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 자산 시장에서 ‘투명성’을 강조하는 이유[비트코인 A to Z]
미국 중앙은행(Fed)은 6월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았다. 7월에도 0.75% 또는 0.50%의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금융 시장 전반이 약세장에 접어들면서 한국 증시도 연일 신저점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가장 믿을 만한 가상 자산이라고 평가받는 비트코인은 투자 자산의 주류가 되면서 과거에 비해 기술 주식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금융 시장이 침체되면 가상 자산 시장도 침체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이러한 상관관계는 자산군(asset class)으로서 가상 자산의 성숙도를 반영한다. 관련 기관 참여자가 증가하고 새로운 유형의 금융 상품이 제공되며 규제 감독이 발전하고 있고 시장이 새로운 정보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하지만 가상 자산과 전통 자산 사이에는 한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바로 투명성이다. 시장 침체는 전통적인 금융 시장과 가상 자산 시장 모두에서 레버리지 포지션(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차입금 등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해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전략)의 대량 청산을 불러 가격 하락을 악화시켰다. 이때 가상 자산 시장에선 암호화를 통해 실시간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블록체인의 투명성을 활용해 시스템 리스크(개별 금융회사의 손실이 다른 금융회사의 손실로 전이돼 실물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위험)를 분석하고 더 나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음 호황 시장을 위한 더 나은 규칙을 설계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가상 자산 가격 폭락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비트코인 시장이 태동하고 비트코인 가격이 30달러에 다다른 2011년 마운트곡스(Mt. Gox) 시스템이 해
2022.07.20 06: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