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ig story] 변정규 전무 “환율 안정화 시급…금융위기 때와 다르지만 위험”

    환율이 1400원대를 돌파한 이후에도 좀처럼 하락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지만 현재로선 시장 상황이 개선될 여지도 멀어 보인다.JP모건을 시작으로 SC제일은행 등에서 25년간 딜러로 활동해 온 변정규 미즈호은행 전무는 작금의 금융 시장이 과거에 보지 못했던 모습을 띠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시스템 리스크로 가지 않으려면 환율과 증권, 채권, 파생상품 등 자본시장의 안정화는 필수라고 강조한다. 변 전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지금 시장의 모습은 많이 다르지만 위험 요인들이 상당히 많다”며 “신용상황이 악화된 기업들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언급했다.특히 지금 같은 시기엔 체질이 나쁜 기업이나 국가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국가 신용도의 위험 수준을 보여주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크게 상승했다.한국은 과거에 20bp(0.2%)였지만, 최근엔 60bp(0.6%)까지 올라온 상태다. CDS가 올라갈수록 국가 부도율이 높아지는데 변 전무는 미국을 제외한 많은 국가들의 CDS 비율이 과거보다 올라간 상태라고 진단했다. 우리나라의 CDS프리미엄이 상승한 배경으로는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때문이라고 꼽았다.그는 “환율이 일시적으로 1500원 선을 돌파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 같은 고환율 흐름이 내년 초까지는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처럼 고환율이 유지되는 배경으로 향후 신용 사태 발생 등을 우려해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의 미사일 위협 등으로 달러화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높아진 점을 이유

    2022.10.27 09:01:06

    [big story] 변정규 전무 “환율 안정화 시급…금융위기 때와 다르지만 위험”
  • [big story] 금융위기 '경고음'…진앙지는 어디일까

    #2008년 9월 15일 미국의 5대 투자은행(IB) 중 하나인 리먼브라더스가 파산보호신청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금융 시장은 곧바로 패닉 상태에 빠졌다. 이는 전 세계에 공포를 불러온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시켰다. 2008년부터 글로벌 경제 전반을 휩쓸었던 금융위기의 단초가 됐던 사건은 다름 아닌 2007년 유럽계 은행의 파생상품 손실 이슈였다. 당시 이 은행은 미국의 비우량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을 바탕으로 한 파생상품으로 크게 손실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당시엔 이 사태가 금융위기로 번질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이때 전문가들은 손실 규모에 대해 심각하지 않다며 낙관적인 전망을 견지했다가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위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버판을 받고 있다.“2008년 금융위기와 다르지만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위기의 전조증상 같습니다.”금융위기 가능성에 대해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지만 금융위기의 전이 속도는 과거보다 빨라지고 범위는 갈수록 광범위해질 조짐이다. 글로벌 경제가 긴밀하게 연계돼 있지만 국가 간 블록화가 심화되면서 위기가 닥쳤을 때 쉽게 해소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위기는 과연 어디서부터 시작될까. 경제 상식을 뒤집는 여러 위기 현상 속에서 진앙지를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다.환율 위기 우려...외환보유액 안전판 절실금융위기의 전조증상으로 환율문제가 가장 큰 우려요인으로 지목된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돌파하자 제2의 금융위기가 터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다. 지난 1997년 12월 IMF 외환위기가 터질 때 환율이 1400원을 돌파해 2000원을 육박했고, 2008년 글

    2022.10.27 09:00:11

    [big story] 금융위기 '경고음'…진앙지는 어디일까
  • [big story] 금융 쇼크…위기의 시그널 5

    위기의 시그널인가. 최근 환율, 물가, 금리 등의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 금리가 치솟자 부동산 경기는 급속도로 냉각되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대외 변수도 녹록지 않다. 세계 곳곳에서 지정학적 갈등이 발생하고 글로벌 경제의 블록화로 인한 공조 균열 등 위험이 곳곳에서 도사리고 있다.위험은 감지되지만 미리 대비할 만한 정책적 카드는 도무지 보이지 않는다. 더욱 불안해진 금융 시장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 습관적으로 10년 위기설, 20년 위기설 등 새로운 위기설이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다.한경 머니는 11월호에서 금융쇼크를 야기할 만한 위기의 시그널 5가지를 꼽아 현재 시장 전반에서 우려되는 위험 요인들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전문가들에게 문제점과 해법 마련에 대한 견해를 들어봤다.글 이미경·정초원 기자 | 사진 서범세·이승재 기자① 금융위기 ‘경고음’…진앙지는 어디일까② 금융위기 데자뷰? 깜빡이 켠 시그널 ‘5’③ 한눈에 보는 글로벌 경제④ 전문가 4인이 바라본 금융위기 가능성과 해법은⑤ 투자 혹한기, ‘노아의 방주’에 담을 상품은 

    2022.10.27 09:00:03

    [big story] 금융 쇼크…위기의 시그널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