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제 어디서 점심 먹나" 구내식당 가격, 역대 최대폭 상승

    작년 구내식당 식사비 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6.9% 오르며 역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외식 물가가 오르면서 구내식당 식사비 역시 올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물가 지수 측정 기준연도(기준치 100)는 2020년으로 구내식당 소비자 물가지수는 2020년 2.6%, 2021년 4.1%, 2022년 4.2%로 오르다가 작년 한 해 7%에 이르는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 시작한 2001년 이후 최대치다. 대표적 먹거리 지표인 전체 외식 물가 상승률(6.0%),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6.8%)과 비교해도 구내식당 식사비 물가지수 상승률이 더 높다. 일례로 작년 5월 삼성전자는 사내 식당의 한끼 단가를 기존 6603원에서 7128원으로 약 8%올렸다. 구내식당 식사비가 오른 것은 식단가 인상 때문이다. 구내식당 위탁 운영사들은 식자재 가격와 인건비의 상승으로 기업, 학교, 공공기관과 협의해 꾸준히 가격을 올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증가해 구내 식당 이용객이 줄고 기업이 복지 차원에서 메뉴를 다양화하면서 식단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 단체급식 운영사 관계자는 “식자재 가격과 최저시급이 올랐기 때문에 동일한 식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메뉴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임나영 인턴기자 ny924@hankyung.com 

    2024.01.09 14:34:10

    "이제 어디서 점심 먹나" 구내식당 가격, 역대 최대폭 상승
  • 디플레이션 우려 커진 중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 0%, 생산자물가지수 -5.4%

    중국 소비자물가가 0%로 떨어지면서, 경기침체 속 물가 하락이 지속되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NBS)은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같은 달과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월에 비해서는 0.2% 하락했다. 중국 금융 데이터 제공업체 Wind에 따르면 예상 상승률인 0.1%보다 낮고, 2021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반면 생산자물가지수(PPI)는 5월 -4.6%에서 6월 -5.4%까지 하락했다. 전망치 -5.0%에 비해서도 훨씬 낮은 수치로, 9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생산자물가지수란 공장에서 도매상에게 부과하는 도매가격을 뜻한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중국의 소비자 인플레이션율은 지난 6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 전월 대비 0.6% 감소했다. 중국 수석 경제학자 래리 후(Larry Hu)는 “예상치를 밑도는 지표는 내수가 약하다는 증거”라고 전했으며, 장지웨이 핀포인트자산관리 애널리스트는 “디플레이션 위험이 경제를 짓누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중국이 작년 말 제로 코로나 정책 폐지 후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에도 소비 회복세는 여전히 지연되고 있다. 세계 경기 둔화와 수출 감소, 부동산 시장의 장기침체로 인해 중국의 경기 회복이 더딘 모습이다.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2023.07.10 13:40:12

    디플레이션 우려 커진 중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 0%, 생산자물가지수 -5.4%
  • 5월 의류‧신발 물가 8% 상승…31년 만에 최대 폭 증가

    ◆31년5월 소비자물가지수 가운데 의류와 신발 물가가 1년 전보다 8% 올라 31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코로나19 기간 위축됐던 외부 활동이 활발해지며 관련 수요가 가파르게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의 지출 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를 보면 5월 의류 및 신발 물가 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8.0% 올랐다. 이는 1992년 5월(8.3%) 이후 31년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지난 5월 의류와 신발은 각각 8.4%, 5.8% 올랐다. 특히 장갑(18.1%), 티셔츠(14.3%), 원피스(13.7%), 여자 하의(13.7%), 아동복·유아복(13.7%), 청바지(11.8%), 세탁료(11.3%)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했던 2020년 1월 0.7%였던 의류·신발의 전년 동월 대비 물가 상승률은 코로나19 대유행 시기 내내 0~1%대에 그쳤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후인 지난해 5월(3.0%) 3%대에 진입했고 반년 뒤인 11월에는 5.5%로 상승했다. 올해 3월과 4월에는 6.1%, 5월에는 8%까지 뛰어올랐다. 의류·신발 물가의 가파른 오름세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오름세가 둔화하는 흐름과 대조적이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5월 3.3%로 점차 둔화했다.다만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의류·신발뿐만 아니라 음식·숙박(7.0%), 기타 상품·서비스(6.4%), 가정용품·가사서비스(6.0%), 주택·수도·전기·연료(5.9%), 식료품·비주류 음료(3.9%), 오락·문화(3.8%) 등의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2.1%세계은행이 6월 6일(현지 시간)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성장률(3.1%)보다 1%포인트 낮은 2.1%로 예상했다. 다만 이는 지난 1월 발표했던

    2023.06.10 06:00:12

    5월 의류‧신발 물가 8% 상승…31년 만에 최대 폭 증가
  • "서민 음식 맞나요?"...라면 물가상승률 금융위기 이후 최고

    대표적인 서민 식품인 라면의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4.04로, 작년 같은달보다 13.1% 증가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번졌던 2009년 2월(14.3%) 이후 14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라면의 물가 상승률 변화를 살펴보면, 지난해 9월 3.5%에서 10월 11.7%로 크게 올랐고,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10%를 넘었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라면 제품 가격이 잇따라 오른 바 있다. 농심은 지난해 9월 라면 평균 출고가를 11.3% 올렸다. 이어 팔도는 9.8%, 오뚜기는 11.0%, 삼양식품은 9.7% 각각 인상했다.라면을 비롯한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7.3%를 기록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3%)의 두 배를 넘어선 수준이다. 특히 밀가루는 10.0% 상승했으며, 파스타면 19.6%, 당면 16.9%, 부침가루 16.4% 등의 상승률을 보였다.아울러 지난달 외식과 가공식품의 112개 세부품목 중 31개 품목은 물가 상승률이 10%를 넘어섰다. 잼(35.5%)의 물가 상승률이 눈에 띄게 높았으며, 치즈 21.9%, 어묵 19.7%, 피자 12.2%, 두유 12.0%, 커피 12.0%, 빵 11.5%, 햄버거 10.3%, 김밥 10.1% 등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초원 기자 ccw@hankyung.com

    2023.06.05 18:11:40

    "서민 음식 맞나요?"...라면 물가상승률 금융위기 이후 최고
  • 미 8월 소비자물가지수 8.3%↑…Fed 긴축 기조 장기화 시사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8.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나스닥 지수가 5% 넘게 떨어지는 등 뉴욕 증시는 급락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가장 큰 목표가 물가 대응이라는 점에서 Fed의 긴축 기조는 장기화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9월 13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276.37포인트(3.94%) 급락한 3만1104.97를 기록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은 177.72포인트(4.32%) 밀린 3932.69이다. 나스닥 지수는 632.84포인트(5.16%) 떨어진 1만1633.57로 거래를 마쳤다.3대 지수들은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중단하고 2년 넘게 만에 최대 일일 낙폭으로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한 가운데 커뮤니케이션, 테크, 자유소비재 등 금리와 경기 민감 업종 중심으로 5% 이상 급락했다.이는 8월 물가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Fed의 고강도 긴축 장기화 우려에 급락한 것으로 풀이된다.앞서 미국 노동부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대비 8.3% 올랐다고 밝혔다. 지난 6월 9.1%, 7월 8.5%보다 둔화된 것이나, 시장의 예상치인 8.1%를 상회했다. 시장은 전달과 비교했을 때 물가가 0.1%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외려 전월대비 증가율은 0.1% 상승했다.에너지와 음식료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는 전년대비 6.3% 상승하면서 전월치 5.9%와 예상치 6.0%를 모두 넘어섰다. 전월대비 상승률 또한, 0.6%로 예상치 0.3%를 크게 상회했다.조연주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예상보다 강했던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로 최근 시장이 기대했던 Fed의 태세전환(Fed Pivot) 가능성이 불식됐다”며 “오히려 Fed의 긴축 정책이 물가 제어에 효과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정책 실패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

    2022.09.14 12:15:04

    미 8월 소비자물가지수 8.3%↑…Fed 긴축 기조 장기화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