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별 비급여 진료비 상·하위 3곳 전격 비교 ③

[병원별 비급여 진료비 = 치과병원·한방병원·요양병원]
상급 종합병원 임플란트 시술비 서울아산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 400만원 VS 동아대병원·충북대병원 80만원

(사진) 서울의 한 치과병원. 본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계 없음. /연합뉴스

[한경비즈니스=최은석 기자] 병원 진료·입원비는 국민건강보험이 비용의 대부분을 지원하는 급여 항목과 건보 재원이 지원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으로 나뉜다.

비급여 항목은 국가가 관리할 수 없는 사안이기 때문에 병원별로 금액 차이가 크다. 비급여 항목은 병원이 정한 비용의 전액을 환자가 부담해야 한다. 일부 병원이 비급여 진료를 악용해 폭리를 취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천차만별이던 비급여 진료·입원비가 공개돼 눈길을 끈다.

◆상급 종합병원 중 치과 보철비 가장 비싼 곳은 삼성서울병원




33개 상급 종합병원 중 충치 치료비(치아 색과 비슷한 재료인 레진으로 치아의 썩은 부위 등을 때우는 치료)가 가장 비싼 곳은 부산대병원(31만3800원)이었다. 이대목동병원도 28만6400원을 받고 있었다.

반면 충북대병원(3만5000원)의 레진 충전비는 최고가 병원의 9분의 1에 불과했다. 강북삼성병원도 5만원으로 저렴한 편이었다.

170개 치과병원 중에선 단국대치과병원과 구미예치과병원이 각각 36만원, 35만원의 치료비를 받고 있었다.

반면 이안치과병원(부천)의 치료비는 1만원으로 최고가 병원의 36분의 1 수준이었다. 연세대치과병원의 치료비도 1만9000원으로 저렴했다.




31개 상급 종합병원 중 치과 보철비(충치 등에 의해 광범위하게 파괴된 치아를 금으로 씌우는 치료)가 가장 비싼 곳은 삼성서울병원(106만7000원)이었다. 대구가톨릭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은 80만원을 받고 있었다.

반면 가톨릭대인천성모병원과 길병원은 35만원, 영남대병원은 36만원으로 최고가 병원보다 3분의 1 정도 저렴했다.

165개 치과병원 중에선 경북대치과병원과 부산대치과병원이 각각 87만2000원, 82만7000원을 받고 있었다.

반면 시지에프엠치과병원(대구)과 당진이치과병원은 25만원, 연세대치과병원은 26만원으로 최고가 병원보다 3분의 1 정도 저렴했다.



33개 상급 종합병원 중 임플란트 시술비(치아가 없는 턱뼈에 임플란트를 심고 그 위에 치아 형태의 보철물을 씌우는 치료)가 가장 비싼 곳은 서울아산병원과 연세대강남세브란스병원(각 400만원)이었다. 삼성서울병원도 390만원을 받고 있었다.

반면 동아대병원과 충북대병원은 80만원으로 최고가의 5분의 1 수준이었다. 연세대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과 중앙대병원도 120만원으로 비교적 저렴한 편이었다.

166개 치과병원 중에선 서울대치과병원이 410만9600원, 연세대치과병원이 398만원의 임플란트 비용을 받고 있었다.

반면 포샤르치과병원(서울 강남)은 70만원, 드라마치과병원(성남)은 77만원으로 6분의 1 수준이었다.


알림 : 12월 19일 오후 3시 50분을 기준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내 비급여진료비정보에 이안치과병원의 충치 치료비(레진)가 기존 1만원에서 7만원으로 상향 공시됐습니다. 이에 이안치과병원을 충치 치료비 저가 병원 순위에서 제외합니다.

◆한방병원·요양병원 비급여 진료비도 제각각

한방병원 비급여 진료비도 말 그대로 고무줄이었다.



추나요법으로 불리는 한방물리요법(환자의 몸을 누르거나 관절을 회전·이완시켜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치료) 가운데 근육과 근막을 풀어주는 단순 추나요법을 시행하는 한방병원은 135곳이다.

이 중 비용이 가장 비싼 곳은 자연한방병원(안산)과 천지인한방병원(광주광역시)으로, 8만원을 받고 있었다. 꽃마을한방병원(서울 서초)도 7만원을 받고 있었다.

반면 우리한방병원(김제)의 치료비는 1000원으로 최고가 병원의 80분의 1에 불과했다. 가천대길한방병원·울산한방병원·인천중앙한방병원도 5000원으로 저렴한 편이었다.



탈구된 관절을 되돌리는 등의 특수 추나요법을 시행하는 한방병원 58곳 중 치료비가 가장 비싼 곳은 다온한방병원(광주광역시)·이건목원리한방병원(서울 서초)·천지인한방병원(광주광역시)이었다.

이들 병원은 20만원의 치료비를 받고 있었다. 광동한방병원(서울 강남)도 15만원을 받고 있었다.

반면 동국대일산불교한방병원의 치료비는 8000원으로 최고가 병원의 25분의 1 수준이었다. 대전대둔산한방병원·삼세한방병원(부산)·울산한방병원도 2만원으로 비교적 저렴했다.

한방경피온열검사(염증 부위 등의 체온 변화를 감지해 전신 체온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검사)를 시행하는 한방병원은 25곳이다.

이 중 전신 검사비가 가장 비싼 곳은 경희대한방병원으로 15만원이었다. 울산한방병원도 13만원을 받고 있었다.

반면 목포산정한방병원은 2만원으로 최고가 병원의 약 8분의 1 수준이었다. 상지대한방병원도 3만5000원으로 저렴한 편이었다.



전국 304개 요양병원 중 1인실 입원비가 가장 비싼 곳은 경기 성남의 라온힐요양병원(30만원)이었다. 이어 보바스기념병원(성남)이 27만원으로 둘째로 비쌌다.

반면 남산정요양병원(부산)의 1인실 입원비는 5000원으로, 최고가 병원의 60분의 1 수준이었다. 사랑의요양병원(부산)도 6700원으로 저렴한 편이었다.



김형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정보표준화사업단장은 “비급여 진료비 공개를 통해 국민은 진료비를 예측할 수 있게 됐고 의료기관은 투명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다”며 “내년부터 매년 4월 1일 비급여 진료비를 조사해 공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choies@hnakyung.com

[기사 인덱스]
- 병원별 비급여 진료비 1 = 입원비·내시경
- 병원별 비급여 진료비 2 = 초음파·라식
- 병원별 비급여 진료비 3 = 치과병원·한방병원·요양병원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