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국 미혼男 80만명, 한국女와 결혼 못해” 시한폭탄급 경고, 왜?

    "한국의 미혼남성 시한폭탄이 정말로 곧 터진다"(South Korea’s bachelor time bomb is about to really go off)한국에서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이어진 '남아선호사상'이 낳은 성비 불균형으로 약 80만 명의 한국 남성들이 결혼할 한국인 여성을 찾지 못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돼 이목이 집중된다.8일(현지시간) 학술저널 더컨버세이션은 더들리 포스턴 미국 텍사스 A&M대학 사회학과 명예교수의 '한국의 성 불균형은 남성에게 나쁜 소식이다. 남성이 여성보다 많고, 결혼 전망은 암울하다'는 제목의 기고문을 전했다.포스턴 교수는 80년대와 90년대 출생성비가 문제로 분석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여아보다 남아가 더 많이 태어나고 그 비율은 여아 100명당 남아 약 105~107명 수준이다. 그러나 한국의 30~40년 전 출생성비는 이를 훨씬 웃돈 것.한국의 1985년 출생성비는 여아 100명당 남아 110명, 1990년에는 여아 100명당 남아 115명이다. 이후 2000년대 초까지도 남아가 훨씬 많이 태어나다가 2010년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포스턴 교수는 "아들에 대한 문화적 선호는 출생률이 감소하는 만큼 빠르게 바뀌지 않았다"며 "많은 한국인은 아들을 가질 수 있도록 임신 초기 단계에서 태아의 성별을 식별하는 기술을 사용했다"고 지적했다.그는 그러면서 "남는 소년들은 성인이 돼 결혼할 한국 여성을 찾는 데 실패할 것"이라며 "1980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으로 인해 약 70만~80만 명의 남자아이가 추가로 태어났다고 추산된다"고 했다.또한 그는 "이처럼 남자가 많은 출생성비는 국가 자체의 문제로 이어진다"며 "결혼 시장과 관련된 장기적인 사회 문제는 앞으

    2024.01.09 17:03:20

    “한국 미혼男 80만명, 한국女와 결혼 못해” 시한폭탄급 경고, 왜?
  • “결혼 안하고 그냥 혼자 살래요”...미혼 인구, 10년간 3배 늘었다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자들의 비중이 10년 동안 약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은 8일 발표한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자료에서 지난해 아예 결혼을 하지 않는 생애미혼율이 지난해 기준 1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한은에 따르면 생애미혼율은 2013년 약 5%였다. 지난해 그 비중이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인구 10명 중 한명 이상이 결혼을 하지 않은 비혼자라는 얘기다.남성 및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도 크게 높아졌다.한은에 따르면 초혼 연령은 남성의 경우 2000년 29.3세에서 2022년 33.7세로 늘었다. 여성은 26.5세에서 31.3세로 증가했다.학력 수준별로 살펴보면 저학력 남성의 미혼율이 고학력 남성에 비해 높았다. 반면 저학력 여성의 미혼율은 고학력 여성에 비해 낮았다.한은은 자료를 통해 늦은 결혼(만혼)과 미혼인구 증가는 한국 노동시장에 큰 변화를 야기시킬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초혼 연령도 크게 높아져 미혼인구 증가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상반된 모습을 보인다는 분석을 제기했다.남성의 경우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한은은 내다봤다.실제로 기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2013~2023년 평균)은 미혼 대비 각각 13%p, 16%p 높고 실업률은 약 4%p 낮았다. 아울러 기혼 남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낮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긴 것으로 조사됐다.한은은 “혼인율 하락으로 남성 미혼인구 비중이 증가하면, 남성의 고용 하락 및 실업 증가(extensive margin)와 평균 근로시간(intensive margin)이 모두 줄어들면서 경제 전체의 노동공급 총량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라

    2024.01.08 13:47:01

    “결혼 안하고 그냥 혼자 살래요”...미혼 인구, 10년간 3배 늘었다
  • “요즘 40대 처녀·총각 많아요”...83년생 10명 중 3명은 ‘미혼’

     40대에 접어든 1983년생 10명 가운데 3명은 결혼하지 않은 미혼으로 나타났다. 30대 중반인 1988년생의 경우엔 절반가량이 미혼이었다.통계청은 1983년생과 1988년생을 중심으로 분석한 인구동태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B)’를 28일 공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인구동태 코호트 통계는 동일한 시기에 출생한 인구 집단이 2022년까지 나이를 먹어가면서 경험한 출생, 혼인, 이혼, 사망 등의 특징을 분석한 자료다.통계청은 이번에 2023년을 기준으로 1983년생과 이들 보다 5년 늦게 태어난 1988년생을 비교 분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출생과 혼인, 이혼, 사망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해 볼 수 있는 통계 산출이 시작된 시점이 1983년이어서, 1983년생부터 비교했다”고 설명이다.통계청이 공개한 내용을 보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에서 출생한 83년생과 88년생은 각각 76만9000명, 63만3000명으로 집계됐다.이들 중 결혼에 가정을 꾸린 이들은 얼마나 될까.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83년생은 지난해 기준으로 71.0%(남자 64.5%·여자 78.0%)가 결혼했다. 10명 중 3명은 아직 미혼이라는 얘기다.88년생은 49.2%(남자 40.1%·여자 59.5%)로 결혼에 성공한 비율이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결혼한 83년생 중 자녀를 출산한 비율은 86.3%였다. 자녀가 2명 이상인 비중이 50.7%로 가장 많았으며, 자녀가 1명인 비중은 35.6%였다. 자녀가 없는 부부는 13.7%였다.88년생은 72.8%가 자녀를 낳았다. 다만 자녀 수는 83년생과 크게 달랐다. 1명인 비중이 42.1%로 가장 많았다. 27.2%는 자녀가 없었다.경제활동의 경우 83년생은 69.1%가, 88년생은 71.9%가 하고 있었다.특히 83년생 여성 중 혼인 당시 직업이 있었으나 출산 때 직업이 없는 비중은 25.2%였다. 4명 중

    2023.12.28 15:02:07

    “요즘 40대 처녀·총각 많아요”...83년생 10명 중 3명은 ‘미혼’
  • 결혼 안한 30~34세 절반 넘었다···나 혼자 사는 청년 200만 육박

    결혼적령기인 30~34세의 미혼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혼자 사는 청년 세대 역시 200만명에 육박하며 5년 전보다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0~2020년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청년세대(만19~34세) 인구는 1021만3000명으로 총인구(5013만3000명)의 20.4%를 차지했다.청년세대가 가장 많았던 시기는 1990년으로 총인구 중 31.9%(1,384만9000명)를 차지했다. 이후 2020년 초까지 감소세를 보인 청년층은 2050년 11.0%로 하락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2020년 기준 혼인상태가 '미혼'인 청년세대는 783만7000명으로 전체의 81.5%를 차지했다. 2015년(75.0%)과 비교하면 비중이 6.5%p 증가했다. 연령별 미혼 비중은 30~34세가 2000년 18.7%에서 2020년 56.3%로 약 3배 증가했다. 25~29세는 2000년 54.2%에서 2020년 87.4%로 30% 이상 늘었다. 2020년 기준 혼자 사는 청년세대 인구는 193만5000명이며, 이는 전체 청년 중 20.1%의 비중을 차지한다.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세대 비중은 55.3%였다. 혼자 사는 청년의 비중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2015년 12.9%에서 2020년 20.1%로 대폭 증가했다. 청년층이 혼자 사는 가장 큰 이유는 ‘직장(55.7%)’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본인의 독립생활(23.6%)‘, '본인의 학업 때문(14.8%)’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세대 중 대학 이상 '고등교육 졸업자'는 2020년 기준 509만8000명으로 2015년 529만5000명 대비 3.7% 줄었다. 경제활동에 대해서는 2015년 59.0%에서 2020년 62.5%(601만2000명)로 3.6%p 증가했다. 혼자 사는 청년세대의 거처유형은 '단독주택'의 비중이 50.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아파트' 20.8%, '주택 이외의 거처' 14.9% 순으로 나타났다.단독주

    2023.11.27 19:36:11

    결혼 안한 30~34세 절반 넘었다···나 혼자 사는 청년 200만 육박
  • 직장인 10명 중 4명 “설 선물 비대면으로 주고받을 것”

    [한경잡앤조이=장예림 인턴기자] 코로나19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올해 설 연휴 선물을 비대면으로 주고받을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원티드가 1일 직장인 5376명을 대상으로 2021년 설 연휴 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가운데 4명가량(45.0%)은 “선물은 비대면으로 주고받겠다”고 답했다. 이는 ‘용돈 계좌 이체(24.6%)’, ‘온라인 직접 배송(18.5%)’, ‘기프티콘(1.9%)’의 방법을 합친 수치다.결혼 여부별 예상 경비를 물어본 결과, 대다수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적게 쓸 것이라 답했다. 미혼 직장인 10명 중 6명(61.5%)은 30만 원 이하로 지출할 것이라 응답했다. 기혼 직장인의 예상 경비는 30만원 이하부터 60만원 이상까지 다양했다. ‘30만원 이하(26.0%)’, ‘40~50만원(23.1%)’, ‘30~40만원(20.5%)’, ‘50~60만원(10.8%)’, ‘60만원 이상(19.6%)’ 순이었다.명절 음식을 먹는 방법도 다양했다. 10명 중 5명가량(50.9%)이 ‘직접 재료를 사서 해 먹는다’고 답한 가운데, ‘특별히 명절 음식을 찾진 않고, 평소처럼 먹는다(31.0%)’, ‘밀키트 등 간편조리식으로 해 먹는다(11.0%)’, ‘편리하게 배달로 시켜 먹는다(7.1%)’ 등의 방법도 이어졌다.설 연휴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과반수(50.5%)가 ‘오랜만의 연휴에도 자유롭게 다니지 못하는 것’을 꼽았다. 그밖에 ‘가족·친지를 못 보는 것(23.2%)’, ‘부모님 용돈·선물 비용 부담(13.2%)’, ‘결혼·경제력 등에 대한 지나친 관심이 불편하다(8.9%)’ 등이 이어졌다.귀향 계획은 10명 가운데 6명(62.6%)이 코로나로 집에서 설 연휴를 보낼 계획

    2021.02.01 14:05:44

    직장인 10명 중 4명 “설 선물 비대면으로 주고받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