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굽이굽이 산복도로, 척박한 도시 부산에 뜬 자전거 전도사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자전거는 우리의 건강은 물론 환경을 살리는 중요한 매개체입니다. 탄소중립실천과 기후변화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자전거 타기’라는 걸 꼭 부산에서 알리고 싶습니다.” ‘부산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한 사람이라면 세계 어느 곳에서도 운전을 할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그만큼 길도 험하고, 차도 많은 곳이 부산이다. 이 부산에서 차가 아닌 자전거 타기 운동을 벌이는 사회적 기업이 있다. 한수진 부바커 대표는 몇 년 전 우연한 기회에 접한 자전거로 새로운 세상을 접했다. 헤드라이트 불빛과 경적 소리로 뒤덮힌 도시가 아닌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는 도시를 꿈꾸는 자전거 전도사 한수진 대표를 만나 자전거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부바커’의 뜻이 뭔가요. 부바커는 ‘BUSAN BICYCLE CULTURE’를 줄인 말로, 부산에서 자전거 타기 문화를 만들자는 의미가 담겨 있어요. 부산은 산과 자동차 그리고 바쁜 이들도 많은 곳 중 하나인데요. 그렇다 보니 자동차 중심의 교통문화로 자리 잡았고 자전거는 타기 어렵다는 인식이 자리 잡혀 있어요. 부바커는 기후위기시대 자전거교통문화가 발전하는데 기여하고 건강하고, 능동적인 교통선택을 하는 시민이 많아질 수 있도록 돕는 예비 사회적 기업입니다. 부산에서 자전거를 타는 시민들이 많아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거군요. 그렇죠. 그렇게 하기 위해선 시민들이 자전거를 많이 타야하는데, 부바커는 가장 근원적인 방법을 교육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희의 주력사업이 자전거 교통안전교육입니다. 선진국에서는 자전거를 탄소중립을
2022.12.26 14:0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