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플레이션 시대, 마케팅 비용의 투자수익률 입증 중압감 커져"
글로벌 고객데이터플랫폼 트레저데이터(Treasure Data)가 24일 인플레이션에 의한 비용 상승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마케터가 이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조사는 미국 소비자 2000명과 시니어 마케터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일상적인 구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소비자는 제1순위를 가격, 그 다음 가성비, 품질 순으로 답했다. 또 소비자는 한때 ‘필수품’으로 여겼던 일부 제품을 '있으면 좋은 제품(Nice-to-have)'이란 개념으로 재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위기에 처한 시장 영역으로는 리테일(29%),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산업(25%), 여행·서비스 산업(22%)순으로 나타났다.마케터 10명 중 7명(69%)은 기업 운영 비용 증가로 인해 예산을 삭감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큰 기업일수록 추가 예산 삭감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마케터의 대다수(96%)는 고물가 시대가 고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이해하고 있었다. 77%의 기업 마케터는 경기 침체로 인한 비용 증가로 인해 마케팅 전략이 바뀌었다고 응답했다.문제는 고객 수요가 정체되기 시작하고 고객에게 도달하기도 점점 더 어려워짐과 동시에 기업 자체 또한 마케팅 예산을 삭감해야 하는 삼중고다. 마케터의 81%가 ROI(투자수익률)를 입증해야 한다는 중압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절반 이상(57%)의 마케터는 마케팅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답했다.무엇보다도 마케터들은 고객 데이터의 최적화 부실로 마케팅 예산 중 평균 38%를 낭비했다고 보았다. 이는 지난 6개월 동안의 평균 기업 마케팅 예산을 1500만 달러(약 203억원)로
2022.11.25 16:4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