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바다 럭시 대표 인터뷰
최바다 럭시 대표는 2000년 ‘맥스 MP3’의 창업 멤버다. 맥스 MP3는 국내 최초의 유료 음원 다운로드 사이트로, 당시만 해도 생소했던 음악 저작권 지불을 실현시켰다.
약 18년의 세월이 흐른 후 최 대표는 ‘카풀’이라는 아이템으로 또 한 번 창업 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그가 마주한 현실은 18년 전과 변한 것이 없었다. 오히려 규제는 더 강해졌고 시장은 보수적으로 변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최 대표는 “다시 한 번 창업한다면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하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럭시’는 어떠한 계기로 창업하게 됐나.
“평일 오전 여덟시 반에 9호선을 타 본 적이 있다. 출근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발 디딜 틈이 없고 지하철을 타지 못할 때도 많다.
같은 시간 도로에서는 승용차가 오가는데 운전자 한 명만 타 있고 나머지 자리는 전부 비어 있다. 이렇게 비어 있는 승용차의 자리에 타인을 태운다면 전반적인 출근의 질이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럭시’는 이러한 발상에서 시작됐다.”
-창업 후 반응은 어땠나.
“시장의 반응은 정말 좋았다. 2016년 8월 서비스를 연 후 약 350만 건 정도의 매칭(라이더와 유저를 이어주는 것)이 이뤄졌다. 그야말로 ‘폭발적 인기’였다.
하지만 택시업계의 반발로 카풀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싹트자 사업에 난항을 겪기 시작했다. ‘카풀업’ 자체가 불법이 아니냐는 의혹도 받았다.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는 스타트업은 투자금을 모아야 하는데 불법 의혹 꼬리표가 붙은 스타트업에 누가 투자하겠나.
오죽하면 카풀하면 ‘잡혀간다’는 루머도 돌았다. 사업을 이끌어 가는 게 너무 힘든 상황이었다. 그래서 작년 10월부터 창업자로서 책임감을 갖고 사태를 풀어나갈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카카오모빌리티에 인수된 배경은 무엇인가.
“럭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자금을 대준 투자자들에게 투자금을 돌려주는 것이 제일 중요했다. 스타트업계에서 럭시가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한 ‘나쁜 예’로 남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모빌리티 산업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한다면 럭시 창업자로 계획했던 여러 가지 신규 사업을 그대로 시행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있었다. 또 럭시 직원들의 고용도 중요했다. 대부분의 럭시 직원들이 카카오모빌리티에 인수된 후에도 함께 일하고 있다.”
-기존 업계의 태도에서 답답함을 느꼈을 텐데.
“4차 산업혁명위원회 주관으로 해커톤(긴 시간 동안 토론하며 아이디어를 창출·기획, 최종 결과물을 만드는 방식)도 열렸지만 택시업계는 참석도 하지 않았다. 일단 이야기를 나눠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텐데, 대화조차 거부하는 상황이다.
정부도 좀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당사자들에게만 맡기는 듯하다. 지금 카풀업계가 겪고 있는 이 난관은 다른 스타트업에도 ‘독’이 될 것이다. 기존 업계의 반발을 지혜롭게 풀어나갈 해결책을 정부가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계획이 있나.
“중국과 미국이 빠른 속도로 앞서가는 것과 달리 한국의 상황은 답답하기만 하다. 개인적으로는 이미 카풀 시장에선 한국이 중국보다 약 7년 정도 뒤떨어졌다고 본다. 조만간 중국 베이징공항에서 디디추싱을 통해 차량을 부르면 사람이 운전하는 차가 아닌 자율주행차가 와 승객을 태울 것이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콜택시 부르기에 멈춰 있지 않을까 겁이 난다. 승차 공유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는데, 새로운 산업을 바라보는 한국의 시선은 지나치게 보수적이다.
신규 서비스는 시장의 평가로 성패가 좌우된다. 카풀은 성공 가능성이 높은데 규제 때문에 마음껏 날개를 펼칠 수 없다는 것이 너무 아쉽다. 여전히 카풀에 대한 수요는 무궁무진하다. 처음 창업했을 때 세웠던 계획을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해 나갈 것이다.”
mjlee@hankyung.com
[기사 인덱스]
- 규제에 가로막힌 카풀… 자율주행차 등장도 늦춘다
- 최바다 럭시 대표 인터뷰 “또 창업하게 된다면 한국을 떠나겠다”
최바다 럭시 대표는 2000년 ‘맥스 MP3’의 창업 멤버다. 맥스 MP3는 국내 최초의 유료 음원 다운로드 사이트로, 당시만 해도 생소했던 음악 저작권 지불을 실현시켰다.
약 18년의 세월이 흐른 후 최 대표는 ‘카풀’이라는 아이템으로 또 한 번 창업 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그가 마주한 현실은 18년 전과 변한 것이 없었다. 오히려 규제는 더 강해졌고 시장은 보수적으로 변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최 대표는 “다시 한 번 창업한다면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하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럭시’는 어떠한 계기로 창업하게 됐나.
“평일 오전 여덟시 반에 9호선을 타 본 적이 있다. 출근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발 디딜 틈이 없고 지하철을 타지 못할 때도 많다.
같은 시간 도로에서는 승용차가 오가는데 운전자 한 명만 타 있고 나머지 자리는 전부 비어 있다. 이렇게 비어 있는 승용차의 자리에 타인을 태운다면 전반적인 출근의 질이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럭시’는 이러한 발상에서 시작됐다.”
-창업 후 반응은 어땠나.
“시장의 반응은 정말 좋았다. 2016년 8월 서비스를 연 후 약 350만 건 정도의 매칭(라이더와 유저를 이어주는 것)이 이뤄졌다. 그야말로 ‘폭발적 인기’였다.
하지만 택시업계의 반발로 카풀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싹트자 사업에 난항을 겪기 시작했다. ‘카풀업’ 자체가 불법이 아니냐는 의혹도 받았다.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는 스타트업은 투자금을 모아야 하는데 불법 의혹 꼬리표가 붙은 스타트업에 누가 투자하겠나.
오죽하면 카풀하면 ‘잡혀간다’는 루머도 돌았다. 사업을 이끌어 가는 게 너무 힘든 상황이었다. 그래서 작년 10월부터 창업자로서 책임감을 갖고 사태를 풀어나갈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카카오모빌리티에 인수된 배경은 무엇인가.
“럭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자금을 대준 투자자들에게 투자금을 돌려주는 것이 제일 중요했다. 스타트업계에서 럭시가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한 ‘나쁜 예’로 남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모빌리티 산업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한다면 럭시 창업자로 계획했던 여러 가지 신규 사업을 그대로 시행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있었다. 또 럭시 직원들의 고용도 중요했다. 대부분의 럭시 직원들이 카카오모빌리티에 인수된 후에도 함께 일하고 있다.”
-기존 업계의 태도에서 답답함을 느꼈을 텐데.
“4차 산업혁명위원회 주관으로 해커톤(긴 시간 동안 토론하며 아이디어를 창출·기획, 최종 결과물을 만드는 방식)도 열렸지만 택시업계는 참석도 하지 않았다. 일단 이야기를 나눠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텐데, 대화조차 거부하는 상황이다.
정부도 좀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당사자들에게만 맡기는 듯하다. 지금 카풀업계가 겪고 있는 이 난관은 다른 스타트업에도 ‘독’이 될 것이다. 기존 업계의 반발을 지혜롭게 풀어나갈 해결책을 정부가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계획이 있나.
“중국과 미국이 빠른 속도로 앞서가는 것과 달리 한국의 상황은 답답하기만 하다. 개인적으로는 이미 카풀 시장에선 한국이 중국보다 약 7년 정도 뒤떨어졌다고 본다. 조만간 중국 베이징공항에서 디디추싱을 통해 차량을 부르면 사람이 운전하는 차가 아닌 자율주행차가 와 승객을 태울 것이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콜택시 부르기에 멈춰 있지 않을까 겁이 난다. 승차 공유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는데, 새로운 산업을 바라보는 한국의 시선은 지나치게 보수적이다.
신규 서비스는 시장의 평가로 성패가 좌우된다. 카풀은 성공 가능성이 높은데 규제 때문에 마음껏 날개를 펼칠 수 없다는 것이 너무 아쉽다. 여전히 카풀에 대한 수요는 무궁무진하다. 처음 창업했을 때 세웠던 계획을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해 나갈 것이다.”
mjlee@hankyung.com
[기사 인덱스]
- 규제에 가로막힌 카풀… 자율주행차 등장도 늦춘다
- 최바다 럭시 대표 인터뷰 “또 창업하게 된다면 한국을 떠나겠다”