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세의 기억과 익숙함의 함정, 그리고 반성[EDITOR's LETTER]

    [EDITOR's LETTER] 셋방 살던 어릴 적 기억이 납니다. 집주인들은 무서웠습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어머니에게 막 뭐라고 하기도 하고 저와 동생은 떠든다고 혼도 자주 났습니다. 애들이 떠드는 게 당연한 것 아닙니까. 미취학 아동들이 항상 뭔가를 생각하고 고민하고 있으면 그게 이상한 거지요. 그렇게 몇 번 집을 옮겨 다니면서 부모님이 안쓰럽다는 생각을 한 적도 있습니다. 나름 성숙했습니다. 그리고 어느 해 마당이 있는 집을 사 이사한 날 부모님의 표정을 잊을 수 없습니다.철이 들고 생각해 보니 전세는 참 이상한 제도였습니다. 본질적으로 전세 제도는 사금융입니다. 집을 빌려 쓰지만 그 대가로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무이자로 목돈을 빌려주는 제도지요. 일반적으로 채권자가 갑, 채무자가 을이지만 전세만큼은 항상 채무자인 집주인이 갑인 이상한 금융 거래라는 점은 지금도 변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상한 제도지만 오랜 기간 한국 사회에서는 순기능을 했습니다. 부모님이 몇 번 전셋집을 옮긴 것은 저축의 과정이었습니다. 적은 돈으로 전세를 얻고 아버지는 열심히 일해 번 돈을 저축했습니다. 은행은 높은 금리로 돈을 불려줬지요. 그 과정을 반복한 끝에 결국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게 된 것이지요.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은 당연했고요. 고금리와 임금 인상, 인구 증가와 집값 상승 등의 조건이 맞아떨어지며 1970년대 이후 전세는 내 집 마련에 사다리 역할을 했습니다. 전세 대출 같은 것은 없던 시절입니다. 그다음 세대도 마찬가지 과정을 밟았습니다. 전세는 그래서 친숙하고, 또 익숙했습니다. 익숙함은 일반적으로 긍정적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그래서인지 전세에 대한 선호는 이

    2023.05.22 09:21:14

    전세의 기억과 익숙함의 함정, 그리고 반성[EDITOR's LETTER]
  • ‘갭 투자’ 열풍에 전세 대출 200조원 돌파

    [숫자로 보는 경제]전세 자금 대출이 사상 처음 2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주택금융공사·주택도시보증공사(HUG)·SGI서울보증 등 3대 공적 보증 기관의 전세 자금 보증 잔액은 지난해 10월 기준 약 185조원인 것으로 조사됐다.은행 대출금 가운데 이들 기관이 보증하는 비율은 90% 정도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전세 대출 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돌파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전세 대출 잔액은 2019년 100조원을 돌파했는데 2년 만에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전세 대출 잔액이 이처럼 불어난 것은 부동산 갭 투자 열풍에 따른 것이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18년 서울의 전체 주택 매매에서 14.6%였던 갭 투자(매매 시 임대 보증금 승계) 비율은 지난해 41.9%까지 치솟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도 서울 강서구·은평구 등 비강남권 지역에서 다세대·빌라 등을 전세를 끼고 실투자금 약 1억원에 사들이는 갭 투자가 크게 늘어났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시각이다.이 같은 전세 대출 잔액 급증에 따라 가계 부채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금리 상승에 집값·전셋값이 동반 하락하면 이 같은 갭 투자가 향후 ‘깡통 전세’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서영수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무주택 2030세대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다세대·연립을 갭 투자 방식으로 무리하게 매수했다”고 분석하며 “이들이 갭 투자를 위해 신용 대출이나 다른 전세 대출 등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은 만큼 관련 대출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2.02.26 06:00:01

    ‘갭 투자’ 열풍에 전세 대출 200조원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