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금융 산업, 테크핀 시대로 가나

    금융 산업이 요동을 치고 있다. 기존 금융업 중심의 핀테크가 아닌 핀테크 중심의 금융업 종속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른바 ‘테크핀 시대’의 금융 생태계가 열리고 있다. 금융사들은 항상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혁신 금융 서비스를 도입하는 데 막대한 투자를 한다. 특히 2008년 이후,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금융 산업 혁신을 새롭게 주도하는 스타트업이 대거 등장한다. 금융 시장을 새롭게 개편하는 핀테크 개념이 등장한 것이다.재미있는 사실은 종전 금융 인프라가 취약한 국가부터 핀테크가 대거 등장했다는 점이다.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부터 모바일 기반 금융 상품과 서비스가 급속히 확산했다. 인터넷 인프라가 취약한 국가에서 전통 아날로그 환경에서 바로 디지털 모바일 기반으로 생태계를 조성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를 핀테크 3.5로 정의하기도 한다.핀테크, 어떻게 확산됐나핀테크는 크게 3가지 시대로 구분된다. 핀테크 1.0시대(1866~1967년)는 전보라는 기술을 활용한 통신이 막 깔리는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서양을 횡단하는 전보 통신망이 깔린 1866년부터 바클레이스에 의해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최초로 등장한 시기다.핀테크 2.0시대(1967~2008년)는 전통 디지털 금융 서비스가 본격 발전하는 시대를 의미하는데, 이 시대 금융 산업은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장 많이 구매하는 산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즉, 금융의 디지털화와 글로벌화가 본격 진행된 시대로 거대 금융 회사가 흐름을 주도했다.핀테크 3.0시대(2008년~현재)는 디지털 금융 서비스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는 시대를 뜻한다. 2008년 금융위기는 특히 개인에게 누가 금융 서비스

    2022.10.26 16:37:53

    금융 산업, 테크핀 시대로 가나
  • [알기쉬운 금융]‘핀테크’ 아니라 ‘테크핀’ 시대?

    최근 미디어에서 ‘핀테크(Fin-Tech)’ 대신 ‘테크핀(Tech-Fin)’이라는 용어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대형 IT 기업)의 금융업 침투가 가속화되면서다. 우선 두 용어의 차이를 짚어보자. 핀테크는 금융의 Finance와 기술의 Technology의 합성어다. 2015년 토스(간편 송금 플랫폼)가 나타난 이후 많이 쓰이기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케이뱅크·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과 토스, 삼성페이(결제 플랫폼), 웹케시(솔루션 업체) 모두 ‘핀테크’란 단어로 묶을 수 있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바일로 금융 관련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이란 점이다.테크핀은 기술(Technology)과 금융(Finance)의 앞부분을 따서 만든 단어다.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 단어의 첫 시작은 중국이다. 중국 알리바바그룹 창업자 마윈 회장이 2016년 한 세미나에서 ‘테크핀’이란 단어를 사용했다. 현재 알리바바의 금융 자회사 앤트테크놀로지(옛 앤트파이낸셜)는 해외송금, 알리페이, 공과금 납부 등 서비스를 제공하며 테크핀 분야의 선두 주자를 달리고 있다. 미국의 구글, 아마존, 애플 등도 테크핀 기업으로 통한다.한국은 어떤 기업이 테크핀일까. 일단 한국에선 테크핀과 핀테크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다만 몇 년 전만 해도 광범위하게 쓰였던 핀테크의 범위가 좁아졌다. 먼저 금융 관련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을 핀테크로 묶는다. 또 한편으로는 KB국민?신한 등 ‘전통 금융기업’이 제공하는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핀테크, 카카오·네이버·토스 등 빅테크가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네이

    2022.02.02 06:00:08

    [알기쉬운 금융]‘핀테크’ 아니라 ‘테크핀’ 시대?
  • “현금 대신 벤모하세요”… 코로나19 이후 급성장하는 테크핀 기업

    [최중혁의 신산업 리포트] (20)테크핀“우리는 체크(수표)만 받아요. 신용카드는 수수료가 있습니다.” 20세기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엄연히 실제 상황이다. 미국에선 수표 사용이 활발하다. 없어질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미국에서 집을 사고 파거나 렌트(월세) 계약을 할 때처럼 부동산과 관련된 계약은 유독 수표를 사용한다.퓨리서치센터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성인 중 11%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소득 3만 달러 이하 가구 중에선 19%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다. 인터넷이 안 되는 가정이 각종 세금과 공과금을 낼 수 있는 방법은 그리 많지 않고 수표도 선택지 중 하나다.샌프란시스코 중앙은행(Fed)에 따르면 2018년 미국 전체 결제 중 수표가 차지한 비율은 6%다. 2000년 40%가 넘었던 수표 사용 비율이 그간 지속적으로 감소했지만 미국의 사정을 고려하면 당장 수표가 사라질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코로나19가 가속화한 현금 없는 사회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미국의 710만 가구는 은행 계좌가 없다. 저소득 미국인이 최소 잔액 요건과 은행 수수료를 감당할 수 없는 것이 은행 계좌 확보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이럴 때 은행에서 발행하는 수표를 사용할 수 없고 현금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이런 사례만 보면 미국의 결제 시스템이 뒤떨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금융 서비스는 한국보다 훨씬 빠르고 소비자 친화적이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은 매우 간편하고 빠르다. 간단한 아이디나 지문으로 대부분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한국처럼 각종 보안 프로그램에 인증서를 깔 필요도 없다. AI 감시 시스템을 갖춰 수상한 거래

    2021.02.04 08:40:22

    “현금 대신 벤모하세요”… 코로나19 이후 급성장하는 테크핀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