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배송부터 장보기까지…확 달라질 네이버의 물류 생태계
[비즈니스 포커스]네이버는 올해 2분기 전통적인 수익원이었던 서치 플랫폼(검색·디스플레이 광고) 이외의 신사업이 전체 매출의 50%를 돌파했다. 동시에 2분기는 ‘커머스’의 활약이 돋보였던 시기였다. 커머스는 브랜드 스토어 확대와 중소사업자(SME)들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2.6% 증가한 3653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에 입점한 브랜드스토어는 450여 개로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거래액이 5배 늘었다. 커머스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면서 네이버는 물류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유행) 시대의 물류는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가 됐기 때문이다. 소상공인 편의 위한 풀필먼트 마련네이버의 물류 시스템 강화 전략의 첫째는 ‘판매자의 편의를 강화하는 것’이다. 핵심은 풀필먼트의 구축이다. 풀필먼트는 물류 전문 업체가 판매자 대신 주문에 맞춰 제품을 선택하고 배송까지 마치는 방식이다. 판매자는 물류에 신경을 쓰지 않고 오로지 판매에만 집중할 수 있다. 네이버는 7월 13일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풀필먼트 데이터 플랫폼인 ‘NFA(Naver Fulfillment Alliance)’를 열었다. NFA는 SME와 풀필먼트 스타트업을 상호 연결하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물류 데이터 분석, 사업자별 물류 수요 예측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제공한다. NFA에는 논브랜드부터 냉동·냉장 특화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 역량을 갖춘 7개의 풀필먼트 업체(CJ대한통운·아워박스·위킵·파스토·품고·딜리버드·셀피)가 함께 참여하며 향후 더 확대할 계획이다. 해당 업체들은 스마트스토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
2021.08.06 06: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