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문맹 아닌 ‘금맹’이 문제인 이유[리스크 관리 ABC]

    [리스크 관리 ABC]필자는 영화 감상이 취미다. 특히 역사물이나 금융 관련 영화를 좋아하는데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금융 스캔들 영화가 많이 나왔던 것으로 안다. ‘마진콜(2011년)’, ’아비트라지(2013년)’, ‘빅쇼트(2015년)’ 등이 대표적인데 주위 사람들이 영화 타이틀에 대해 필자에게 많이 문의했었던 기억이 난다. 아닌 게 아니라 영화 타이틀만 봐선 금융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은 도저히 영화의 내용을 짐작할 도리가 없다.신문의 경제 기사들도 마찬가지다. MBS·ABS·ELS·DLS·IPO·ETF·레버리지·녹인·녹아웃·워런트·서브프라임 등 도무지 알 수 없는 외계어 급의 외래어들이 난무한다. 문제는 옛날처럼 이를 몰라도 경제 활동에 크게 지장이 없는 게 아니란 사실이다. 신문 기사도 이해할 수 없고 뉴스 논평도 알아듣지 못하겠고 은행 창구에 가면 신상품을 소개하는 직원들의 설명이 도대체 뭔 소리인지 알 수 없다. 바로 문맹 아닌 ‘금맹’이 문제다.외래어를 쓰는 금융 용어야 너무 전문적이어서 그렇다 치자. 우리말로 소개되는 금융 상품이나 금융 제도도 쉽지 않다. 주식 시장에서 많은 논란거리인 공매도도 잘 이해되지 않고 눈에 보이지 않는 주가지수나 금리를 거래한다는 것도 이상하고 오늘 당장 실물이 교환되지 않고 미래에 교환된다는 선물 거래는 무엇인가. 금융 파생 상품이 많이 거래된다는데 옵션은 선택권 아닌가. 스와프는 또 뭔가.“보험료를 몇 년이나 꼬박 꼬박 냈는데 해지 시 돌려받는 게 원금도 안 된다니 세상에 이런 법이 있어요.” 매년 국정 감사에서 반복되는 국회의원들의

    2021.04.02 07:02:01

    문맹 아닌 ‘금맹’이 문제인 이유[리스크 관리 A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