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디 체킹(body checking)과 신체 정보의 늪[몸의 정치경제학]

    건강 염려증 1 당신은 하루에 몇 번이나 몸을 측정하나. 주로 몸의 어느 부위, 무엇을 측정하나. 연령별·성별·신체 조건별 차이는 있겠지만 몸무게, 얼굴 상태, 허리 치수, 뱃살, 걸음 수, 열량 섭취량·소모량, 혈압, 당 수치, 배변 상태 등이 주된 관심과 측정 대상 아닐까 한다. 신체 측정은 크게 감각적 방법과 수리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감각적 측정은 눈으로 보거나 손으로 만져보는 등의 대략적 인지 방법이다. 얼굴이나 피부 상태, 흰머리의 증가 여부, 뱃살 두께 확인을 떠올리면 된다. 반면 수리적 측정은 각종 기계 혹은 전자 장비를 활용한 과학적 신체 정보 습득이다. 체중계, 스마트 워치, 인바디 활용 등이 대표적이다. 감각적이든 수리적이든 자신의 몸 상태를 강박적으로 측정하는 행위를 일컬어 보디 체킹(body checking)이라고 부른다. 강박적 보디 체킹은 단순히 자기 몸의 측정과 정보 습득에 그치지 않고 그에 따른 정서적 반응(건강 염려증, 열등감, 자기혐오 등)과 물리적 대응(금식, 영양 보조제 과다 섭취, 무리한 운동 등)으로 연동되는 심리 현상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래서 현대 사회에서 보디 체킹은 병리적 이슈로 다뤄진다. 참고로 보디 체킹은 아이스 하키나 여타 운동 경기에서 상대 선수의 신체를 견제하는 보디 체크(body check)와 무관하니 혼동하지 말자.   이러한 보디 체킹이 만연하게 된 이유는 복합적이다. 첫째, 기술 인프라 측면에서 신체 측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의료·광학·전자 기기의 발달을 꼽을 수 있다. 둘째, 경제적 요인으로는 서비스 산업의 팽창에 따라 몸과 외모의 부가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셋째, 사회적으

    2023.01.25 09:46:55

    보디 체킹(body checking)과 신체 정보의 늪[몸의 정치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