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융레시피] 빚좋은 개살구? 고금리 예적금의 민낯

    최근 종료된 청년희망적금을 시작으로 정부 주도의 고금리 상품이 잇따라 나오고 있지만 ‘빛 좋은 개살구’라는 지적이 잇따른다. 저금리 고착화로 인해 반짝 인기몰이를 했지만 한시적으로 내놓는 정책 상품들 대부분이 지속성을 갖기가 어렵다는 측면에서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금리 예·적금 상품은 왜 반짝 인기에 그칠 수밖에 없는 걸까.# 직장인 김 모(36) 씨는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봤지만 만 19~34세 기준에 충족하지 못해 가입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후에 김 씨는 은행들이 잇따라 내놓은 고금리 특판 상품도 살펴봤지만 신용카드 이용 이력이나 급여이체 여부 등 조건이 까다로워 가입을 해야할지 고민에 빠졌다.글로벌 긴축 흐름에 이어 금리 인상 압박이 거세지면서 제로금리까지 떨어졌던 기준금리가 2년 만에 1.25%를 회복했지만 여전히 1%대 초저금리 수준에 그치고 있다.앞으로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에 속도를 올린다고 해도 과거 20~30년 전 예금금리였던 10~20%대까지 올라갈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과거 인기리에 방영했던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시대 배경은 은행 예금금리가 15%에 달한다. 이후 10년 만에 한 자릿수로 하락했고, 2015년에 1%대까지 하락했다. 드라마의 시대 배경인 1988년보다 34년이나 흐르면서 과거의 두 자릿수 슈퍼 금리로 되돌아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절대 불가능한 일이 됐다.최근 흥행으로 마감한 청년희망적금은 총 1200만 원의 납입액(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을 기준으로 은행 제공 금리 연 5%와 은행별 최대 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더하고, 이자소득 비과세와 저축장려금 36만 원을 합하면 만기 시 수령액 1298만5000

    2022.03.29 09:00:05

    [금융레시피] 빚좋은 개살구? 고금리 예적금의 민낯
  • 위기 때 구원등판…달러 자산을 주목하는 이유

    이미경 기자의 금융레시피물가 상승에 따른 긴축 이슈와 우크라이나 사태 속에서 글로벌 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금과 달러 같은 안전자산에 주목한다. 그중 달러는 안전자산 중에서 위기때마다 안전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달러는 기축통화로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미·중 무역전쟁,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 등 굵직한 글로벌 악재가 발생할 때마다 주목받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서 달러마저도 투기 시장으로 전락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투자자들이 자산 배분 관점에서 달러 자산에 접근하기보다는 달러 가격이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겠다는 의지가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그러나 달러 자산은 주식시장처럼 가까운 미래조차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는 측면에서 잦은 매매는 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달러 투자를 위해서는 환율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하지만 환율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 시중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은행권 딜링룸에서도 환율을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어렵다”며 “사실상 환율의 미래는 정확하게 알기가 어려운 영역”이라고 했다.달러, 경제위기 때마다 소방수 역할… 자산 배분 관점 접근해야2007년 금융위기, 2018년 글로벌 경제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등 각각 위기가 도래할 때마다 원·달러 환율은 급등세를 보였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 보유하고 있던 달러 자산의 가치도 크게 뛴다.환율은 위기 상황이 아니라면 상방과 하방이 정해져 있는 자산이다. 환율이 오르면 해외 기관이나 투기적 자금들

    2022.02.28 06:00:42

    위기 때 구원등판…달러 자산을 주목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