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특허 면제의 이면 [정인교의 경제 돋보기]
[경제 돋보기]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1월 5일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가 개발한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Paxlovid)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치료에 효능이 있고 사망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는 대로 알약으로 코로나19 감염자 치료에 나설 것이고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유행) 터널의 끝이 보인다고 강조했다.알약 형태의 치료제는 주사제에 비해 복용과 보관이 쉽고 비용이 싸다는 점에서 코로나19 극복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이자에 앞서 지난 10월 제약사 머크(MSD)가 개발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라는 코로나19 치료용 알약은 FDA에서 시판 승인을 받았다. 머크나 화이자 모두 미국 제약사이고 코로나19 감염자의 입원 및 사망 위험 측면에서 화이자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효과가 머크의 몰누피라비르보다 훨씬 더 높으면서 가격도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지난 10월 머크는 로열티 면제를 105개 개도국에 허용했다. 이번에 화이자도 세계보건기구(WHO)를 통해 세계 중저 개발국 95개국(세계 인구의 53% 거주)에 대해 코로나19 치료제의 제네릭(복제약) 제조를 위한 자발적 라이선스를 허용하기로 했다. 백신 접종 속도가 느리고 팬데믹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는 개도국들은 라이선스 생산으로 낮은 비용에 다량의 치료제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그런데 라이선스 생산이 허용된 국가는 대부분 아프리카 또는 아시아에 있는 반면 심각한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했던 브라질·중국·러시아·아르헨티나·말레이시아·태국 등은 해당되지 않는다. 브라질은 요건을 갖춘 제약사가 제네릭을 생산해 수출할 수
2021.12.01 17: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