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금융 시대, 사이버 위협도 급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언택트, 디지털 채널이 금융시장에 부상했다. 다양한 금융서비스가 등장할수록 양날의 검처럼 사이버 위협도 좀 더 치밀하고 지능화하고 있다. 여기에 암호화폐까지 등장하면서 이제 사회기반시설을 해킹하고 사회안전망을 교란하는 비상사태가 곳곳에서 발생한다.최근 러시아 해킹조직 팬시베어를 사칭한 협박 메일이 국내 모 은행에 발송됐다. 2억5000만 원을 비트코인으로 주지 않을 경우 대규모 디도스 공격으로 시스템을 모두 마비시키겠다고 협박한 사례다. 인질(Ransom)과 디도스(DDos)의 합성어 랜섬디도스 공격 방식이 새로운 골칫거리로 부상했다.육가공 기업 JBS는 사이버 공격으로 생산을 중단했고, 미국 송유관 업체는 랜섬웨어 공격에 약 60억 원을 해커에게 상납하며 굴복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사이버 팬데믹 이후 출현한 랜섬웨어 공격은 테러 수준의 공격 활성화 양상을 띤다. 시스템 복구와 협박을 통한 몸값 지불, 과거보다 정교한 해킹 공격으로 사이버 위협 방식이 날로 치밀하게 발전한다.언택트 시대, 신종 사이버 테러 기승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신종 삼중협박(triple extortion) 사이버 공격이 등장했다. 우선 암호화를 통해 시스템을 마비시키고 파일 복구 몸값을 요구한다. 돈을 지급하지 않으면 정보를 외부에 노출하고 이후 디도스 공격까지 가세해 웹사이트 운영을 중단하게 만드는 악독한 수법이다.피해 사례도 속출한다. 국내 대형 가전사 한 곳은 삼중협박을 통해 테스트 제품 관련 파일과 직원 컴퓨터 이름 등이 유출됐다. 반도체 제조사 한 곳은 영업기밀에 해당하는 가격 협상 메일과 내부 전략 회의 내용

    2021.09.28 16:45:52

    디지털 금융 시대, 사이버 위협도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