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는 규제 아닌 시장 메커니즘, 자본 흐름 통해 변화 만들어”
[ESG리뷰] 인터뷰지금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 이전에 사회 책임 투자(SRI)가 있었다. 2000년대 초반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SRI는 기업이 처한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금융 시장을 휩쓸었다. 그리고 다시 20여 년 만에 ESG 열풍이 일고 있다. 그때와 지금은 무엇이 다를까. 한국에 사회 책임 투자 개념을 적극적으로 들여오고 ESG 평가 모델을 개발해 시장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서스틴베스트의 류영재 대표에게 물었다. 류 대표는 주식 호황기인 1988년 증권사에 입사한 후 10여 년간 증권업계를 누비다 2000년 영국 유학길에 올라 SRI와 ESG의 확산세를 목격했다. 이후 영국 리서치 기관 아이리스(EIRIS) 등의 모델을 벤치마킹해 2006년 서스틴베스트를 설립했다. 최근 ESG가 부상하기까지 15년간 시장의 변화를 현장에서 지켜봐 온 전문가다.-ESG와 SRI의 관계는 무엇인가요.“한마디로 SRI는 ESG를 고려해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왜 용어가 바뀌었을까요. 여기에는 사회 책임에 대한 주류 투자자들의 거부 반응이 반영된 것이라고 봅니다. 사회 책임 투자보다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게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됐죠. 6~7년 전부터 SRI에서 ‘사회’를 뺀 책임 투자(RI)라는 용어가 혼용됐습니다. 그러다가 2019년부터 ESG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름만 바뀌었을 뿐 SRI·RI·ESG는 거의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2000년대 초반 이후 거의 20년 만에 ESG가 다시 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사회 책임 투자, 지속 가능 경영 등 용어도 ESG로 수렴되고 있습니다. 최근 ESG가 부상하게 된 가장 큰 동력은 무엇입니까.“근인과
2021.05.18 06:58:01
-
ESG 등급 하락이 새로운 '리스크'로...기업 이해관계인 된 평가사
[스페셜 리포트]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대세(mainstream)가 된 해.’ 스위스 소재 ESG 평가 기관인 로베코샘(RobecoSAM)의 지속 가능성 통합 부서를 총괄하는 마스자 젠드베르헨은 2020년을 ESG의 해로 정의했다. 해외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지난해부터 ESG가 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ESG 수준을 평가하는 ESG 평가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2021.03.31 08:4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