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기 정부의 ESG 정책, 어디로 갈 것인가 [ESG REVIEW]
[ESG 리뷰]이제 환경·사회·지배구조(ESG)를 빼놓고는 기업의 비전과 전략을 논할 수 없게 됐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은 막연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특히 중견·중소기업은 여전히 부담을 느낄 뿐 준비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부터 정부가 본격적으로 ESG 생태계에 관심을 갖고 역할을 모색하기 시작한 가운데 3월 대통령선거가 눈앞에 다가왔다. 어떤 후보가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 ESG 정책의 방향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주요 대선 후보들은 ESG에 대해 어떤 공약을 마련했을까. 그 공약은 앞으로 어떻게 정부 정책에 반영될까. 주요 후보들의 ESG 관련 공약을 점검하고 차기 정부의 정책을 전망해 본다.ESG 인프라 확충에 나선 문재인 정부정부는 그동안 ESG와 관련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해 왔지만 본격적으로 ESG를 정책의 우선순위에 놓고 범정부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한 것은 2021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21년 3월 31일 상공의 날 기념식에서 2021년을 ‘ESG 경영 확산의 원년’으로 삼고 더 많은 기업이 참여하도록 정부가 힘껏 돕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ESG 이행 과정에서 시장의 부담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 정비에 착수했고 2021년 8월 범정부 차원의 ‘ESG 인프라 확충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사실상 최초로 정부가 종합적인 ESG 정책 방향을 발표한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후 정부의 ESG 정책 추진은 기획재정부가 총괄·점검하고 환경부·고용노동부·산업통상자원부 등 주무 부처별로 과제를 선정하고 이행하는 체계를 따르고 있다.정부는 ESG 관련 정책의 기본 추진 방향을 ‘ESG 확산을 우리 경제의 대전환 전략으로
2022.03.03 17:3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