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SG 글로벌 기구가 뜬다…‘기후 변화’부터 ‘인권’까지 평가 기준 등 표준화

    [ESG 리뷰]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평가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글로벌 기관들이 있다. 이니셔티브(initiative)로 불린다. 이니셔티브는 ESG 관련 주제에 대해 논의의 실천 방안을 만들어 내는 협의체에 해당한다. 또한 자본 시장 데이터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관들이 있다. ESG 지표를 발표하고 기업 가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기관은 ESG 경영의 ‘실행·목표·보고·평가’를 위한 기준인 셈이다. 기후 변화 이니셔티브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는 과학적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로, 2015년 설립됐다. 파리협정 목표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위한 지침과 방법론을 제공한다. 파리협정은 산업화 수준 대비 지구 온도 상승폭을 섭씨 2도 이하로 억제하고 섭씨 1.5도 이하까지 줄이는 게 목표다. SBTi는 기업들이 ‘과학에 기반해’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금융 자산의 2도 시나리오 기반 감축 목표 설정 방법론’을 만들었다. 2020년 10월 1일 공식 방법론을 발표했다.기업들이 이 기구에 참여하는 방법은 약정서를 제출하면서 시작된다. 약정서를 제출하면 ‘커미티드(committed)’ 단계로 인정되고 이후 온실가스 감축 목표 기준을 충족하는 목표를 설정해 제출하면 SBTi에서 해당 목표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해 승인한다. 승인이 완료되면 기업명과 감축 목표가 SBTi 웹사이트에 공개된다. 전 세계 1155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고 한국에서는 DGB금융그룹·SK텔레콤·SK증권·신한금융그룹 등이 약정서를 제출했다. 이 방법론을 적용해 탄소 감축량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최근 공시 관련 주목받고 있는 TCFD(Task

    2021.04.14 06:56:01

    ESG 글로벌 기구가 뜬다…‘기후 변화’부터 ‘인권’까지 평가 기준 등 표준화
  • ‘ESG 경영’의 짧지만 긴 역사…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지속 가능 경영까지

    [스페셜 리포트]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기업 경영의 핵심 화두로 떠올랐다. 단기 트렌드가 아닌 기업 성장의 ‘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로 연결된 ESG 생태계와 선진국에서의 강한 실행이 그 배경이다.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돈의 흐름은 ESG를 잣대 삼아 움직이고 있다. 한국에서도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비롯한 ‘C레벨’에서 직접 팔을 걷어붙이면서 ESG 경영 목표가 수립되고 조직의 성과 체계로 연결되고 있다. 기업의 ESG 경영은 올해 본격적인 도전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ESG가 기업들에 중요해진 배경에는 투자자들의 요구와 ESG 규제 강화가 있다.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인들의 요구가 ESG로 수렴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한편으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겪으면서 기업이 환경·사회 문제에 책임을 갖고 함께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삽시간에 인류에게 큰 해를 끼친 게 코로나19다. ESG는 보이는 것 그 이면의 세계에 주목한다. 그동안 재무 정보가 기업의 성과를 설명했다면 ESG는 비재무적 가치의 힘에 대해 말하고 있다. ESG는 환경(Enviro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기업의 3대 비재무 지표를 뜻한다. ESG를 관통하는 정신은 ‘지속 가능성’으로 요약된다. 비재무적 가치가 뜬다  “기업의 사업 구조가 탄소 중립(넷 제로)과 양립할 수 있는 계획을 공개하라.”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CEO의 편지 한 통이 화제를 모았다. 핑크 CEO는 2021년 1

    2021.03.30 06:42:01

    ‘ESG 경영’의 짧지만 긴 역사…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지속 가능 경영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