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엔비디아 보다 주가 더 많이 올랐다”...복고 열풍 타고 화려하게 부활한 ‘이 회사’

     과거 한국에서 큰 유행을 하다 사라졌던 브랜드들이 최근 ‘복고 열풍’을 타고 부활에 성공했다. 마리떼 프랑소와 저버, 노티카, 스톰 등이 대표격이다. 그런데 미국에서도 이같은 복고 열풍에 힘입어 다시 소환된 브랜드가 있다. 바로 아베크롬비앤드피치다.29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의류기업 아베크롬비앤드피치의 주가는 올해 300%가까이 상승했다. 아베크롬비의 의주가는 90.01달러로 전날 거래를 마치며, 연초 주가 23.6달러에 비해 4배 가까이 오른 수준을 기록했다.올해 아베크롬비의 주가 상승률은 1996년 이 회사 상장 이후 가장 높았다. 미국 S&P1500지수 종목 중에서도 가장 좋은 성과다. 참고로 인공지능(AI)열풍으로 주가가 급등한 반도체 기술기업 엔비디아는 올해 주가가 240% 올랐다. 이보다 아베크롬비의 주가가 더 많이 오른 것이다.실제로 아베크롬비 순매출은 전년 대비 30% 증가했으며 같은 모기업을 갖고 있는 홀리스터 역시 전년 대비 매출이 11% 가랑 늘어났다.한동안 구닥다리 브랜드로 취급받았던 아베크롬비가 복고 열풍을 타고 2000년대 스타일이 유행하면서 매출이 늘었다는 분석이다.아베크롬비는 과거 세계 곳곳에서 개점 홍보 행사로 근육질 백인 모델들이 이벤트를 하는 과정에서 인종차별적인 콘텐츠를 SNS에 게시해 논란이 된 바 있다.아베크롬비의 마이크 제프리스 전 사장은 “뚱뚱한 사람은 우리 옷을 사지 않았으면 좋겠다. 아름다운 사람만 원한다”는 등의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키며 매출이 곤두박질쳤고 한국 등 세계 각국에서 철수하며 한동안 자취를 감췄었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12.30 16:13:49

    “엔비디아 보다 주가 더 많이 올랐다”...복고 열풍 타고 화려하게 부활한 ‘이 회사’
  • [빅데이터 상권분석]명동 상권, 상승세 뚜렷...숙박·서비스업이 반등 주역

    부동산Big Data Analysis빅데이터 상권분석 1/ 명동 창업 투자에 가장 중요한 것은 '좋은' 입지 선정이다. 핀다의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을 통해 약 1억1000만 개의 빅데이터를 토대로 국내 주요 상권에 대한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제공해 독자들의 현명한 창업과 부동산 투자를 돕고자 한다.20년 가까이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 타이틀을 놓치지 않는 지역이 있다. ‘관광 1번지'로 꼽히는 명동 상권이다.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2023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중 ㎡당 공시지가가 가장 비싼 곳은 명동 상권 한복판인 서울 중구 충무로 1가에 위치한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억7410만 원)였다. 전국 땅값 상위 10곳 중 1위부터 8위까지도 모두 명동 일대가 휩쓸었다.그중에서도 명동 상권을 상징하는 지역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명동 메인 거리와 유네스코길, 명동성당 일대로 명동역과 을지로입구역으로 둘러쌓인 구역이다. 코로나19로 무너진 명동 상권 직격탄영원할 것만 같았던 명동의 아성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급격히 무너졌다. 하늘길이 막히면서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던 명동 상권은 치명상을 입었다.빅데이터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에 따르면 코로나19 직전 시기였던 2019년 하반기 명동 상권의 월평균 매출은 약 488억 원이었지만 코로나19 직후인 2020년 하반기에 약 288억 원 규모로 코로나19 이전 대비 40% 이상 급감했다. 비슷한 시기 영업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비활성화 매장 수 역시 2019년 4분기 73곳에서 2020년 1분기 137곳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명동 상권에는 국내에서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상권이 됐고, 쉽게 회복되기 어려워보였다.

    2023.12.26 14:26:13

    [빅데이터 상권분석]명동 상권, 상승세 뚜렷...숙박·서비스업이 반등 주역
  • [기로에 놓인 사형제도①] 부활vs폐지···‘최악’과 ‘차악’의 끝없는 논쟁 ‘사형제도’

    선지(選支)에 ‘최선’은 없는 문제다. 여느 딜레마가 그렇듯 사형제의 부활과 폐지를 논하는 문제는 둘 중 무엇을 ‘최악’으로 볼 것인가에 달렸다. 26년째 존폐의 갈림길에서 서성인 발걸음은 어디를 향하게 될까. 1997년 마지막 사형집행…그 후 남은 59명의 사형수 국내 사형집행의 역사는 1997년 12월 30일을 기점으로 멈춰져 있다. 당시 서울구치소를 비롯한 전국 총 4곳의 시설에서 사형수 23명에 대해 이뤄진 형 집행이 마지막이다. 이후 대한민국은 사형은 선고하되 집행은 하지 않는, 사실상 사형폐지국이 됐으며, 형 미이행 사형수와 갖은 담론만이 과제처럼 남았다.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에서 사형제와 대체 형벌을 연구해온 김대근 연구원은 “2020년 기준 국내 60명이었던 사형확정자 중 최근 한 명이 사망해 현재 국내에는 59명의 사형수가 존재한다”며 “그 중 4명은 군 교도소, 55명은 법무부 민간 교도소에 수감 중”이라고 전했다. 김 연구원이 발행한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반영한 56명의 사형수 중 19명이 1990년대에 사형을 확정 받았으며, 이후 △2000년대 34명 △2010년대-2020년대 도합 3명으로 점차 사형 선고 빈도가 크게 급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2005년을 기점으로 최근까지의 사형 확정 건수는 연간 최대 2건 이하까지 감소했다. 97년의 마지막 사례 이후 사형집행이 멈췄을 뿐 아니라 그 확정 선고 횟수 역시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이다. 유명무실한 사형제, 들끓는 국민 여론 국내 사형제가 점차 폐지에 가까워지고 있는 상황에 사형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한국갤럽이 2022년 7월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69%가 사형

    2023.10.10 09:43:40

    [기로에 놓인 사형제도①] 부활vs폐지···‘최악’과 ‘차악’의 끝없는 논쟁 ‘사형제도’
  • 위기의 보테가 베네타 부활시킨 토마스 마이어 [류서영의 명품이야기]

    류서영의 명품이야기/보테가 베네타②보테가 베네타는 창립자인 미켈레 타데이의 전처 라우라 몰테도가 인수한 뒤 경영 악화에 직면했다. 고유의 절제미와 브랜드의 방향성을 잃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어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영국 출신의 디자이너인 자일스 데콘을 영입했다. 그런데도 어려운 경영 상황은 좀체 개선되지 않았다.  결국 구찌그룹이 2001년 2월 보테가 베네타 브랜드를 인수했다. 당시 구찌그룹의 수석 디자이너였던 톰 포드의 권유가 있었다. 토마스 마이어가 그해 6월 톰 포드의 추천으로 보테가 베네타의 수석 디자이너로 발탁됐다. 마이어는 독일 남서부 포르츠하임의 건축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당초 집안의 전통에 따라 건축을 공부했다.그러나 프랑스 파리로 건너간 뒤 진로를 바꿨다. 파리 ‘샹브르 신디칼 드 라 오트쿠튀르’에서 패션을 공부했다. 마이어는 일상복 디자인의 선구자로 꼽히는 소니아 리켈에서 남성복 디자이너로 8년간 일했다. 이어 레빌론에서 크리에이티브 디자이너로 4년간, 에르메스에서 여성복과 가죽 소품 디자이너로 9년간 각각 몸담았다. 마이어는 보테가 베네타 브랜드를 살리기 위해 1960년대 말 보테가 베네타가 광고 문구로 사용했던 ‘당신의 이니셜만으로 충분할 때(When Your Own Initials Are Enough)’에 주목했다. 그는 이 문구를 응용해 브랜드 로고를 없애 버렸다. 미니멀한 콘셉트의 디자인을 추구한 것으로 파격적이었다.마이어는 갖은 노력 끝에 보테가 베네타를 세계 최고의 럭셔리 브랜드로 성장시켰다. 그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을 가지고 싶어 하도록 길들여졌다”며 “모든 것을 가질 수는

    2022.11.01 10:15:20

    위기의 보테가 베네타 부활시킨 토마스 마이어 [류서영의 명품이야기]
  • 긴급 수혈 1년 만에 부활의 날개 편 두산

    [스페셜 리포트]두산그룹이 부활의 날개를 폈다. 핵심 계열사인 두산중공업의 자금난으로 KDB산업은행 등에서 긴급 수혈을 받은 지 1년여 만에 ‘재무 약정 조기 졸업’ 전망이 나오고 있다. 뼈를 깎는 구조 조정 등에 따른 결과다. 위기를 넘긴 두산은 창사 이후 셋째의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중후장대’ 기업에서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체질을 완전히 바꾼다는 목표다.9월께 재무 약정 만기 종료 전망두산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이다. 1896년 서울 종로에 문을 연 포목상 ‘박승직 상점’이 모태다. 소비재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1990년대 변신을 시작했다. 오비맥주와 처음처럼을 비롯해 코카콜라 판매권 등을 선제 매각했다.두산은 외환 위기 이후인 2001년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을 시작으로 2005년 대우종합기계(현 두산인프라코어), 2007년 미국 잉거솔랜드의 소형 건설 장비 사업 부문(현 두산밥캣) 등을 인수했다.두산은 ‘중후장대 기업’으로 거듭나며 탄탄대로를 달리는 듯했다. 중동 플랜트 시장 호황 등으로 2011년 세계 5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좋은 시절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핵심 계열사인 두산중공업이 휘청이면서다.두산중공업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2014년 48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이후 내리막길을 걸었다. 2017년 158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살아나는 듯했지만 그때뿐이었다. 매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석탄 화력 발전 시장이 침체한 데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프로젝트 수주까지 급감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2018년부터 2년간 누적 순손실 규모만 1조2203억원에 달했다.두산중공업의 유동성 위기는 급기야 지난해 초 최악의

    2021.08.03 06:00:15

    긴급 수혈 1년 만에 부활의 날개 편 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