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외국계 사모펀드의 교훈, "껍데기까지 벗겨간다"

    [스페셜 리포트 : 기업 저격수 된 사모펀드④]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 논란을 일으킨 큰 경제 주체 하나는 외국계 펀드였다. 출처도 모르는 막대한 자금을 조세회피 지역을 통해 들여와 외환위기 이후 혼란한 한국 경제를 흔들며 큰 이익을 챙겨갔다.투자처는 채권, 은행, 기업 등을 가리지 않았다. 부실채권을 헐값에 사서 회사가 정상화 과정을 거칠 때 채권 액면 금액을 모두 받아가기도 했고, 매각 대상 기업 등의 자산을 활용해 또 다른 부채를 일으켜 기업을 싼값에 인수하는 수법도 썼다.이들은 선진 금융기법으로 포장해 수년 후 기업을 매각하며 막대한 이익 을 얻었다. 이렇게 국부를 외국계 펀드에 갖다바친 한국 사회는 반성의 시간을 거쳤다. 한국형 사모펀드의 필요성이 부각된 배경이다. 한국 사회에 큰 교훈을 던져준, 막대한 부를 챙겨간 외국계 펀드의 사례를 정리했다. 한때 ‘공공의 적’ 됐던 론스타론스타는 1989년 미국 텍사스주에 설립된 사모펀드다. 이들은 세계 각국의 부실채권, 기업, 부동산에 투자한 후 일정 기간 보유 후 매각해 이익을 보고 철수하는 방식으로 움직였다.2001년 국내 소주시장의 8.3%를 점유하며 업계 4위를 달리던 무학이 워크아웃 위기에 직면하자 론스타의 목표물이 됐다. 당시 무학이 계열사인 무학건설에 지급보증했던 102억원 규모의 보증채권은 자산관리공사로 넘어갔다.자산관리공사는 액면가의 약 3% 수준인 3억600만원을 받고 부실채권을 론스타에 팔았다. 300억원가량의 부채를 상환하며 가까스로 워크아웃을 졸업한 무학에 론스타는 기다렸다는 듯 84억원대 채권의 권리를 행사 했다. 투자 금액보다 약 30배에 많은 돈이다.무학은 결국 84억

    2024.03.05 09:51:55

    외국계 사모펀드의 교훈, "껍데기까지 벗겨간다"
  • ‘M&A에 진심’ SK그룹, 상반기만 3조원 투자 1위

    SK그룹이 올해 상반기 10건의 인수·합병(M&A)에 3조1004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76개 기업집단 기준으로 M&A 투자 규모와 횟수에서 1위다. 이어 △DL그룹(1조8643억원·1건) △한진그룹(1조8000억원·1건) △포스코그룹(1조1068억원·2건)도 1조원 이상을 투자했다.14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의 2019~2022년 상반기 M&A 현황 조사 결과다.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대기업들은 447건의 M&A를 진행했으며, 투자 금액은 68조9960억원으로 집계됐다.그룹별로 SK그룹이 19조6868억원(42건)을 투입해 M&A에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넷마블(5조83억원·16건) △신세계그룹(4조8099억원·10건) △CJ그룹(3조8042억원·17건) △LG그룹(2조6632억원·24건)도 M&A를 활발히 진행한 것으로 집계됐다.국내 500대 기업 중 2022년 반기보고서를 제출한 353개 기업을 대상으로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상반기 87건의 M&A가 이뤄졌으며 투자 금액은 15조357억원으로 집계됐다.올해 상반기 M&A 투자 금액은 2019년 연간 투자 금액(11조9611억원)보다 3조746억원(25.7%)이 많았다. 2020년 연간 투자 금액(12조6729억원)과 비교해도 2조3628억원(18.6%)이 늘어났다.또 지난해 연간 M&A 투자 금액(29조3263억원)의 51.3% 수준에 해당한다. 지난해 대형 딜인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문 인수(10조4124억원)를 제외하면 79.5% 수준까지 높아진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M&A를 통해 신규 사업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투자 금액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기업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M&A에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한 기업은 SK에코플랜트로 4건

    2022.09.14 08:39:23

    ‘M&A에 진심’ SK그룹, 상반기만 3조원 투자 1위
  • M&A 시장 달군 ‘폐기물 전쟁’…요동치는 건설사 신용도

    [마켓 인사이트]폐기물 처리 시장이 건설사들의 새로운 격전지가 되고 있다. 부동산 경기에 좌우되는 실적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건설사들이 폐기물 처리 사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확산돼 일회용품 사용과 의료 폐기물이 크게 늘면서 높은 성장세가 예상되기 때문이다.다만, 폐기물 처리를 중심으로 한 환경 사업 강화가 건설사들의 사업 구조를 안정시키고 있지만 과도한 투자가 진행 중이어서 재무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사업 다각화 과정에서 현금 창출 능력을 넘어서는 투자가 이어지면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서도 안정적으로 이어져 온 건설업계의 신용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인수 경쟁에 몸값 치솟는 폐기물 처리 기업폐기물 처리 기업의 인수·합병(M&A) 전쟁에 불을 붙인 곳은 SK에코플랜트다. 환경시설관리(구 EMC홀딩스)를 지난해 말 약 1조원에 인수하면서 폐기물 처리 시장에 진입한 후 클렌코·새한환경·대원그린에너지·디디에스 등 관련 기업을 연이어 인수했다. SK에코플랜트가 폐기물 처리 분야에 쓴 돈은 1년간 1조8000억원에 달한다. SK에코플랜트는 2023년까지 이미 투자한 금액을 포함해 총 3조원에 달하는 투자를 집행할 계획이다.SK에코플랜트의 올해 6월 기준 총차입금은 1조9359억원이다. 2018년만 해도 7945억원이었는데 2019년 9504억원, 지난해 1조4465억원으로 늘어났고 현재도 증가 추세다. 6월 기준 부채 비율은 338.4%에 달한다.또한 해외 공사와 관련해 대규모 손실을 경험한 후 보수적으로 해외 수주 정책을 유지 중이다.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악재까지 겹치며 해외 수주 실적이 계속

    2021.11.21 06:00:02

    M&A 시장 달군 ‘폐기물 전쟁’…요동치는 건설사 신용도
  • 토스, 타다 인수···12조원 택시 결제 시장 뛰어든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타다금지법 등 논란의 중심에 섰던 타다가 핀테크 스타트업 토스에 인수됐다. 토스는 이번 타다 인수로 모빌리티분야에 진출한다.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는 타다 운영사 VCNC 지분 60%를 확보하는 양해각서를 맺었다고 8일 발표했다. VCNC는 쏘카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인수합병은 VCNC가 발행한 신주를 비바리퍼블리카가 사들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승건 토스 대표는 “국내 택시시장 연간 매출 12조원 중 절반 정도가 호출 앱을 통해 이뤄지고 있어 토스의 결제사업 등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타다를 만든 VCNC 팀의 우여곡절 스토리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타다: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초상’이 14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khm@hankyung.com 

    2021.10.08 18:04:28

    토스, 타다 인수···12조원 택시 결제 시장 뛰어든다
  • [해시태그 경제 용어] 포이즌 필(poision pill)

    [해시태그 경제 용어]적대적 인수·합병(M&A)이나 경영권 침해 시도 등 특정 사건이 발생했을 때 기존 주주들에게 회사 신주를 시세보다 훨씬 싼값에 매입할 수 있는 콜옵션을 부여해 적대적 M&A 시도자의 지분 확보를 어렵게 해 경영권을 방어하는 것이 포이즌 필(poision pill)이다.미국·일본·프랑스 등에서 시행하고 있고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사회 의결만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이 제도는 경영자가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외부 세력의 공격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기업 경영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적대적 M&A 시도나 경영권 침해에 대비해 자사주 매입이나 우호 지분 확보 등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투자비용으로 전환할 수 있다.회사를 매각하더라도 적대적 M&A 시도자와 가격 협상에서 우월한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반면 기업 경영권을 지나치게 보호해 정상적 M&A까지 가로막아 자본 시장의 발전을 저해하고 경영의 비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은 단점이다.경영권 강화에 따른 기업 소유주나 경영진·대주주의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 외국인 투자 위축과 주가 하락 등을 불러올 수도 있다. ‘독약 조항’이나 ‘독소 조항’으로 번역되는 포이즌 필이라는 명칭이 붙여진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포이즌 필의 방식으로는 적대적 M&A 시도자가 목표 기업을 인수한 후 이를 합병하는 경우 해당 기업 주주들에게 합병 후 존속회사의 주식을 아주 싼값에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을 배당 형태로 부여하는 ‘플립 오버 필(flip over pill)’이 있다.또 적대적 M&A 시도자가 목표 기업의 주식을 일정 비율

    2021.08.28 06:18:05

    [해시태그 경제 용어] 포이즌 필(poision pill)
  • 투기 자본 ‘눈총’ 받던 사모펀드, M&A 시장 큰손 됐다

    [스페셜 리포트]‘한샘·남양유업·한온시스템·요기요·W컨셉….’최근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업들로 모두 경영 참여형 사모펀드(PEF)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으로 기업들이 M&A에 소극적인 틈을 타 PEF가 ‘빅딜’을 주도하며 시장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경영 참여형 사모펀드(PEF)가 굴리는 자금이 100조원에 육박하며 한국 인수·합병(M&A) 시장의 큰손으로 떠올랐다. PEF는 2015년 사모펀드 제도 개편 이후 양적 성장을 꾸준히 이어 가고 있다.금융감독원의 ‘2020년 PEF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투자자가 PEF에 출자를 약정한 금액은 97조1000억원으로, 2015년보다 1.7배 늘었다. 출자를 이행한 금액은 같은 기간 1.8배 증가한 70조6000억원이었다. 2020년 운영 중인 PEF는 855개로 전년(721개)보다 134개 늘었다. 총투자 집행 규모는 18조1000억원으로 4년 연속 증가 추세다.과거에는 PEF에 ‘투기 자본’이라는 부정적인 꼬리표가 따라붙었지만 최근에는 위상이 달라졌다는 평가다. 지난해 IMM인베스트먼트가 PEF 운용사 가운데 유일하게 공시 대상 기업집단(자산 5조원 이상)에 포함되기도 했다.최근에는 PEF가 가업 승계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구세주로 등판하며 기업 경영의 해결사로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부실기업을 인수해 매출과 기업 가치를 끌어올려 알짜 기업 상태로 엑시트(투자금 회수)하는 사례가 늘면서 M&A 시장에서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한계 기업뿐만 아니라 신사업 투자 등 자금 조달이

    2021.07.26 06:38:02

    투기 자본 ‘눈총’ 받던 사모펀드, M&A 시장 큰손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