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KDI, 올해 경제성장률 1.8→1.5% 하향...반도체 수출 부진 영향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내다봤다. 올 2월 1.8%의 전망치를 내놓은 데서 3개월 만에 0.3%포인트 낮춘 것이다. 반도체 경기 악화로 수출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는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11일 KDI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23~2024년 국내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KDI가 이번에 발표한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정부, 한국은행이 내놓은 1.6%보다 낮은 수치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이 내놓은 전망치 1.5%와는 동일하다. 앞서 KDI는 지난해 5월 올해 경제성장률을 2.3%로 전망했다가 올 2월 전망치를 1.8%로 내려 잡은 바 있다. KDI가 전망치를 낮춘 주요인으로는 반도체 경기 회복이 당초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실제로 이날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월 1~1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는 전년 대비 10.1% 줄었으며, 그중에서도 반도체는 29.4%가 감소했다.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회복세를 보이더라도 경제가 정상화되는 시점은 내년 말께는 돼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KDI는 "우리 경제는 올해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위축되며 1.5% 성장한 후 내년 대외수요 회복에 따른 수출 증가세 확대로 2.3% 성장할 전망이다"라며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의 가장 큰 이유는 반도체 경기 부진에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KDI는 수출 부진으로 인해 상반기 0.9%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기존 전망치(1.1%)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하반기에는 중국 경제 회복과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경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2.1% 성장할 것이라고 봤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반도체 경기는 2001년 IT(정보기술) 버블

    2023.05.11 20:03:18

    KDI, 올해 경제성장률 1.8→1.5% 하향...반도체 수출 부진 영향
  • 세계 경제 정상화로 가는 길…3가지 체크포인트

    [머니 인사이트]2020년 12월 ‘머니 인사이트’를 통해 제시했던 2021년 글로벌 자산 배분 전략의 화두는 ‘큰 변화(The great shift)’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과 탈세계화의 영향으로 첫째, 향후 경제 성장의 동력이 지난 50여 년을 이끌던 노동과 자본에서 ‘기술 혁신’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둘째, 소수 대형 기술주에 대한 집중 투자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산업들(BIG : Bio·Information·Green Tech)로 전환되면서 이들이 폭발적 성장기에 진입할 것이다. 셋째, 공공성이 강조되는 자본주의의 등장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의 본격적인 시작을 의미하며 ‘기후 변화 대응’은 향후 10년 장기 성장을 이끄는 메가트렌드가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채권 시장 울고 주식 시장 웃는다2022년의 화두는 ‘정상으로 돌아가는 길(Way back to normality)’이다. 2022년은 팬데믹의 영향권 아래에서도 제한적인 일상으로 돌아가는 여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경기 부양책들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나타날 진통을 넘어서야 하는 해가 될 것이다. 변이 바이러스의 재확산 위험 역시 마찬가지다. 중요한 것은 금융 시장 측면에서 어디로, 어떤 수준으로 돌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정상화의 ‘기준’이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그 기준에 따라 정책의 회수 속도와 강도를 결정할 것이기 때문이다.2022~2023년 선진국의 실질 경제성장률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망을 팬데믹 이전인 2011~2019년과 비교해 봤다. 그 결과 2022~2023년의 실질 성장률과 인플레 전망은 팬데믹 이전보다 각각 1%포인트, 0.5%포인트 이상 높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

    2021.12.21 17:30:11

    세계 경제 정상화로 가는 길…3가지 체크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