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본 경제의 최대 숙제, 부의 유출·고령화를 막아라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 2021년 현재 일본의 개인 투자자는 약 1400만 명이다, 한국은 1374만 명이다. 일본의 인구는 한국의 2.5배지만 개인 투자자 수는 비슷하다. 한국의 개인 투자자는 지난 3년 새 2.5배 늘었다. 반대로 일본은 개미 투자자가 기록적으로 급감한 세계적으로 드문 나라다. 2021년 도쿄증권거래소 조사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보유 비율은 16.6%(금액 기준)로 50년 전에 비해 반 토막 났다.  1990년대 버블 경제의 붕괴로 주가가 폭락한 것은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을 등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1989년 12월 29일 역대 최고치인 3만8915를 기록한 닛케이225지수는 1990년 한 해 동안 39% 떨어지며 2만3848까지 추락했다. 2008년에는 연간 기준 역대 최대 폭인 42.1% 급락해 8859까지 떨어졌다.  한때 미국을 넘어 세계 최대 주식 시장(상장사 시가 총액 기준)이었던 일본 증시는 오늘날 중국과 유럽에 밀려 5위까지 처졌다.   활력 잃고 늙어 가는 일본 주식 시장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가 커지면서 일본 정부는 부가 해외로 빠져나가는 ‘캐피털 플라이트(부의 유출)’로 곤혹스럽다. 부의 유출과 함께 일본을 고민에 빠뜨리는 또 하나의 현상은 ‘부의 고령화’다. 2000조 엔이 넘는 일본 가계 금융 자산의 60%는 60세 이상 고령자가 보유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의 금융 자산은 대부분 예금과 현금 형태로 은행 통장과 장롱 속에서 늙어 가고 있다. 주식 시장도 마찬가지다. 일본 개인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의 67%를 60세 이상 고령자가 갖고 있다. 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주식 시장의 고령화에 대한 분석 기사를 내놓았다. 1989년 개인 투자자들이 보유한 전체 주식(금액 기준)

    2023.01.13 06:00:20

    일본 경제의 최대 숙제, 부의 유출·고령화를 막아라 [글로벌 현장]
  • 대표 기업 생사마저 ‘휘청’…일본의 영어 실력이 위험하다 [글로벌 현장]

    [글로벌 현장]2012년 11월 세계 금융 시장은 당시 일본을 대표하던 전자 기업 샤프가 발표한 공시 한 통에 패닉이 됐다. 샤프가 영어판 결산 보고서를 통해 ‘회사의 존립을 결정짓는 중대한 문제가 발생한 상황’이라고 공시한 것이다.2011년 3760억 엔(약 5조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샤프는 그해에도 적자 규모가 6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었다. 회사의 존속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샤프에 투자한 전 세계 투자자들이 극도로 예민해져 있던 시점이었다. 그때 회사가 스스로 “곧 망하게 생겼다”고 만천하에 공표해 버린 것이다. ‘할지도 모른다’를 ‘했다’로 번역해 낭패 본 샤프해외 투자가들이 앞다퉈 샤프의 주식과 채권을 내던지자 샤프는 허겁지겁 영어판 공시를 수정했다. 알고 보니 일본어판 공시의 ‘회사의 존립을 결정짓는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지도 모르는 상황이 존재한다’는 대목을 영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중대한 문제가 발생했다’로 잘못 번역한 것이었다. 샤프의 영어 공시 소동은 지금도 일본인의 영어 실력이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의 존립마저 휘청거리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회자된다. 경영난에 시달리던 샤프는 결국 2016년 대만 폭스콘에 매각된다. 일본 대표 전자 업체가 한 수 아래로 여겨지던 해외 기업에 팔린 첫 사례였다.그로부터 10년이 지난 2021년 일본은 30조 달러(약 3경4000조원)로 추산되는 세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 자금을 끌어들이기 위해 필사적이다. 30년째 계속되는 저성장의 늪에서 탈출하려면 글로벌 ESG 투자 자금을 유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스가 요시히데

    2021.08.21 06:00:08

    대표 기업 생사마저 ‘휘청’…일본의 영어 실력이 위험하다 [글로벌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