자 검토 단계, 본격 실행 단계 등 단계별로 적절한 ESG 체크리스트를 검토해 그 결과를 의사결정에 반영한다. 체크리스트 항목 수는 기존 14개에서 92개로 늘린다. 또 투자 대상 사업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탄소량을 예측해 ‘비용’으로 반영하는 내부 탄소 가격 제도도 도입한다. 친환경적 관점에서 투자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탄소 배출량 감축 방안을 마련해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하겠다는 의지다. SKC는 올해 상반기 검토를 거쳐 하반기부터 내부 탄소 가격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SKC 관계자는 “중장기 ESG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력을 높이고, 글로벌 ESG 소재 솔루션 기업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모든 부서의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ESG 지표를 확대했다”며 “SKC는 앞으로도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를 포함한 경영 전반의 시스템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3.02.15 14:04:50

    SKC, 내부 탄소 가격제 등 ESG 투자 지표 고도화
  • 썩지 않는 애물단지가 미래 먹거리로…‘폐플라스틱’에 꽂힌 화학업계

    [비즈니스 포커스] 플라스틱은 아직 재활용하는 비용보다 만드는 비용이 훨씬 저렴해 전 세계적으로 재활용률이 단 9%에 불과하다. 나머지 91% 중 79%는 매립, 12%는 소각돼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지목돼 왔다.폐플라스틱 발생량이 폐기물 처리 용량을 뛰어넘으며 환경 오염이 심각해졌고 2050년 넷제로를 위한 탄소 예산의 14%에 해당하는 560억 톤의 온실가스가 플라스틱 때문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대로 간다면 플라스틱 산업은 좌초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주요국들의 환경 규제도 강화되는 추세다. 유럽연합(EU)과 중국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플라스틱 제조 기업과 사용 기업에 대해 사용 이후 폐기 단계는 물론 제품의 설계·생산·유통 단계로 책임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한층 강화된 환경 규제와 함께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투자 판단의 새로운 기준이 되면서 화학업계는 폐플라스틱 관련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화학 기업들이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확대하고 썩는 플라스틱 개발에 적극 나서면서 애물단지 취급을 받던 폐플라스틱이 탄소 중립 시대의 ‘황금알’로 변신하고 있다.  탄소 중립 시대, 신시장으로 부상전 세계적인 환경 규제와 ESG 열풍으로 폐플라스틱 수요가 증가하면서 최근 가격도 급등세다. 환경부 자원순환정보시스템에 따르면 9월 압축 페트(PET) 가격은 kg당 329원으로 1년 전(209원)보다 57.4% 올랐다.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세척해 잘게 부순 형태의 플레이크 가격도 오름세다. PP 플레이크는 지난해 9월 kg당 248원에서 353원으로 42.3% 올랐고 PE 플레이크는 지난해 9월 274원에서 383원으로 39.8% 뛰었다.아큐먼

    2021.10.07 06:03:02

    썩지 않는 애물단지가 미래 먹거리로…‘폐플라스틱’에 꽂힌 화학업계
  • SKC, 코타키나발루에 6500억 들여 동박 공장 짓는다

    [위클리 이슈] 기업SKC의 자회사인 SK넥실리스는 1월 26일 이사회를 열고 해외 동박 공장을 말레이시아 사바 주 코타키나발루시에 짓는 방안을 확정했다.6500억원을 투자해 연 4만4000톤 규모의 생산 거점을 확보할 계획이다. 2023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올 상반기 착공할 예정이다.얇은 구리막인 동박은 전기자동차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다. SKC는 전기차 배터리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 생산 거점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SK넥실리스는 전북 정읍에 4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기준 연 3만4000톤의 동박 생산 능력을 갖췄다.말레이시아 공장이 가동되면 SK넥실리스의 동박 생산 능력은 지금의 세 배 수준인 10만 톤에 육박한다.최은석 기자 choies@hankyung.com

    2021.02.01 14:40:20

    SKC, 코타키나발루에 6500억 들여 동박 공장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